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논리학의 역사

색인 논리학의 역사

리학의 역사는 타당한 추론을 탐구하는 학문인 논리학의 발전사를 말. 형식논리학은 고대의 중국, 인도, 그리스에서 발전.

126 처지: 러셀의 역설, 독일, 동인도, 리하르트 데데킨트, 마르크스주의,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마하바라타, 메가라 학파,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 모형 이론, 명제논리, 무함마드 알리 진나, 묵가, 묵자, 배타적 논리합, 개념론, 갈레노스, 바빌로니아, 밀의 방법, 건전성 정리, 결정 문제, 경험, 범주, 버트런드 러셀,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 철학, 고대 이집트, 고틀로프 프레게, 보이티우스, 과학철학, 공리, 공자, 계산 가능성 이론, 변증법, 괴델의 완전성 정리, 관념론, 불 논리, 불교, 불교의 사상, 분석철학, 부정, 귀류법, 귀납, 기독교 철학, 기하학, 대입, 대시, 국가 (플라톤), 디나미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 논리합, 논리학, 다비트 힐베르트, 니야야 학파, 스토아 학파, 용수, 튜링 기계, 회의주의, 잠재력과 실제, 잉글랜드, 크리시포스, 퍼지 논리, 이란, 이데아론, 이븐 타이미야, 이율배반, 인도 철학, 인도의 역사, 인간 지성론, 일원론, 제2차 세계 대전, 절두체, 정의, 조지 불, 존 벤, 존 스튜어트 밀, 증명 이론, 집합론, 진리, 철학, 철학적 논리학, 추론 규칙, 추단, 쿠르트 괴델, 유교, 유추, 파라비, 파르메니데스, 파니니, 상대주의, 타당성, 수리논리학, 수학, 수학 원리, 수학기초론, 수학적 귀납법, 오르가논, 오류,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형식논리학, 언어학, 양상 논리, 행성, 에이브러햄 로빈슨, 연역, 연속체 가설, 엘레아의 제논, 산술, 삼단논법, 피타고라스, 플라톤, 프랜시스 베이컨,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선택 공리,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소피스트, 소소크라테스 학파, 해석,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알프레트 타르스키, 아리스토텔레스, 아울루스 겔리우스, 아카데메이아, 아서 프라이어, 실재론.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6 더) »

러셀의 역설

셀의 역설(-逆說, Russell's paradox)은 수학자 버트런드 러셀이 1901년 발견한 논리적 역설로 프레게의 논리체계와 칸토어의 소박한 집합론이 모순을 지닌다는 것을 보여준 예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러셀의 역설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독일 · 더보기 »

동인도

동인도 동인도(東印度)는 인도의 지리적으로 동부 지역을 뜻. 인구는 226,925,195명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동인도 · 더보기 »

리하르트 데데킨트

율리우스 빌헬름 리하르트 데데킨트(1831년 10월 6일~1916년 2월 12일)는 독일 태생의 수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리하르트 데데킨트 · 더보기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또는 마르크시즘() 혹은 엥겔스식 표현으로 과학적 사회주의는 사회 계급의 관계와 사회적 충돌에 초점을 둔 사회적 분석의 방법이자 세계관인데, 역사전개를 유물사관론적으로 해석하며, 사회 변동을 변증법적 견해로 해석.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마르크스주의 · 더보기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 기원전 106년 1월 3일 - 기원전 43년 12월 7일)는 로마시대의 정치가, 웅변가, 문학가,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더보기 »

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의 한 장면 마하바라타(데바나가리 문자: महाभारत)는 라마야나, 바가바탐과 함께 인도의 3대 고대 서사시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마하바라타 · 더보기 »

메가라 학파

메가라 학파는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던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를 시조로 하는 철학의 학. 에우크레이데스는, 존재는 선만이 존재한다고 주장.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메가라 학파 · 더보기 »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 (희랍어: Ευκλείδης)는 기원전 400년 무렵의 그리스의 소크라테스 학파의 철학자이자, 메가라 학파의 창설자.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 · 더보기 »

모형 이론

수리논리학에서 모형 이론(模型理論)은 수리논리학적 도구들을 이용해 추상대수학이나 집합론의 모형을 이루는 수학적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모형 이론 · 더보기 »

명제논리

명제 논리(命題論理, propositional logic)는 논리식을 이용해 명제를 기술하는 형식 체계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명제논리 · 더보기 »

