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공융

색인 공융

공융(孔融, 153년 ~ 208년 9월 26일(음력 8월 29일))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문거(文擧)이며 예주 노국 사람이.

44 처지: 도겸, 동탁, 강하군, 건안칠자, 관해, 나관중, 노군, 노식, 자 (이름), 음력 8월 29일, 전빈, 정익, 정치인, 조조, 좌승조, 중국, 유비, 유의손, 유표, 태평어람, 태수, 태사자, 예주, 예형, 양소 (후한), 사람, 삼국지 가공인물, 삼국지연의, 성헌, 손소 (장서), 소부 (관직), 십상시, 시의 (동오), 원담, 후한, 황건적, 황조, 황역, 왕수 (후한), 153년, 193년, 196년, 208년, 9월 26일.

도겸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공융와 도겸 · 더보기 »

동탁

동탁(董卓, 생년 미상 ~ 192년 5월 22일(음력 4월 23일))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 겸 정치가로 자는 중영(仲穎)이며 양주(凉州) 농서군 임조현(臨洮縣)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동탁 · 더보기 »

강하군

강하군(江夏郡)은 중국의 옛 군현제의 군이.

새로운!!: 공융와 강하군 · 더보기 »

건안칠자

안칠자(建安七子)는 후한 헌제(獻帝)의 건안 연간(196~220)에 조조(曹操) 부자 밑에서 활약한 문학 집단 가운데 특히 뛰어난 재자(才子) 7인을 가리.

새로운!!: 공융와 건안칠자 · 더보기 »

관해

(管亥, ? ~ ?)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공융와 관해 · 더보기 »

나관중

중(羅貫中,, 1330년? ~ 1400년)은 《삼국지연의》를 집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중국 원말 명초의 인물로, 관중(貫中)은 자(字)이며 본명은 나본(羅本), 호는 호해산인(湖海散人)이.

새로운!!: 공융와 나관중 · 더보기 »

노군

(魯郡)은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공융와 노군 · 더보기 »

노식

식(盧植, ? ~ 192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간(子幹)이며 유주 탁군 탁현(涿縣)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노식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공융와 자 (이름) · 더보기 »

음력 8월 29일

음력 8월 29일은 음력 8월의 29번째 날이.

새로운!!: 공융와 음력 8월 29일 · 더보기 »

전빈

전빈(田邠, ? ~ 195년 음력 11월) 또는 전분(田芬)은 후한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공융와 전빈 · 더보기 »

정익

정익(鄭益, 170년 ~ 196년)은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익은(益恩)이며 북해국 고밀현(高密縣)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정익 · 더보기 »

정치인

G20 정상회담 정치인(政治人)은 정치에 활발히 참여하거나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말. 정치가(政治家).

새로운!!: 공융와 정치인 · 더보기 »

조조

조위 태조 무황제 조조(曹魏 太祖 武皇帝 曹操, 155년 음력 6월 3일 ~ 220년 음력 1월 23일)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며 시인이.

새로운!!: 공융와 조조 · 더보기 »

좌승조

좌승조(左丞祖, ? ~ 192년)이 인물의 이름에 대하여, 노필(盧弼)의 《삼국지집해(三國志集解)》 주석에 따르면 여러 가지 설이 있다(左承祖가 옳은 표현이라는 설, "좌승"(左丞)은 관직명이고 이름은 황조(黃祖: 유표(劉表)의 부하 황조와는 동명이인)라는 설 등).

새로운!!: 공융와 좌승조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공융와 중국 · 더보기 »

유비

소열황제 유비(漢昭烈皇帝劉備, 161년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초대 황제(재위: 221년 5월 15일(음력 4월 6일)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이.

새로운!!: 공융와 유비 · 더보기 »

유의손

유의손(劉義遜,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공융와 유의손 · 더보기 »

유표

유표(劉表, 142년 ~ 208년 음력 8월)는 중국의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경승(景升)이며 연주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유표 · 더보기 »

태평어람

《태평어람》 한태화(韓泰華) 교정본 《태평어람》(太平御覽)은 중국 북송 초기의 학자 이방(李昉) 등이 태평흥국 2년 ~ 8년(977년 ~ 983년) 사이에 편찬한 유서(類書)의 일종으로, 본래 이름은 《태평총류》(太平總類)였으나 태종이 매일 밤마다 3권씩 읽은 사실에 유래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

새로운!!: 공융와 태평어람 · 더보기 »

태수

수(太守) 또는 군수(郡守)는 군현제에서 군(郡)의 장관을 일컫는 칭호이.

