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경릉 (조선 헌종)

색인 경릉 (조선 헌종)

경릉(景陵)은 조선 제24대 왕인 헌종과 정비 효현왕후 김씨, 계비 효정왕후 홍씨의 능이.

18 처지: 동구릉, 경기도, 대한민국의 사적, 대한제국, 구리시, 효정왕후, 효현왕후, 조선, 조선 헌종, 조선왕릉, 사적, 소혜왕후, 홍유릉, 1843년, 1849년, 1904년, 1970년, 5월 26일.

동구릉

동구릉(東九陵)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왕릉군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동구릉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경기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대한민국의 사적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대한제국 · 더보기 »

구리시

리시청 청사 구리시(九里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구리시 · 더보기 »

효정왕후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년 3월 6일(음력 1월 22일) ~ 1904년 1월 2일(1903년 음력 11월 15일))는 조선의 제24대 왕 헌종(憲宗)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효정왕후 · 더보기 »

효현왕후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년 4월 27일(음력 3월 14일) ~ 1843년 10월 18일(음력 8월 25일))는 조선 헌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효현왕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사적

사적(史蹟)은 문화재에서 가치가 큰 역사적 장소를 정부나 국가에서 지정한 곳을 말.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사적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소혜왕후 · 더보기 »

홍유릉

홍릉과 유릉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능으로 홍릉(洪陵)은 대한제국의 초대황제 고종 광무제와 명성황후 민씨의 능이며, 유릉(裕陵)은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융희제과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홍유릉 · 더보기 »

1843년

184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1843년 · 더보기 »

1849년

184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1849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1904년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1970년 · 더보기 »

5월 26일

5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6번째(윤년일 경우 14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경릉 (조선 헌종)와 5월 26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