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교헌

색인 김교헌

(金敎獻, 개명(改名)은 김헌(金獻), 1868년 ~ 1923년)은 대종교의 제2대 교주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37 처지: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건국훈장, 경기도, 경주 김씨, 북로군정서, 대종교, 대한독립선언서, 대한민국 정부, 구월산, 나철, 단조사고, 일제 강점기, 청산리 전투, 윤세복, 수원시, 성균관, 한성부, 신단민사, 신단실기, 10월, 11월, 1868년, 1885년, 1898년, 1909년, 1910년, 1914년, 1915년, 1916년, 1918년, 1920년, 1923년, 1942년, 1977년, 8월 15일, 9월 1일.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김교헌와 독립협회 · 더보기 »

만민공동회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또는 관민공동회(官民共同會)는 조선말, 대한제국의 대토론회, 시민운동이자 시민사회단체로 독립협회에서 처음 주관하였다가 1898년 4월을 기점으로 독립협회의 영향력에서 독자적인 민중대회, 단체로 성장.

새로운!!: 김교헌와 만민공동회 · 더보기 »

건국훈장

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

새로운!!: 김교헌와 건국훈장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교헌와 경기도 · 더보기 »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교헌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북로군정서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는 1919년 북간도에서 만든 무장독립운동 단체이.

새로운!!: 김교헌와 북로군정서 · 더보기 »

대종교

종교(大倧敎)는 한민족의 교조로 여겨지는 단군을 신봉하는 신흥 종교이.

새로운!!: 김교헌와 대종교 · 더보기 »

대한독립선언서

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 또는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는 1919년 2월 1일에 발표된 독립선언서이.

새로운!!: 김교헌와 대한독립선언서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정부서울청사 대한민국 정부(大韓民國 政府)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헌법기관으로 구성되어 있. 넓은 의미로는 이 3부 기관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행정부만을 일컫.

새로운!!: 김교헌와 대한민국 정부 · 더보기 »

구월산

월산(九月山)은 황해남도 은율군, 삼천군, 안악군, 은천군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 954m이.

새로운!!: 김교헌와 구월산 · 더보기 »

나철

(羅喆, 1863년 12월 2일 ~ 1916년 음력 8월 15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종교의 창시자이고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로, 본명은 나두영(羅斗永), 개명은 나인영(羅寅永)이며 아호는 홍암(弘巖)이.

새로운!!: 김교헌와 나철 · 더보기 »

단조사고

《단조사고》(檀祖事攷)는 1911년 대종교협제회에서 간행된 책으로, 순한문체로 되어 있.

새로운!!: 김교헌와 단조사고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김교헌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청산리 전투

청산리 전투(靑山里 戰鬪) 또는 청산리 대첩(靑山里 大捷)은 1920년 10월 김좌진, 나중소(羅仲昭), 서일, 이범석 등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홍범도가 지휘하는 대한독립군, 대한신민단 예하 신민단 독립군 등 주축으로 활약한 만주 독립군 연합 부대가 중화민국 길림성 화룡현 청산리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완루구(完樓溝) 등지의 10여 차례에 간도에 출병한 일본 제국 육군과 전투를 벌인 총칭이.

새로운!!: 김교헌와 청산리 전투 · 더보기 »

윤세복

윤세복(尹世復, 본명: 윤세린, 尹世麟, 1881년 ~ 1960년)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의 대종교의 제3세 도사교이며 초대 총전교(總典敎)이.

새로운!!: 김교헌와 윤세복 · 더보기 »

수원시

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김교헌와 수원시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김교헌와 성균관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김교헌와 한성부 · 더보기 »

신단민사

《신단민사》(神檀民史)는 1904년 김교헌이 저술한 책으로, 단군조선부터 고종황제까지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

새로운!!: 김교헌와 신단민사 · 더보기 »

신단실기

《신단실기》(神檀實記)는 김교헌이 저술하여 1914년 2월 간행, 1923년 6월 재간행된 한국의 고대사에 대한 책이.

새로운!!: 김교헌와 신단실기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김교헌와 10월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김교헌와 11월 · 더보기 »

1868년

186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868년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885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898년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09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10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14년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15년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16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18년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20년 · 더보기 »

1923년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23년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42년 · 더보기 »

1977년

197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교헌와 1977년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교헌와 8월 15일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교헌와 9월 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