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관민추도회

색인 관민추도회

민추도회(官民追悼會)는 1909년에 대한제국 정부가 주요 관리들을 참석시켜 진행한 이토 히로부미 추도 행사이.

26 처지: 민병석, 박제순, 고영희 (1849년), 궁내부, 김윤식 (1835년), 대한제국, 대한제국 군대해산, 대한협회, 장충단공원, 이병무, 이용직, 이토 히로부미, 이완용, 일진회, 조민희 (1859년), 조중응, 중구 (서울특별시), 유길준, 윤덕영, 윤효정, 서울특별시, 한성부민회, 10월 26일, 11월 2일, 11월 4일, 1909년.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민병석 · 더보기 »

박제순

박제순(朴齊純, 1858년 12월 7일 ~ 1916년 6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박제순 · 더보기 »

고영희 (1849년)

영희(高永喜, 1849년 12월 16일(음력 11월 2일) ~ 1916년 1월 24일)는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고영희 (1849년) · 더보기 »

궁내부

궁내부(宮內府)는 조선 말기인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때 신설되어 왕실 업무를 총괄한 관청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궁내부 · 더보기 »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김윤식 (1835년)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군대해산

제국 군대해산 당시 일본군에 의해 무장해제를 당하고 있는 대한제국군 모습 대한제국 군대 해산(大韓帝國軍隊解散)이란, 1907년 7월 31일 밤,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군대해산을 명하는 조칙을 내려 군대를 해산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대한제국 군대해산 · 더보기 »

대한협회

협회(大韓協會)는 대한 제국 시기인 1907년 11월 10일에 결성된 애국 계몽 운동 계열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대한협회 · 더보기 »

장충단공원

장충단 공원(奬忠壇公園)은 서울 중구의 남산 북쪽 기슭에 있는 공원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장충단공원 · 더보기 »

이병무

이병무(李秉武, 1864년 2월 8일(음력 1월 1일)~1926년 양력 12월 6일)는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모두 포함된 대한제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이병무 · 더보기 »

이용직

이용직(李容稙, 1852년 ~ 1932년 4월 3일)은 문장가로 유명하던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이용직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이완용 · 더보기 »

일진회

일진회(一進會)는 1904년 8월 송병준과 독립협회 출신 윤시병, 유학주, 동학교 이용구 등이 조직한 대한제국 시기의 대표적인 친일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단체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일진회 · 더보기 »

조민희 (1859년)

조민희(趙民熙, 1859년 11월 8일(음력 10월 14일) ~ 1931년 양력 1월 2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경술국적 중 한 사람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조민희 (1859년) · 더보기 »

조중응

조중응(趙重應, 1860년 11월 4일(음력 9월 22일) ~ 1919년 양력 8월 2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된 인물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조중응 · 더보기 »

중구 (서울특별시)

중구(中區)는 서울특별시의 중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중구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유길준 · 더보기 »

윤덕영

윤덕영(尹德榮, 1873년 12월 27일 ~ 1940년 10월 18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로, 본관은 해평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윤덕영 · 더보기 »

윤효정

윤효정(尹孝定, 1858년 ~ 1939년)은 구한말의 문신, 학자, 애국지사로 경기도 양주출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운정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윤효정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성부민회

성부민회(漢城府民會)는 1907년(융희 2년) 9월 유길준 등에 의해 자치단체를 지향하면서 한성부에서 결성된 대한제국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한성부민회 · 더보기 »

10월 26일

10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9번(윤년일 경우 3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10월 26일 · 더보기 »

11월 2일

1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6번째(윤년일 경우 3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11월 2일 · 더보기 »

11월 4일

1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8번째(윤년일 경우 3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11월 4일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관민추도회와 1909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장충단추도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