새로운!!: 공융와 태수 · 더보기 »

태사자

사 자(太史 慈, 166년 ~ 206년)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자의(子義)이며 청주 동래군 황현(黃縣)(지금의 옌타이 시 룽커우 시)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태사자 · 더보기 »

예주

예주(豫州)는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공융와 예주 · 더보기 »

예형

예형(禰衡, 173년 ~ 198년)은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정평(正平)이며 청주 평원군 반현(般縣)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예형 · 더보기 »

양소 (후한)

양소(梁邵, ? ~ ?)는 후한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공융와 양소 (후한) · 더보기 »

사람

사람 또는 호모 사피엔스()는 두 발로 서서 걸어 다니는 사람과의 영장류 동물이.

새로운!!: 공융와 사람 · 더보기 »

삼국지 가공인물

음은 소설 《삼국지연의》 등 삼국지와 관련하여 창작된 가상의 인물들이.

새로운!!: 공융와 삼국지 가공인물 · 더보기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 삽화. 조조가 유비를 초대해 매실을 안주로 천하에 영웅이라 할 만한 사람이 누가 있는지 대화하는 장면.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서기 184년 황건적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집필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고전역사소설)로, 명나라 때 나관중이 쓴 책이.

새로운!!: 공융와 삼국지연의 · 더보기 »

성헌

성헌(盛憲,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효장(孝章)이며, 양주 회계군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성헌 · 더보기 »

손소 (장서)

손소(孫邵, 163년 ~ 225년 5월)는 후한 말기 ~ 동오의 관료로, 자는 장서(長緖)이며 북해국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손소 (장서) · 더보기 »

소부 (관직)

소부(少府)는 고대 중국의 관직이.

새로운!!: 공융와 소부 (관직) · 더보기 »

십상시

십상시(十常侍)는 중국 후한 말 영제(靈帝) 때에 정권을 잡아 조정을 농락한 10여 명의 중상시, 즉 환관들을 말. 역사서 《후한서》(後漢書)에는 십상시들이 많은 봉토를 거느리고 그들의 부모형제는 모두 높은 관직에 올라, 그 위세가 가히 대단하였다고 쓰여 있. 특히 그들의 곁에서 훈육된 영제는 십상시의 수장인 장양(張讓)을 아버지, 부수장인 조충(趙忠)을 어머니라 부르며.

새로운!!: 공융와 십상시 · 더보기 »

시의 (동오)

시의(是儀, ? ~ ?)는 중국 후한 말에서 삼국시대 오나라 때의 문관으로, 자는 자우(子羽)이며, 북해군 영릉현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시의 (동오) · 더보기 »

원담

원담(袁譚, ? ~ 205년)은 후한 말의 세력가 원소의 장남으로 자는 현사(顯思)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원담 · 더보기 »

후한

후한(後漢, 25년~220년)은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킨 나라이.

새로운!!: 공융와 후한 · 더보기 »

황건적

황건적(黃巾賊)은 중국 후한(後漢) 말기에 장각(張角)을 우두머리로 하여 봉기해 184년 황건의 난을 일으킨 유적(流賊)이.

새로운!!: 공융와 황건적 · 더보기 »

황조

황조(黃祖, ? ~ 208년)는 중국 후한 말 형주목 유표 휘하의 무장으로 언제부터인가 강하태수로 재직.

새로운!!: 공융와 황조 · 더보기 »

황역

황역(黃射,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유표 휘하의 강하태수 황조의 아들이.

새로운!!: 공융와 황역 · 더보기 »

왕수 (후한)

왕수(王脩, ? ~ 220년 이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숙치(淑治)이며 청주(靑州) 북해군(北海郡) 영릉현(營陵縣) 사람이.

새로운!!: 공융와 왕수 (후한) · 더보기 »

1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공융와 153년 · 더보기 »

1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공융와 193년 · 더보기 »

1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공융와 196년 · 더보기 »

2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공융와 208년 · 더보기 »

9월 26일

9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9번째(윤년일 경우 27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융와 9월 2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공문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