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

색인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

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 또는 국방부 79호실은 1958년 창설된 대한민국 국방부의 예하 정보기관이었.

29 처지: 라오스, 미국, 베트남, 김정렬, 김정렬 (1917년),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대한민국 중앙정보연구위원회, 대한민국 육군본부, 국방부, 국방정보본부, 우익, 장관, 이승만, 이후락, 중앙정보국, 청와대, 최덕신, 연방수사국, 앨런 덜레스, 1958년, 1959년, 1960년, 3.15 부정선거, 4.19 혁명, 4월 19일, 5·16 군사 정변, 5월 2일.

라오스

오 인민민주주의공화국(프랑스어: République démocratique populaire lao) 또는 라오스()는 동남아시아의 국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라오스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미국 · 더보기 »

베트남

당시 베트남 전쟁 이전의 베트남 공산당 마크 베트남 전쟁 전에 베트남 내부의 공산당 마크이다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동남아시아 국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베트남 · 더보기 »

김정렬

정렬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김정렬 · 더보기 »

김정렬 (1917년)

정렬(金貞烈, 일본식 이름: 香川貞雄 카가와 사다오, 1917년 9월 29일 ~ 1992년 9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외교관, 기업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김정렬 (1917년)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대한민국 국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중앙정보부(中央情報部,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약칭:중정 또는 정보부)는 대한민국의 특별 행정기관이자 정보, 첩보, 수사 업무를 전담하는 기관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중앙정보연구위원회

중앙정보연구위원회(中央情報硏究委員會, 약칭:중정 또는 정보위)는 1960년 11월 11일에 조직된 대한민국의 정보 기관이자 정보, 첩보, 수사 업무를 전담하는 기관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대한민국 중앙정보연구위원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본부

육군본부(陸軍本部,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약칭: 육본)는 대한민국 육군을 총괄하는 기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대한민국 육군본부 · 더보기 »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Ministry of National Defense)는 국방을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국방부 · 더보기 »

국방정보본부

국방정보본부(國防情報本部, Defense Intelligence Agency 약칭: DIA)는 국방부 직할부대로 1981년 한국군의 첩보, 정보수집을 총괄하기 위해 창설된 정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국방정보본부 · 더보기 »

우익

우파(右派) 또는 우익(右翼)은 정치적 성향의 분포에서 좌파 또는 좌익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안정(보수)화를 바탕으로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말. 우파는 주로 보수적인 정치적 성향을.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우익 · 더보기 »

장관

각료(閣僚, Minister)란 국가정부 또는 지방정부에서 특별한 공직을 맡음으로써 다른 각료들과 협력하여 정책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적용하는 자를 말. 각료 사이에도 서열의 우열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대개 정부 내각에 입각.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장관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이승만 · 더보기 »

이후락

이후락(李厚洛, 1924년 2월 23일 ~ 2009년 10월 31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외교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이후락 · 더보기 »

중앙정보국

버지니아 랭리 CIA 본부의 항공사진 중앙정보국(中央情報局)은 미국의 정보 부처 중 하나(정보기관)로서, 외국 정부, 기업, 사이버 공간 등과 개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미국 정부의 여러 부처에 보고하는 임무를.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중앙정보국 · 더보기 »

청와대

청와대 정문 청와대(靑瓦臺, Cheongwadae, Blue House)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관계된 행정기관을 말. 집무공간인 본관, 공식행사공간인 영빈관, 주거공간인 관저, 외빈 접견 장소인 상춘재, 비서 부속기구인 대통령비서실, 경호 부속기구인 대통령경호처, 대언론 창구인 춘추관을.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청와대 · 더보기 »

최덕신

덕신(崔德新, 1914년 9월 17일 ~ 1989년 11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최덕신 · 더보기 »

연방수사국

연방수사국 본부가 위치한 J. 에드거 후버 빌딩 연방수사국(聯邦搜査局,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FBI)은 미국 법무부 산하의 수사 기관이자 정보기관으로서, 범죄 수사와 미국 내의 정보 수집 업무를 담당하고 있. 1908년에 법무부 검찰국(Bureau of Investigation)으로 발족하였으며 1935년 연방 수사국 (FBI)으로 개칭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연방수사국 · 더보기 »

앨런 덜레스

앨런 덜레스(1893년 4월 7일 – 1969년 1월 29일)는 미국의 외교관, 변호사.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앨런 덜레스 · 더보기 »

1958년

195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1958년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1959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1960년 · 더보기 »

3.15 부정선거

3·15 부정선거 또는 3·15 개표조작은 1960년 3월 15일 국민들의 직접선거에 의해 실시된 제4대 대통령 선거 및 제5대 부통령 선거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3.15 부정선거 · 더보기 »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4.19 혁명 · 더보기 »

4월 19일

4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9번째(윤년일 경우 1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4월 19일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5월 2일

5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2번째(윤년일 경우 123번째), 뒤에서부터는 2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와 5월 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국방부 79부대, 국방부 79호실, 국방부 제79부대, 국방부 중앙정보부, 국방부 중앙정보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