무함마드 알리 진나

무함마드 알리 진나 (1945년) 무함마드 알리 진나(Muhammad Ali Jinnah, 1876년 12월 25일 ~ 1948년 9월 11일)는 인도의 독립운동가이자 인도 이슬람교 정치인, 파키스탄의 정치인이며 파키스탄의 초대 총독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무함마드 알리 진나 · 더보기 »

묵가

묵가(墨家)는 춘추전국시대에 존재하였던 제자백가의 한 학파로, 묵자(墨子, 기원전 470~391?)를 시조로 하며, 전국시대에 활약하다가, 진시황의 통일 이후 홀연히 사라졌.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묵가 · 더보기 »

묵자

묵자(기원전 470?~391?)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송 허난 성에서 탄생한 사상가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묵자 · 더보기 »

배타적 논리합

배타적 논리합(排他的論理合, exclusive or)은 수리 논리학에서 주어진 2개의 명제 가운데 1개만 참일 경우를 판단하는 논리 연산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배타적 논리합 · 더보기 »

개념론

(槪念論)은 보편은 마음이 낳은 개념이며 보편자(普遍者), 예컨대 신은 개념의 내용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개념론 · 더보기 »

갈레노스

우디오스 갈레노스(129년 9월 1일 ~ 199년?)는 고대 로마의 의학자이며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갈레노스 · 더보기 »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Babylonia)는 메소포타미아 남쪽의 고대 왕국으로, 이전 시대의 수메르 지방과 아카드 지방을 아우르며,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 메소포타미아 남동쪽의 지명이.'바빌로니아'라는 이름은 수도였던 바빌론(Babylon)에서 유래하였.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바빌로니아 · 더보기 »

밀의 방법

밀의 방법(Mill's Methods)은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이 1843년 저서 《논리의 구조》에서 소개한 다섯 가지 귀납의 방법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밀의 방법 · 더보기 »

건전성 정리

전성 정리(soundness theorem, 健全性定理)는 일차 논리학에서 연역 계산이 건전성을 가진다는 내용의 정리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건전성 정리 · 더보기 »

결정 문제

산 이론에서 결정 문제(decision problem, 판정 문제)란 어떤 형식 체계에서 예-아니오 답이 있는 질문을 말..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결정 문제 · 더보기 »

경험

일반적인 관점으로서의 경험(經驗) 또는 체험(體驗)은 사물이나 사건에 노출되거나 수반됨을 통해 얻는 물건이나 사건의 관찰이나 기술의 지식을 이루고 있. 경험의 개념은 보통 비결이나 명제적 지식보다는 절차적 지식을 일컫.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경험 · 더보기 »

범주

범주 또는 카테고리(category)는 같은 특성을 지닌 부류나 범위를 말. 또한 범주(範疇)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범주 · 더보기 »

버트런드 러셀

제3대 러셀 백작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 3rd Earl Russell, OM, FRS, 1872년 5월 18일 ~ 1970년 2월 2일)은 영국의 수학자, 철학자, 수리논리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 May 2003.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버트런드 러셀 · 더보기 »

고대 그리스

아크로폴리스에 있다. 고대 그리스의 정교함과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고대 그리스(Ancient Greece)란 그리스의 역사 가운데 기원전 1100년경부터 기원전 146년까지의 시대를 일컫.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고대 그리스 · 더보기 »

고대 그리스 철학

엠피리쿠스의 대화 (엠피리쿠스 스케치) 고대 그리스 철학(Ancient Greek philosophy)은 일찍이 고대 그리스에서 흥한 철학의 총칭.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고대 그리스 철학 · 더보기 »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 문명은 나일 강 하류에서 번성한 문명이었으며, 최전성기인 기원전 15세기에는 나일 강 삼각주에서 제벨 바르카까지 세력을 뻗쳤으며 이 시기에는 에티오피아와.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고대 이집트 · 더보기 »

고틀로프 프레게

리드리히 루트비히 고틀로프 프레게(1848년 11월 8일 ~ 1925년 7월 26일)는 독일의 수리논리학자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고틀로프 프레게 · 더보기 »

보이티우스

아니키우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 세베리누스 보이티우스(480년~524년)는 로마 최후의 저술가·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보이티우스 · 더보기 »

과학철학

학철학(科學哲學, philosophy of science)은 철학의 한 갈래로, 과학의 방법이나 과학적 인식의 기초에 대한 철학적 탐구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과학철학 · 더보기 »

공리

공리(公理)는 어떤 이론체계에서 가장 기초적인 근거가 되는 명제(命題)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공리 · 더보기 »

공자

공자() 또는 공부자(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유교 > 공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공자 · 더보기 »

