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광개토왕릉비

색인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의 탁본 광개토왕릉비 복제품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지안 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왕의 능비이.

73 처지: 동명성왕, 동부여, 무술 (간지), 백제, 갑진, 경자, 경주시, 경술, 고구려, 고국원왕, 병신, 광개토왕, 부여, 근초고왕, 기해, 금나라, 비려, 비류국, 대무신왕, 대방군, 내물 마립간, 노태돈, 장수왕, 재일 한국인, 임나, 임나일본부설, 평양성, 이기백, 이진희 (역사학자), 이형구, 이사금, 일본, 응회암, 을미, 정미, 정인보, 조선, 졸본, 종발성,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진구 황후, 지린성, 지안 시 (퉁화 시), , 유리명왕, 위례성, 탁본, 숙신, 삼국 시대, ..., 삼한정벌, 소금물, 한강, 하백, 아라가야, 아신왕, 신라, 황해도, , 1880년대, 1888년, 1970년대, 371년, 391년, 395년, 396년, 398년, 399년, 400년, 404년, 407년, 410년, 414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3 더) »

동명성왕

평양에 있는 동명성왕의 무덤 동명성왕(東明聖王) 또는 추모왕(鄒牟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19년 음력 9월)은 고구려의 초대 태왕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동명성왕 · 더보기 »

동부여

동부여의 세력권 (3세기경) 동부여(東夫餘)는 부여의 일부 세력이 동쪽으로 이동해 세운 나라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동부여 · 더보기 »

무술 (간지)

무술(戊戌)은 육십간지 중 35번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무술 (간지)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백제 · 더보기 »

갑진

갑진(甲辰)은 육십간지 중 41번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갑진 · 더보기 »

경자

경자(庚子)는 육십간지 중 37번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경자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술

경술(庚戌)은 육십간지 중 47번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경술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국원왕

국원왕(故國原王, ? ~ 371년 11월 16일(음력 10월 23일), 재위: 331년 ~ 371년)은 고구려의 제16대 국왕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고국원왕 · 더보기 »

병신

병신(丙申)은 육십간지 중 33번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병신 · 더보기 »

광개토왕

광개토왕(廣開土王, 374년 ~ 412년?, 재위: 391년? ~ 412년?)은 고구려의 제19대 군주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광개토왕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부여 · 더보기 »

근초고왕

왕(近肖古王, ? ~375년, 11월 재위: 346년 9월~375년 11월)은 백제의 제13대 국왕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근초고왕 · 더보기 »

기해

(己亥)는 육십간지 중 36번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기해 · 더보기 »

금나라

(大金, 1115년~1234년) 또는 암반 안취운 구룬(여진어: Amban Anʧu-un Gurun)은 여진족이 중국 동북지방, 몽골, 화베이 일대에 세운 왕조이자 동진국, 청나라와 더불어 만주의 제족 중 대표적인 퉁구스계 국가였.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금나라 · 더보기 »

비려

비려(碑麗) 또는 패려(稗麗)는 거란의 한 갈래라고 여겨지는 염수(鹽水, 시라무렌 강) 유역의 유목민 집단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비려 · 더보기 »

비류국

비류국(沸流國) 또는 다물국(多勿國), 비류나(沸流那)는 압록강의 만주 쪽 지류인 비류수(沸流水,:zh:浑江) 상류에 있었던 부족국가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비류국 · 더보기 »

대무신왕

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왕(재위: 18년~44년)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대무신왕 · 더보기 »

대방군

방군(帶方郡)은 중국의 삼국시대의 군벌 공손강(公孫康)이 3세기 초에 설치한 행정구역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대방군 · 더보기 »

내물 마립간

220px 내물 마립간(奈勿 麻立干, ? ~ 402년, 재위: 356년 ~ 402년) 또는 내물 이사금(奈勿 泥師今)은 신라의 17대 임금으로, 내물왕(奈勿王)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내물 마립간 · 더보기 »

노태돈

(盧泰敦, 1949년 8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사학자이자 대학교수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노태돈 · 더보기 »

장수왕

장수왕(長壽王, 394년~491년, 재위: 412년? 음력 10월~491년 음력 12월)은 고구려의 제20대 군주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장수왕 · 더보기 »

재일 한국인

재일 한국인의 수 변화 그래프 재일 한국인(在日韓國人) 또는 재일 조선인(在日朝鮮人)은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재일 한국인 · 더보기 »

임나

임나(任那) 또는 임나가라(任那加羅)는 가야의 다른 이름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임나 · 더보기 »

임나일본부설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 또는 남선경영론(南鮮經營論), 임나지왜재(任那之倭宰),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는 4세기 ~ 6세기에 왜국이 한반도 남부의 임나(가야)지역에 통치기구를 세워 한반도 남부 지방의 일부를 다스렸다는 학설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임나일본부설 · 더보기 »

평양성

평양성(平壤城)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평양성 · 더보기 »

이기백

이기백(李基白, 1924년 10월 21일 ~ 2004년 6월 2일)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로 본관은 여주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이기백 · 더보기 »

이진희 (역사학자)

