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흥친왕

색인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96 처지: 능창대군, 명성황후, 명성황후 (드라마), 민겸호, 민병석, 민승호,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치구, 갑신정변, 박규수, 박찬주 (교육인), 박영효, 보부상, 부빈객, 귀인 양씨, 김병기 (1818년),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김윤식 (1835년),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한제국의 황실, 대원군 (드라마),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대훈위 서성대수장, 남연군, 낙천군, 우석, 운현궁, 장사의 신 - 객주 2015, 작위, 임오군란, 흥녕군, 흥인군, 흥친왕, 흥선대원군, 흥원, 흥완군, 이문용, 이문용 (1882년),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관용 (황족), 이규완, 이기용, 이달용, 이우, 이회영, 이재은 (1980년), 이재선, ...,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원 (1831년), 이재완, 이희, 이희하, 이조, 이종 (1940년), 이종찬 (1936년), 이주희 (1974년), 이준용 (1870년), 이진완, 이청 (1936년), 이윤용 (1854년), 이완용, 인평대군, 의민태자, 의친왕, 을미사변, 은신군, 전주 이씨, 조중응, 조선 왕 가계도, 조선귀족, 찬란한 여명,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친왕, 친왕비, 유길준, 윤치소, 윤택영, 윤원선, 순헌황귀비, 영평군 (1828년), 여흥부대부인, 연령군, 서봉장, 통리기무아문, 한범희, 한국평화협회, 아관파천, 시흥동 (서울), 홍영식, 완친왕, 왕공족, 왕작.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6 더) »

능창대군

능창군 이전(綾昌君 李佺, 또는 증 능창대군 이전(贈 綾昌大君 李佺), 1599년 7월 16일 ~ 1615년 11월 17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흥친왕와 능창대군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흥친왕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

새로운!!: 흥친왕와 명성황후 (드라마) · 더보기 »

민겸호

민겸호(閔謙鎬, 1838년 ~ 1882년 6월 10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흥친왕와 민겸호 · 더보기 »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새로운!!: 흥친왕와 민병석 · 더보기 »

민승호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음력 11월 2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민치록의 양자이며, 명성황후의 양오라버니이.

새로운!!: 흥친왕와 민승호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을사조약과 한일신협약,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는 과정에 가담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흥친왕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흥친왕와 민치구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흥친왕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흥친왕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찬주 (교육인)

박찬주(朴贊珠, 1914년 12월 11일 ~ 1995년 7월 13일)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흥친왕와 박찬주 (교육인)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흥친왕와 박영효 · 더보기 »

보부상

보부상(褓負商)은 봇짐장수와 등짐장수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흥친왕와 보부상 · 더보기 »

부빈객

부빈객(副賓客)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속한 종2품직으로, 좌부빈객(左副賓客)과 우부빈객(右副賓客)으.

새로운!!: 흥친왕와 부빈객 · 더보기 »

귀인 양씨

복녕당 귀인 양씨(福寧堂 貴人 梁氏, 1882년 9월 27일 - 1929년 5월 30일)는 대한제국 고종의 후궁이며, 덕혜옹주(德惠翁主)의 생모이.

새로운!!: 흥친왕와 귀인 양씨 · 더보기 »

김병기 (1818년)

병기(金炳冀, 1818년~1875년)는 조선 후기의 외척이자 권신이.

새로운!!: 흥친왕와 김병기 (1818년) · 더보기 »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재순(金在珣, ?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 법관이었.

새로운!!: 흥친왕와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 더보기 »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새로운!!: 흥친왕와 김윤식 (1835년)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 조사하여 공식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중 정치 부문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흥친왕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흥친왕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흥친왕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황실

덕수궁 석조전에서 황실 가족 (1918년) 대한제국의 황실(大韓帝國皇室)은 조선 왕실의 후계로 대한제국의 성립 때부터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할 때까지 실질적인 황실의 주인이었.

새로운!!: 흥친왕와 대한제국의 황실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흥친왕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대훈위 금척대수장

종 (1904년) 순종 (1909년) 대훈위금척대수장(大勳位金尺大綬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최고 훈장이.

새로운!!: 흥친왕와 대훈위 금척대수장 · 더보기 »

대훈위 이화대수장

이화대수장과 서성대수장, 태극대수장을 패용한 민병석 대훈위이화대수장(大勳位李花大綬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며 7종류의 훈장 중에서 세 번째 훈격의 훈장이.

새로운!!: 흥친왕와 대훈위 이화대수장 · 더보기 »

대훈위 서성대수장

척대수장(윗줄 왼쪽에서 세 번째)과 서성대수장(아랫줄 왼쪽에서 첫 번째)을 패용한 하세가와 요시미치 대훈위서성대수장 (부장) 대훈위서성대수장(大勳位瑞星大綬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최고 훈장인 대훈위금척대수장 다음가는 훈장이.

