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성민 (영화 감독)

색인 김성민 (영화 감독)

성민(金聖珉, 일본식 이름: 宮原惣一 미야하라 소이치, 1915년 5월 15일 ~ 1969년 1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자 대한민국의 시나리오 작가 겸 영화 감독으로, 본명은 김만익(金萬益)이며 평안남도 평양부(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출신이.

30 처지: 만포선, 마이니치 신문사,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대한민국, 뇌졸중, 녕변군, 평양직할시, 평안북도, 평안남도, 이병일, 이용민 (영화 감독), 일본, 일본어, 일제 강점기, 정창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타이완, 삼천리 (일제 강점기의 잡지), 한형모, 11월 9일, 1915년, 1936년, 1937년, 1940년, 1941년, 1948년, 1950년대, 1969년, 5월 15일.

만포선

만포선(滿浦線)은 평안남도 순천과 자강도 만포시를 연결하는 철도노선이며, 1939년에 전구간이 개통되었.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만포선 · 더보기 »

마이니치 신문사

마이니치 신문사()는 마이니치 신문을 발행하는 신문사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마이니치 신문사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뇌졸중

졸중(腦卒中, stroke, apoplexy),, 腦卒症)은 뇌혈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레 유발된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하는 말이다. 뇌졸중은 증상에 대한 용어로서, 의학적인 질병으로 칭할 때에는 뇌혈관 질환(腦血管疾患, cerebrovascular accident, 줄여서 CVA)이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cerebrovascular stroke이라고 한다. 한의학적인 표현을 빌려, 흔히 중풍(中風)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중풍이라는 말은 좀 더 광의의 표현이다. 뇌졸중은 크게 뇌경색과 뇌출혈로 분류된다. 뇌는 몸 전체에서 무게로는 체중의 2%만 차지하지만, 뇌로 가는 혈류량은 심박출량의 15%나 되고, 산소 소모량은 몸 전체 산소 소모량의 20%나 된다. 게다가 뇌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만을 사용하므로 에너지 공급이 잠시만 중단되어도 쉽게 괴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뇌혈류의 이상은 뇌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환자의 98%가 편측마비(hemiplegia), 언어장애,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때문에 병원을 찾는다고 밝혔다. 또한, 3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아야 막힌 혈관을 뚫거나 뇌경색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혈전용해제는 뇌졸중 증상이 최초 발생한 이후 3시간 이내에 인체에 투여될 때, 뇌세포의 괴사를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고, 뇌출혈 등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골든타임'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CT, MRI 촬영과 진단에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60분 이내에 종합병원 응급실에 가급적 도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래야지 적절한 혈전용해제 치료를 기대 할 수 있다.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뇌졸중 · 더보기 »

녕변군

녕변군(寧邊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동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녕변군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평안북도 · 더보기 »

평안남도

평안남도(平安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평안남도 · 더보기 »

이병일

이병일(李炳逸, 1910년 6월 2일 ~ 1978년)은 한국의 영화 감독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이병일 · 더보기 »

이용민 (영화 감독)

이용민(1916년~ 1983년 4월 26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이용민 (영화 감독)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일본 · 더보기 »

일본어

일본어(「にっぽんご」를 표제어로 세우고 있는 국어사전은 일본국어대사전 등 소수에 그친다.)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일본어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정창화

정창화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정창화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중화민국 · 더보기 »

타이완

이완 또는 대만()은 동아시아에 있는 섬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타이완 · 더보기 »

삼천리 (일제 강점기의 잡지)

삼천리(三千里)란, 1929년 6월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발행된 취미, 시사 중심의 월간 종합 잡지를 말. 김동환, 김동인, 이광수, 염상섭 정지용, 나혜석, 김일엽, 장면 등이 필진으로 참여하였.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삼천리 (일제 강점기의 잡지) · 더보기 »

한형모

형모(韓瀅模, 1917년 4월 29일~1999년 9월 22일)는 한국의 영화 감독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한형모 · 더보기 »

11월 9일

11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3번째(윤년일 경우 3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1월 9일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915년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936년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937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940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941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948년 · 더보기 »

1950년대

1950년대는 1950년부터 195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950년대 · 더보기 »

1969년

196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1969년 · 더보기 »

5월 15일

5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5번째(윤년일 경우 1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성민 (영화 감독)와 5월 1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성민 (1915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