이진희(李進熙, 1929년 ~ 2012년4월 15일)는 재일동포 역사연구자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이진희 (역사학자) · 더보기 »

이형구

이형구(1989년 5월 22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이형구 · 더보기 »

이사금

이사금(泥師今, 尼師今, 尼斯今, 泥斯今)은 신라에서 군주를 뜻했던 칭호 중 하나로, 신라 제3대 왕인 유리 이사금부터 18대 실성 이사금까지 사용된 명칭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이사금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일본 · 더보기 »

응회암

응회암(凝灰岩, Tuff)은 화산재가 쌓여서 굳어져서 만들어진 퇴적암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응회암 · 더보기 »

을미

을미(乙未)는 60간지 중 32번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을미 · 더보기 »

정미

정미(丁未)는 육십간지 중 44번째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정미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정인보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조선 · 더보기 »

졸본

졸본(卒本) 또는 홀본(忽本)은 고구려 동명성왕 주몽이 고구려를 세우며 도읍로 삼았다고 전해지는 곳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졸본 · 더보기 »

종발성

종발성(從拔城)은 광개토왕릉비에 나오는 임나가라(가야)의 지명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종발성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중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진구 황후

황후(170년? ~ 269년? 6월 3일(음력 4월 17일))은 이름은 오키나가타라시노히메미코토(気長足姫尊, 息長足姬尊), 오시타라노미코토(大帯比売命)로 전. 아버지는 가이카 천황의 현손 오키나가노스쿠네노미코로, 어머니는 신라 왕자 아메노히보코의 후손 가즈라키노다카누카히메이며, 오진 천황의 어머니로 기록되어 있고, 201년부터 269년까지 섭정을 하였다고 전. 연대에 대하여는 백제왕력을 기준으로 셈하여 120년을 더하면 321년부터 389년까지 섭정하였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진구 황후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지린성 · 더보기 »

지안 시 (퉁화 시)

안 또는 집안()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吉林省) 퉁화 시(通化市)의 현급시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지안 시 (퉁화 시) · 더보기 »

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청 · 더보기 »

유리명왕

유리명왕(瑠璃明王, 기원전 38년 ~ 18년)은 고구려의 제2대 태왕(재위: 기원전 19년 나이 20세 - 기원후 18년 나이 56세)으로 휘는 유리(榴璃 또는 類利) 또는 유류(孺留)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유리명왕 · 더보기 »

위례성

위례성(慰禮城)은 백제의 초기 도읍지였.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위례성 · 더보기 »

탁본

탁본(拓本)은 금속·기와·돌·나무 등에 새겨진 그림이나 문자를 베껴내는 것으로서 그 방법에는 습탁(濕拓)과 건탁(乾拓)의 두 가지가 있. 습탁은 사물에 직접 종이를 대고서 물을 칠한 다음 밀착시켜 솜뭉치 먹칠을 해서 두들기는 방법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탁본 · 더보기 »

숙신

숙신(肅愼 영어: Sushen, 중국어: 肃慎, 병음: Sùshèn)은 주대(周代)에 중국의 동북 지방에 살던 동이인 퉁구스계 민족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숙신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한정벌

삼한정벌(三韓征伐)이란 고대 일본 주아이 천황(仲哀天皇)의 황후이자 오진 천황(応神天皇)의 어머니인 진구 황후(神功皇后)가 신라에 군대를 보내 굴복시켰다는 이야기로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기록되어 있지만, 동시대의 《삼국지》나, 《삼국사기》와 같은 다른 사서에는 없는 기록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삼한정벌 · 더보기 »

소금물

소금물 또는 염수(塩水)는 용해된 소금 (염화나트륨)이 상당히 녹아든 물을 가리.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소금물 · 더보기 »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한강 · 더보기 »

하백

백(河伯)은 전설상의 인물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하백 · 더보기 »

아라가야

아라가야(阿羅伽倻), 안라(安羅)는 가야연맹의 주요국 중의 하나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아라가야 · 더보기 »

아신왕

아신왕(阿莘王, ? ~ 405년 9월, 재위: 392년 11월 ~ 405년 9월)은 백제의 제17대 국왕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아신왕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신라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황해도 · 더보기 »

16세기 중국에서 작성된 세계지도. 왜(倭)는 일본국(日本國)의 아래에 표기되어있다. 왜(倭) 또는 왜국(倭國, 왜나라)은 중국 등지에서 일본 열도 남서부에 위치했던 고대의 부족국가들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왜 · 더보기 »

1880년대

1880년대는 1880년부터 188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1880년대 · 더보기 »

1888년

188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1888년 · 더보기 »

1970년대

1970년대는 1970년부터 1979년을 가리.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1970년대 · 더보기 »

3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371년 · 더보기 »

39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391년 · 더보기 »

3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395년 · 더보기 »

3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396년 · 더보기 »

3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398년 · 더보기 »

3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399년 · 더보기 »

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400년 · 더보기 »

4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404년 · 더보기 »

4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407년 · 더보기 »

4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410년 · 더보기 »

4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광개토왕릉비와 414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광개토 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비, 광개토대왕비문, 광개토왕비, 광개토왕대릉비, 광개토태왕릉비, 광개토태왕릉비문, 호태왕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