새로운!!: 흥친왕와 대훈위 서성대수장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흥친왕와 남연군 · 더보기 »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가계상 남연군의 할아버지뻘, 흥선대원군의 증조부뻘이 된다. 초명은 수신(守愼), 자는 온중(蘊仲)이다. 원래 조선 선조의 아홉번째 서자 경창군의 6대손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연령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도 아들이 없이 사망하였다. 일설에는 은신군(사도세자의 서2남)이 그의 제사 받들기를 꺼렸다는 풍문이 나돌았으나, 은신군은 죽은 뒤에 1777년 이복형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봉사손이 되었다. 관직은 수덕대부(綏德大夫) 에 이르렀고, 부인은 서종수(徐宗秀)의 딸이다. 호적상 흥선대원군의 증조부가 된다.

새로운!!: 흥친왕와 낙천군 · 더보기 »

우석

우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친왕와 우석 · 더보기 »

운현궁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

새로운!!: 흥친왕와 운현궁 · 더보기 »

장사의 신 - 객주 2015

《장사의 신 - 객주 2015 》는 2015년 9월 23일부터 2016년 2월 18일까지 방영된 KBS 광복 70주년 특별 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흥친왕와 장사의 신 - 객주 2015 · 더보기 »

작위

작위(爵位)는 왕족이나 공적이 뛰어난 귀족에게 수여하던 명예의 칭호 또는 그 계급을 가리.

새로운!!: 흥친왕와 작위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흥친왕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흥녕군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 1809년 7월 16일 ~ 1828년 2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손자이며, 흥선대원왕, 흥인군의 백형(伯兄)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흥친왕와 흥녕군 · 더보기 »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1815년 2월 17일 ~ 1882년 6월 1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군호는 흥인군(興寅君)이.

새로운!!: 흥친왕와 흥인군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흥친왕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흥친왕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흥원

흥원(興園)은 대한제국 고종의 부친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년 ~ 1898년)과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 1898년)의 묘이.

새로운!!: 흥친왕와 흥원 · 더보기 »

흥완군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

새로운!!: 흥친왕와 흥완군 · 더보기 »

이문용

이문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친왕와 이문용 · 더보기 »

이문용 (1882년)

이문용(李鎔, 1882년 9월 4일 ~ 1901년 10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6대손이자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 대원왕의 손자이자 흥친왕의 차남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문용 (1882년) · 더보기 »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건(李鍵, 1909년 10월 28일 ~ 1990년 12월 21일) 는 일본의 육군 군인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건 (대한제국 황족) · 더보기 »

이관용 (황족)

이관용(李土+灌鎔,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관용 (황족)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흥친왕와 이규완 · 더보기 »

이기용

이기용(李埼鎔, 1889년 11월 1일 ~ 1961년 3월 4일)은 조선 후기의 종친으로 장조의 서자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대원왕의 백형(伯兄) 흥녕군 이창응의 손자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기용 · 더보기 »

이달용

이달용(李達鎔, 1883년 음력 9월 11일 ~ 1948년 1월 27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 교육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종손(從孫)이며 남연군의 증손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달용 · 더보기 »

이우

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일본 제국의 왕공족, 육군 군인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우 · 더보기 »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회영 · 더보기 »

이재은 (1980년)

이재은(李在銀, 1980년 2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재은 (1980년) · 더보기 »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재선 · 더보기 »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선 역모 사건 또는 이재선 모역 사건, 이재선 쿠데타 사건은 조선 말기의 군사 쿠데타로, 쿠데타 기도 10일 전에 사전 적발되었.

새로운!!: 흥친왕와 이재선 추대 사건 · 더보기 »

이재원 (1831년)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1831년 10월 13일 ~ 1891년 2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재원 (1831년) · 더보기 »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재완 · 더보기 »

이희

이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친왕와 이희 · 더보기 »

이희하

광흥령 이희하(廣興令 李熙夏, 1839년 ~ 1900년)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희하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조 · 더보기 »

이종 (1940년)

이종(李淙, 1940년 11월 9일(음력 10월 10일) ~ 1966년 12월 25일)은 일본과 대한민국 사람으로, 대한제국의 황족 출신 인물로, 흥선대원군의 5대손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종 (1940년) · 더보기 »

이종찬 (1936년)

이종찬(李鍾贊, 1936년 4월 29일 ~)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의 정치가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종찬 (1936년) · 더보기 »

이주희 (1974년)

이주희(1974년 6월 4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주희 (1974년)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진완

이진완(李辰琬, 1916년 5월 18일 ~ 1997년)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고종황제의 종손녀이며 흥친왕가의 최후의 직계손이었.

