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궁서체

색인 궁서체

궁서체(宮書體) 또는 궁체(宮體)는 조선 시대 중기 이후에 궁녀들이 한글을 보다 빠르고 유연하게 쓰기 위해 사용한 한글 서. 선이 맑고 곧으며 단정하고 아담한 것이 특징으로, 현재 한글 서체의 표준이 되었.

13 처지: 계축일기, 궁녀, 김충현, 김유정역, 구례구역, 인현왕후전, 전주역, 조선, 판본체, 한글, 한중록, 홍성역, 20세기.

계축일기

축일기는 조선 제14대 왕 선조의 계비(繼妃)인 인목왕후(仁穆王后)를 모시던 나인으로 추정되는 이가 지은 조선시대의 궁중수필이.

새로운!!: 궁서체와 계축일기 · 더보기 »

궁녀

궁녀 궁녀(宮女)는 궁의 일을 보는 여성을 말. 본래 의미는 궁에 거주하는 모든 여성의 통칭으로 동의어로 궁인(宮人)·궁첩(宮妾)·내인(內人) 등이 있. 현대 국어사전에선 궁에서 노동력을 제공한 시비(侍婢)로서 내명부 관작을 받은 여인의 호칭으로 정의하고 있.

새로운!!: 궁서체와 궁녀 · 더보기 »

김충현

충현(金忠顯, 1921년 4월 2일 ~ 2006년 11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서예가이.

새로운!!: 궁서체와 김충현 · 더보기 »

김유정역

유정역(金裕貞驛)은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증리에 있는 경춘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궁서체와 김유정역 · 더보기 »

구례구역

역(求禮口驛)은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에 있는 전라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궁서체와 구례구역 · 더보기 »

인현왕후전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은 지은이와 연대 미상의 전기로, 원명은 《인현성모덕행록(仁顯聖母德行錄)》이.

새로운!!: 궁서체와 인현왕후전 · 더보기 »

전주역

전주역(全州驛)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3가에 있는 전라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궁서체와 전주역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궁서체와 조선 · 더보기 »

판본체

용비어천가 판본체(版本體/板本體)는 한글 글꼴의 종류이.

새로운!!: 궁서체와 판본체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궁서체와 한글 · 더보기 »

한중록

중록(閑中錄 또는 恨中錄)은 헌경왕후가 궁중생활 60년을 기록한 자전적인 회고록으로서 궁정 수필 및 자전적 수필로 분류되며, 쓰인 문체는 내간체(內簡體) 및 우유체(優柔體)이.

새로운!!: 궁서체와 한중록 · 더보기 »

홍성역

홍성역(洪城驛)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위치한 장항선의 역으로, 모든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가 정. 역무실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 향후 이 역에서 경의선 대곡역까지 가는 서해선 철도가 건설될 예정이.

새로운!!: 궁서체와 홍성역 · 더보기 »

20세기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세기는 190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궁서체와 20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궁체, 궁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