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순왜

색인 순왜

순왜(順倭)는 정유재란 때 조선인으로서 일본에 협력한 자를 이르는 말이.

33 처지: 박계생, 가토 기요마사, 경상북도, 고니시 유키나가, 부역, 길잡이, 김수량, 국경인, 난중일기, 회령시, 임진왜란, 임해군, 포로, 이문욱, 이순신, 이언우, 일본, 전언국, 정부, 정유재란, 정석수, 정해왜변, 조선, 조선인, 청도, 쿠데타, 탈영, 순화군, 사천 해전, 함인수, 항왜, 한성부, 1587년.

박계생

박계생(朴啓生)은 경상북도 청도 출신으로 정유재란 때 순왜이.

새로운!!: 순왜와 박계생 · 더보기 »

가토 기요마사

요마사(1562년 7월 25일 ~ 1611년 8월 2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순왜와 가토 기요마사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순왜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고니시 유키나가

시 유키나가(세례명: 아우구스티노, 1555년 ~ 1600년 음력 10월 1일) 는 일본 상인(商人) 출신의 무장이.

새로운!!: 순왜와 고니시 유키나가 · 더보기 »

부역

부역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순왜와 부역 · 더보기 »

길잡이

잡이 또는 길라잡이는 알 수 없는 국가를 통하는 사람들이나 관심이 있는 장소를 통하는 관광객과 여행객들을 안내하는 사람을 말. 대한민국에서는 영어 낱말 가이드(guide)라는 말도 많이 사용.

새로운!!: 순왜와 길잡이 · 더보기 »

김수량

수량(金守良, ?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반란자로 임진왜란 당시 대표적인 순왜병이.

새로운!!: 순왜와 김수량 · 더보기 »

국경인

국경인(鞠景仁, ?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반란자로 임진왜란 당시 대표적인 순왜병이.

새로운!!: 순왜와 국경인 · 더보기 »

난중일기

중일기(亂中日記)는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7년(1592년 ~ 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이.

새로운!!: 순왜와 난중일기 · 더보기 »

회령시

'''회령시'''(會寧市) 회령시(會寧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의 북부, 두만강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순왜와 회령시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순왜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해군

임해군(臨海君,, 李珒, 1572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609년 6월 3일(음력 5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 공신이.

새로운!!: 순왜와 임해군 · 더보기 »

포로

(捕虜, Prisoner of War, POW)는 무력분쟁(전쟁, 내전)에서 교전국에 억류된 적대국의 국민이.

새로운!!: 순왜와 포로 · 더보기 »

이문욱

이문욱(李文彧)은 정유재란 때 인물로 출신이 분명하지 않.

새로운!!: 순왜와 이문욱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순왜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언우

이언우(李彦祐, ? ~ 1592년)는 조선 중기의 순왜로 함경도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 중 한 명이.

새로운!!: 순왜와 이언우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순왜와 일본 · 더보기 »

전언국

전언국(田彦國, ? ~ 1592년)은 조선 중기 순왜로 함경도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 중 한 명이.

새로운!!: 순왜와 전언국 · 더보기 »

정부

정부(政府, Government)는 어느 지역 또는 국가를 통치하는 단체나 기관을 말. 넓은 의미로는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모두 포함하며, 좁게는 행정부만을 의미.

새로운!!: 순왜와 정부 · 더보기 »

정유재란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순왜와 정유재란 · 더보기 »

정석수

정석수(鄭石壽, ? ~ 1592년)는 조선 중기의 순왜로 함경도 지역 반란 주모자 중 한 명이.

새로운!!: 순왜와 정석수 · 더보기 »

정해왜변

정해왜변(丁亥倭變)은 1587년 음력 2월 왜구들이 전라도 남해안을 범한 사건이.

새로운!!: 순왜와 정해왜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순왜와 조선 · 더보기 »

조선인

조선인(朝鮮人)은 한국인을 뜻하는 다른 말로서, 다음 뜻으로도 쓰인.

새로운!!: 순왜와 조선인 · 더보기 »

청도

청도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순왜와 청도 · 더보기 »

쿠데타

붉은색은 성공한 쿠데타 경험이 있는 국가, 주황색은 쿠데타 경험은 있으나 모두 진압된 국가, 노란색은 쿠데타 음모는 있으나 실행에 옮겨진 적이 없는 국가이다. 쿠데타()는 프랑스어로 정부에 일격을 가한다는 뜻으로, 무력(武力)으로 정권을 무너뜨리거나 빼앗는 일을 통상적으로 지칭하는 단어이.

새로운!!: 순왜와 쿠데타 · 더보기 »

탈영

영(脫營)은 군인이 군무를 기피할 목적으로 지정된 장소에서 이탈하는 것을 말. 지휘관의 허가없이 무단 이탈하면 처벌되는 무단이탈죄와는 다르.

새로운!!: 순왜와 탈영 · 더보기 »

순화군

순화군(順和君, 1580년 음력 10월 10일 ~ 1607년 음력 3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순왜와 순화군 · 더보기 »

사천 해전

사천 해전(泗川海戰)은 1592년 음력 5월 29일(양력 7월 8일)에 사천에서 왜수군 13척을 전멸시킨 해전으로, 이순신은 여기서 거북선을 처음으로 실전 투입.

새로운!!: 순왜와 사천 해전 · 더보기 »

함인수

인수(咸麟壽, ? ~ 1592년)는 순왜이.

새로운!!: 순왜와 함인수 · 더보기 »

항왜

항왜(降倭)는, 한국에서 항복한 일본인들을 가리키던 용어이.

새로운!!: 순왜와 항왜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순왜와 한성부 · 더보기 »

1587년

15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순왜와 158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가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