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색인 ㅢ

와 ㅣ가 합쳐진 것이.

목차

  1. 14 처지: , , 반모음, 낱소리, 단모음, 닿소리, 이중모음, 일제 강점기, 전설 모음, 조사 (품사), 표준국어대사전, 서남 방언, 한글 맞춤법 통일안, 훈민정음.

(으)는 한글 낱자의 23번째 글자이.

보다 ㅢ와 ㅡ

(이)는 한글 낱자의 스물넷째 글자이.

보다 ㅢ와 ㅣ

반모음

반모음(半母音,; semiconsonant)은 /이, 우, 으/같은 모음의 음가를 가지고 있지만 위턱 조음점과 아랫턱 조음체 사이에 만드는 틈이 좁고 지속 시간도 짧아서 자음의 자리에만 나오는 소리.

보다 ㅢ와 반모음

낱소리

낱소리 또는 음소(Phoneme, 音素)는 소리내는 언어의 낱말을 구분시켜주는 이론적인 낱낱의 소리이.

보다 ㅢ와 낱소리

단모음

모음은 다음 뜻으로 쓰인.

보다 ㅢ와 단모음

닿소리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보다 ㅢ와 닿소리

이중모음

이중모음(二重母音, Diphthong)이란 이어지는 두개의 모음 중 시작 모음와 끝 모음이 다른 소리를 내는 것을 말. 소리를 내는 동안 조음 기관의 위치가 변화하여 다르게 소리.

보다 ㅢ와 이중모음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보다 ㅢ와 일제 강점기

전설 모음

전설 모음(前舌母音) 또는 전모음()은 일부 언어에 쓰이는 홀소리의 일종으로, 전설면과 경구개 사이에서 조음되는 모음(혀의 최고점의 위치가 앞에 있는 모음)을 말. 기본 모음 i · e · ε · a 및 평순 모음 i · e · ε가 원순으로 조음되는 ‘y’·‘ø’·‘œ’ 등이 있.

보다 ㅢ와 전설 모음

조사 (품사)

조사(助詞) 또는 토씨는 품사의 하나로 체언에 붙어서 다른 말과의 관계를 맺게 하거나 특별한 뜻을 첨가해 주는 역할을 담당.

보다 ㅢ와 조사 (품사)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標準國語大辭典) 은 표준어 규정, 한글 맞춤법 등의 어문 규정을 준수하여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하는 한국어 사전이.

보다 ㅢ와 표준국어대사전

서남 방언

서남 방언(西南方言) 또는 호남 방언(湖南方言), 전라도 방언(全羅道方言), 전라도 사투리(全羅道사투리)는 한반도 서남부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 중 하나이.

보다 ㅢ와 서남 방언

한글 맞춤법 통일안

맞춤법 통일안(- 法統一案, 발표 당시에는 ‘한글 마춤법 통일안’)은 1933년에 조선어 학회(지금의 한글 학회)가 정한 한글 맞춤법이.

보다 ㅢ와 한글 맞춤법 통일안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보다 ㅢ와 훈민정음

또한 ㅡㅣ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