새로운!!: 흥친왕와 이진완 · 더보기 »

이청 (1936년)

이청(李淸, 미국 거주 시절 영어 이름은 셔먼 리(Scherman Lee), 1936년 4월 23일 ~)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의 현손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청 (1936년) · 더보기 »

이윤용 (1854년)

이윤용(李允用, 1854년 ~ 1939년 9월 8일)은 대한제국 및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한일 병합 과정에서 일본에 협력.

새로운!!: 흥친왕와 이윤용 (1854년)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흥친왕와 이완용 · 더보기 »

인평대군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년 12월 10일 ~ 1658년 5월 13일)은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

새로운!!: 흥친왕와 인평대군 · 더보기 »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새로운!!: 흥친왕와 의민태자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흥친왕와 의친왕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흥친왕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흥친왕와 은신군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흥친왕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조중응

조중응(趙重應, 1860년 11월 4일(음력 9월 22일) ~ 1919년 양력 8월 2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된 인물이.

새로운!!: 흥친왕와 조중응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흥친왕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귀족

조선귀족(朝鮮貴族)은 1910년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일본 제국 정부가 일본의 화족 제도를 준용하여 대한제국의 고위급 인사들에게 봉작하고자 창출한 특수 계급이.

새로운!!: 흥친왕와 조선귀족 · 더보기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燦爛한 黎明)은 KBS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996년 11월 23일까지 방영한 대하 드라마이.

새로운!!: 흥친왕와 찬란한 여명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106人名單)은 2006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강만길)가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초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106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흥친왕와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 報告書)는 2009년 11월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간한 보고서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과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친일반민족행위 연구,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

새로운!!: 흥친왕와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 더보기 »

친왕

동아시아에서, 친왕(親王)은 황태자를 제외한 남자 황족에게 부여되는 칭호이.

새로운!!: 흥친왕와 친왕 · 더보기 »

친왕비

왕비(親王妃)는 친왕의 정실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흥친왕와 친왕비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흥친왕와 유길준 · 더보기 »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새로운!!: 흥친왕와 윤치소 · 더보기 »

윤택영

윤택영(尹澤榮, 1876년 ~ 1935년 10월 2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조선 귀족이었.

새로운!!: 흥친왕와 윤택영 · 더보기 »

윤원선

윤원선(尹源善, 1910년 10월 27일 - 1971년 12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었.

새로운!!: 흥친왕와 윤원선 · 더보기 »

순헌황귀비

순헌황귀비 엄씨(純獻皇貴妃 嚴氏, 1854년 2월 2일/음력 1월 5일 ~ 1911년 7월 20일)는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후궁이.

새로운!!: 흥친왕와 순헌황귀비 · 더보기 »

영평군 (1828년)

영평군 이경응(永平君 李景應, 1828년 7월 20일 ~ 1902년 2월 1일/1901년 음력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흥친왕와 영평군 (1828년)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흥친왕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흥친왕와 연령군 · 더보기 »

서봉장

훈일등 서봉대수장 훈이등 서봉장 겸 훈일등 부장(上)훈삼등 서봉중수장(中)훈사등 서봉소수장(下) 훈오등 서봉소수장(上)훈육등 서봉소수장(下)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한 순정효황후 서봉장(瑞鳳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며 여성에게 수여되는 훈장이.

새로운!!: 흥친왕와 서봉장 · 더보기 »

통리기무아문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은 1880년(고종 17년)에 설치된 관청이.

새로운!!: 흥친왕와 통리기무아문 · 더보기 »

한범희

범희(1965년 1월 2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친왕와 한범희 · 더보기 »

한국평화협회

국평화협회(韓國平和協會)는 대한제국 말기인 1910년에 조직된 단체이.

새로운!!: 흥친왕와 한국평화협회 · 더보기 »

아관파천

시아 공사관 (1900년경)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의 일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

새로운!!: 흥친왕와 아관파천 · 더보기 »

시흥동 (서울)

시흥동(始興洞)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

새로운!!: 흥친왕와 시흥동 (서울) · 더보기 »

홍영식

홍영식 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

새로운!!: 흥친왕와 홍영식 · 더보기 »

완친왕

완친왕(完親王, 1868년 5월 31일 ~ 1880년 1월 12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자이며 추존 친왕이.

새로운!!: 흥친왕와 완친왕 · 더보기 »

왕공족

왕공족(王公族)은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본제국 정부에서 대한제국 황족에 대해 규정한 신분으로, 일본 황족에 준하는 것이었.

새로운!!: 흥친왕와 왕공족 · 더보기 »

왕작

작위로서의 왕(王)은 왕작(王爵)이라고도 부르며, 황제가 그 아들이나 형제 또는 공신에게 내리는 작위였.

새로운!!: 흥친왕와 왕작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제국 흥친왕, 이재면, 이희 공, 우석 이재면, 완흥군, 완흥군 이재면, 완흥군 이희, 완흥군 재면, 흥친왕 이재면, 흥친왕 이희, 흥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