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강화도 방어전

색인 강화도 방어전

강화도 방어전(江華島防禦戰)은 병자호란 와중인 1637년 2월 16일 인조실록 34권, 15년(1637 정축 / 명 숭정(崇禎) 10년)음력 1월 22일(임술) 8번째기사 청나라의 화석예친왕 아이신기오로 도르곤이 강화도를 공격, 이에 조선군이 응전했으나 패배하고 강화도가 함락된 전투이.

34 처지: 도르곤, 강진흔, 강화도, 경기도, 병자호란, 광성보, 김경징, 김상용, 김상용 (1561년), 남한산성, 자살, 장신, 작전 중 사망, 인순왕후, 정축하성, 조선,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종묘, 청나라, 윤방, 탈영, 타타라 잉굴다이, 호쇼이 친왕, 연미정, 소현세자, 한흥일, 신경진, 홍이포, 황선신, 화약, 1637년, 1월 16일, 2월 16일.

도르곤

아이신기오로 도르곤(1612년 11월 17일 ~ 1650년 12월 31일)은 청나라 초기의 황족으로, 후금의 초대 한이자 청나라의 초대 황제 누르하치의 열네 번째 아들이며, 누르하치의 네 번째 정실 효열무황후의 소생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도르곤 · 더보기 »

강진흔

강진흔(姜晉昕, ?~163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강진흔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강화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경기도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병자호란 · 더보기 »

광성보

강화 광성보(江華 廣城堡)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곽시설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광성보 · 더보기 »

김경징

경징(金慶徵, 1589년 ~ 1637년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김경징 · 더보기 »

김상용

상용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김상용 · 더보기 »

김상용 (1561년)

선원 김상용 김상용(金尙容, 1561년 ~ 1637년 1월 22일)은 조선시대 중·후기의 문인, 시인, 정치가, 서예가로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작은 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판돈녕부사에 이르렀고, 병자호란 때 강화도가 함락되자 문루에 화약을 쌓고 불을 붙여 자폭하였.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김상용 (1561년) · 더보기 »

남한산성

산성(南漢山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남한산성 · 더보기 »

자살

오파트라의 자살 십만 명당 자살률 자살(自殺)은 여러 가지 죽음의 형태 중 하나로, 스스로 삶을 중단시키는 행위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자살 · 더보기 »

장신

장신(姜晉昕, ?~163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장신 · 더보기 »

작전 중 사망

노르망디 상륙작전 중. 작전 중 사망(作戰中死亡) 혹은 전사(戰死)는 군대와 시민 수비대 혹은 게릴라 같은 구성원들이 전투에 참가하여, 그 활동 중 사망하는 것을 말. 보통 전몰은 전쟁으로 사망하는 것을 공통적으로 지칭하지만, 전투에 휘말린 민간인 희생자와 출정 중인, 직접 전투에 상관없는 병사자.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작전 중 사망 · 더보기 »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인순왕후 · 더보기 »

정축하성

정축하성(丁丑下城)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피신한 인조가 농성 59일만에 청나라 황제 홍타이지에게 항복, 1637년(정축년) 2월 24일 남한산성을 나와 삼전도에서 항복의 예를 행한 것을 말. 흔히, 삼전도의 굴욕(三田渡의 屈辱)이라고 표현.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정축하성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종묘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청나라 · 더보기 »

윤방

윤방(尹昉, 1563년 6월 22일 ~ 1640년 8월)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윤방 · 더보기 »

탈영

영(脫營)은 군인이 군무를 기피할 목적으로 지정된 장소에서 이탈하는 것을 말. 지휘관의 허가없이 무단 이탈하면 처벌되는 무단이탈죄와는 다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탈영 · 더보기 »

타타라 잉굴다이

잉굴다이(1596년 ~ 1648년 2월 24일)는 청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타타라 잉굴다이 · 더보기 »

호쇼이 친왕

호쇼이 친왕()은 청나라 황실과 외번의 친왕 작위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호쇼이 친왕 · 더보기 »

연미정

연미정(燕尾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고려시대의 누정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연미정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소현세자 · 더보기 »

한흥일

흥일(韓興一, 1587년 ~ 165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한흥일 · 더보기 »

신경진

신경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신경진 · 더보기 »

홍이포

남양주 실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된 홍이포 복원품. 실제 발사가 가능한 물건이다. 홍이포(紅夷砲)는 네덜란드에서 중국 청나라를 거쳐 유. 그 당시 네덜란드를 홍이(紅夷)라고 불렀기 때문에 홍이포라고 이름이 지어졌.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홍이포 · 더보기 »

황선신

황선신(黃善身, 1570년~163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황선신 · 더보기 »

화약

전장식 총포에 사용되는 흑색 화약 흑색화약(黑色火藥, black powder) 또는 그냥 화약(火藥, gunpowder)은 황, 숯과 초석(硝石)이라 불리는 질산칼륨의 혼합물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화약 · 더보기 »

1637년

163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1637년 · 더보기 »

1월 16일

1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번째(윤년일 경우도 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1월 16일 · 더보기 »

2월 16일

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7번째(윤년일 경우도 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강화도 방어전와 2월 1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화부 전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