계산 가능성 이론

산 가능성 이론(計算可能性理論) 또는 재귀 이론(再歸理論)은 수학기초론의 중요한 분야이자 컴퓨터 과학에서는 계산 이론의 한 갈래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계산 가능성 이론 · 더보기 »

변증법

변증법 (辯證法, dialectics)이란 이성적 주장을 통해 진리를 확립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두 명 이상의 사람들 사이의 담론(談論)이.비슷한말은 대화법, 문답법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변증법 · 더보기 »

괴델의 완전성 정리

수리논리학에서, 괴델의 완전성 정리(Gödel-完全性定理)는 1차 논리에서 증명 가능한 명제의 집합은 모형을 갖는다는 정리.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괴델의 완전성 정리 · 더보기 »

관념론

제임스 진스는 "우주가 거대한 기계라기보다는 거대한 정신처럼 보이기 시작한다"라고 기술하였다. 관념론(觀念論)은 실체 또는 우리가 알 수 있는 실체는 근본적으로 정신적이거나 정신적으로 구성되었거나 또는 비물질적이라고 주장하는 철학적 입장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관념론 · 더보기 »

불 논리

불 논리(Boolean logic)는 논리적 산법의 완전한 체계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불 논리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불교 · 더보기 »

불교의 사상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서 고타마 붓다에 의해 창시된 종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불교의 사상 · 더보기 »

분석철학

분석철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버트런드 러셀 분석철학(分析哲學, 애널리틱 펄라서피)은 철학 연구에서 언어 분석의 방법이나 기호 논리의 활용이 불가결하다고 믿는 이들의 철학을 총칭한 것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분석철학 · 더보기 »

부정

수리 논리학에서 부정(否定)은 명제의 참과 거짓을 반전하는 논리 연산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부정 · 더보기 »

귀류법

법(歸謬法)은 어떤 주장에 대해 그 함의하는 내용을 따라가다보면 이치에 닿지 않는 내용 또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보여서 그 주장이 잘못된 것임을 보이는 것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귀류법 · 더보기 »

귀납

납 추론(歸納推論)은 1620년에 프랜시스 베이컨이 창안한 추론 방법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귀납 · 더보기 »

기독교 철학

독교 철학(Christian Philosophy)이란 기독교적 논리, 원리, 그리고 방법을 갖는 철학이라고 할 수 있. 일반적으로 서양철학의 분야.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기독교 철학 · 더보기 »

기하학

학(幾何學)은 공간에 있는 도형이나 대상들의 치수, 모양, 상대적 위치 등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기하학 · 더보기 »

대입

입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대입 · 더보기 »

대시

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대시 · 더보기 »

국가 (플라톤)

《국가》 또는 《정체》(政體)는 플라톤의 철학과 정치학에 관한 주저로, 기원전 380년경 에 소크라테스 주도의 대화체로 쓰여졌.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국가 (플라톤) · 더보기 »

디나미스

미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에네르게이아의 대개념으로 쓰이는 술어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디나미스 · 더보기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17세기 판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기원후 3세기 고대 그리스의 전기 작가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 더보기 »

논리합

리합(logical sum, 論理合, OR)이란 수리 논리학에서 주어진 복수 명제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참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논리 연산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논리합 · 더보기 »

논리학

리학(論理學,, logic)은 인간의 두뇌 활동과 관련하여 그 원리들을 분석하고 명제화하여 체계화하는 학문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논리학 · 더보기 »

다비트 힐베르트

비트 힐베르트(1862년 1월 23일~1943년 2월 14일)는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다비트 힐베르트 · 더보기 »

니야야 학파

야야 학파(Nyāya)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정리론(正理論) 또는 정리학파(正理學派).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니야야 학파 · 더보기 »

스토아 학파

스토아 학파는 그리스 로마 철학의 한 학파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스토아 학파 · 더보기 »

용수

용수는 술이나 장 등을 거를 때 쓰는 둥글고 긴 통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용수 · 더보기 »

튜링 기계

링 기계의 작동 방식을 묘사하는 그림 이론 전산학에서, 튜링 기계()는 긴 테이프에 쓰여있는 여러 가지 기호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바꾸는 기계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튜링 기계 · 더보기 »

회의주의

회의주의(懷疑主義)는 회의론(懷疑論)이라고도 부르며, 크게 철학적 회의주의와 종교적·과학적 회의주의.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회의주의 · 더보기 »

잠재력과 실제

잠재력과 실제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제창된 철학 용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잠재력과 실제 · 더보기 »

