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색인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慶州 祇林寺 塑造毘盧舍那佛 腹藏典籍)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에 있는 사경(寫經)과 목판본(木版本)이.

17 처지: 능엄경, 목우자수심결(언해) (보물 제770호), 묘법연화경, 감지은니묘법연화경,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경주시, 경상북도, 법원주림,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대방광불화엄경소, 대장일람집, 대한민국의 보물, 양북면, 화엄경, 11월 4일, 1988년.

능엄경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K.0426, T.0945),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또는 《수능엄경》 또는 《능엄경》(楞嚴經)은 선(禪)을 닦아 인간의 감각작용에서 유발되기 쉬운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요의(要義)를 설한 대승불교의 불경으로, 당나라 때 반랄밀제(般剌蜜帝)가 한역(漢譯)하였.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능엄경 · 더보기 »

목우자수심결(언해) (보물 제770호)

목우자수심결언해(牧牛子修心訣諺解)는 고려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이 참선하여 마음을 닦는 데 필요한 내용을 저술한 《수심결》에 경복궁 비현합(丕顯閤)에서 토를 달고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信眉)가 한글로 번역하고 풀이한 책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목우자수심결(언해) (보물 제770호)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은니묘법연화경(紺紙銀泥妙法蓮華經)은 후진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것을 고려 충숙왕 17년(1330)에 이신기가 옮겨 쓴 것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 더보기 »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白紙墨書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경상북도 · 더보기 »

법원주림

《법원주림》(法苑珠林)은 도세가 편찬한 불교 백과사전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법원주림 · 더보기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더보기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소

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는 저자인 정원(淨源)이 의천(義天)에게 상인 서전(徐戩)을 통해 보낸 목판으로 주본(周本) 화엄경을 주해한 주소본 120권을 찍어낸 것 가운데 41권에 해당하는 불경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대방광불화엄경소 · 더보기 »

대장일람집

장일람집(大藏一覽集)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동산도서관에 있는, 송나라 진실(陳實)이 불교 경전인 『대장경』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 고려 초 13세기 중엽에 간행한 책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대장일람집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물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대한민국의 보물 · 더보기 »

양북면

양북면(陽北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의 면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양북면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화엄경 · 더보기 »

11월 4일

1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8번째(윤년일 경우 3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11월 4일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와 1988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