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남포 (1489년)

색인 남포 (1489년)

(南褒, 1489년 ~ 1570년)는 조선의 문신이.

68 처지: 무오사화, 감악산 (경기), 갑자사화, 경기도, 고려, 곡산군, 공조, 봉상시, 기묘사화, 김굉필, 김종직, 대간, 남곤, 남효온, 남재, 남이, 남은, 임권, 이극돈, 의령 남씨, 의금부, 의정부, 적성, 조광조, 조선, 조선 중종, 조선 선조, 중종반정, 진사, 지평, 춘추관, 추증, 유지 (가수), 영의정, 혜민서, 예조, 연산군일기, 사림파, 사간원, 사헌부, 소격서, 하비, 심정 (1471년), 홍문관, 11월, 11월 7일, 11월 9일, 12월, 1320년, 1331년, ..., 1441년, 1489년, 1502년, 1506년, 1508년, 1509년, 1514년, 1520년, 1523년, 1524년, 1530년, 1537년, 1570년, 1월, 3월, 4월, 6월, 8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 더) »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유자광과 연산군이 김일손 등의 신진세력인 사림파를 제거한 사화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무오사화 · 더보기 »

감악산 (경기)

악산(紺岳山)은 경기도 파주시, 양주시, 연천군 사이에 있는 높이 675m의 산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감악산 (경기)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갑자사화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경기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고려 · 더보기 »

곡산군

곡산군(谷山郡)은 황해북도의 군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곡산군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공조 · 더보기 »

봉상시

봉상시(奉常寺)는 조선의 행정기관으로 국가의 제사와 시호 등을 맡아보던 기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봉상시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김굉필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김종직 · 더보기 »

대간

(臺諫)은 관리의 감찰과 간언을 하는 벼슬아치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대간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남곤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남효온 · 더보기 »

남재

재(南在, 1351년 ~ 1419년)는 조선의 개국 공신으로, 자는 경지, 호는 귀정, 본관은 의령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남재 · 더보기 »

남이

이(南怡, 1441년 ~ 1468년 10월 27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장군, 정치인, 시인, 척신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남이 · 더보기 »

남은

은(南誾, 1354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다. 고려 말기에 왜구 토벌과 신진사대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 개국에 공을 세웠다. 개국공신 1등으로 의성군에 봉해졌고, 사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뒤 의성부원군으로 추봉되었다. 본관은 의령이고, 시호는 강무(剛武)이다. 행촌 이암의 외손녀사위이기도 하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남은 · 더보기 »

임권

임권(任權, 1486년 ~ 155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임권 · 더보기 »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이극돈 · 더보기 »

의령 남씨

의령 남씨(宜寧 南氏)는 경상남도 의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의령 남씨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의정부 · 더보기 »

적성

적성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적성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진사

사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진사 · 더보기 »

지평

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지평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춘추관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추증 · 더보기 »

유지 (가수)

정유지(鄭有智, 1991년 1월 2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뮤지컬 배우로, EXID와 베스티의 출신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유지 (가수)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영의정 · 더보기 »

혜민서

혜민서(惠民署)는 조선시대에 의약과 일반 서민의 치료를 맡아본 관청으로, 오늘날의 국립중앙의료원에 해당.

새로운!!: 남포 (1489년)와 혜민서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예조 · 더보기 »

연산군일기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는 1494년 음력 12월부터 1506년 음력 1월까지 조선 연산군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연산군일기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사림파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사헌부 · 더보기 »

소격서

소격서(昭格署)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조선의 관청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소격서 · 더보기 »

하비

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남포 (1489년)와 하비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남포 (1489년)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홍문관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1월 · 더보기 »

11월 7일

11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1번째(윤년일 경우 3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1월 7일 · 더보기 »

11월 9일

11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3번째(윤년일 경우 3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1월 9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2월 · 더보기 »

13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320년 · 더보기 »

13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331년 · 더보기 »

14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441년 · 더보기 »

14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489년 · 더보기 »

15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02년 · 더보기 »

15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06년 · 더보기 »

15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08년 · 더보기 »

15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09년 · 더보기 »

15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14년 · 더보기 »

15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20년 · 더보기 »

15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23년 · 더보기 »

15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24년 · 더보기 »

15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30년 · 더보기 »

15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37년 · 더보기 »

15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570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1월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3월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4월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6월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남포 (1489년)와 8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남포 (조선 중기), 지지당, 지지당 남포, 창랑거사, 소요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