잉글랜드

영국 내에서의 잉글랜드 위치. 잉글랜드의 지역 (Region). 잉글랜드()는 영국의 구성국 중 하나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잉글랜드 · 더보기 »

크리시포스

리시포스의 부분 대리석 흉상, 루브르 박물관 솔로이의 크리시포스(기원전 280년? - 기원전 207년?)는 초기 그리스 스토아 학파의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크리시포스 · 더보기 »

퍼지 논리

리(Fuzzy logic)는 불분명한 상태, 모호한 상태를 참 혹은 거짓의 이진 논리에서 벗어난 다치성으로 표현하는 논리 개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퍼지 논리 · 더보기 »

이란

이란()은 서남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공화국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이란 · 더보기 »

이데아론

이데아론은 플라톤이 처음 주장한 형이상학 이론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이데아론 · 더보기 »

이븐 타이미야

이븐 타이미야(Ibn Taymiyyah, 1263년 ~ 1328년)는 시리아의 법학자 겸 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이븐 타이미야 · 더보기 »

이율배반

이율배반(二律背反) 논리적으로도 사실적(事實的)으로도 동등한 근거가 성립하면서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된 두 명제의 관계를 뜻.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이율배반 · 더보기 »

인도 철학

인도 철학(印度哲學Indian philosophy) 또는 인도의 사상(印度의 思想Indian thoughts)은 인도 아대륙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인도 철학 · 더보기 »

인도의 역사

인도의 역사는 호모 에렉투스가 생활하던 시기인 50만년 전까지 소급될 수 있. 호모 사피엔스는 7만5천년 전 타밀 나두 지방에서 생활하기 시작하였.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인도의 역사 · 더보기 »

인간 지성론

인간 지성론 초판 《인간 지성론(人間知性論,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1690)》은 존 로크의 주저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인간 지성론 · 더보기 »

일원론

자 또는 절대자라는 형이상학적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한 것이다.. 일원론(一元論)은 존재와 같은 개념에 단일성()을 적용하는 시각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일원론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절두체

학에서 절두체(frustum)는 입체(보통 원뿔이나 각뿔)를 절단하는 하나나 두 평행면 사이의 부분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절두체 · 더보기 »

정의

안대를 두르고 저울과 칼을 든 유스티티아는 정의의 상징이다. 정의(正義)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공정하고 올바른 상태를 추구해야 한다는 가치로, 대부분의 법이 포함하는 이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정의 · 더보기 »

조지 불

조지 불(1815년 11월 2일~1864년 12월 8일)은 영국의 수학자, 논리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조지 불 · 더보기 »

존 벤

존 벤 존 벤(John Venn, 1834년 8월 4일 ~ 1923년 4월 4일)은 영국의 논리학자, 도덕 철학자.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존 벤 · 더보기 »

존 스튜어트 밀

존 스튜어트 밀 (John Stuart Mill, 1806년 5월 20일~1873년 5월 8일)은 영국의 사회학, 철학자이자 정치경제학자로서, 논리학, 윤리학, 정치학, 사회평론 등에 걸쳐서 방대한 저술을.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존 스튜어트 밀 · 더보기 »

증명 이론

수리논리학에서, 증명 이론(證明理論)은 증명을 형식적인 수학적 개체로 표상하여 수학적 기법으로 이용하여 증명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가능하는 이론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증명 이론 · 더보기 »

집합론

집합론(集合論)은 추상적 대상들의 모임인 집합을 연구하는 수학 이론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집합론 · 더보기 »

진리

리(眞理)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참된 도리'이며, 사실이 분명하게 맞아 떨어지는 명제, 또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불변적인 사실 혹은 참된 이치나 법칙을 뜻. 참, 진실 등으로 불리.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진리 · 더보기 »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철학 · 더보기 »

철학적 논리학

학적 논리학은 철학적 문제들을 풀거나 논의를 진전시키는데 사용하는 전통적인 논리적 방법론들을 가리.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철학적 논리학 · 더보기 »

추론 규칙

칙(推論規則)은 논리학에서 논리식으로부터 다른 논리식을 이끄는 규칙을 말. 공리, 대입 규칙, 추론 규칙에 의해서 이론을 형식화한 것이 공리.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추론 규칙 · 더보기 »

추단

(鄒丹, ? ~ 194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추단 · 더보기 »

쿠르트 괴델

르트 괴델(1906년 4월 28일 ~ 1978년 1월 14일)은 불완전성의 정리로 유명한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쿠르트 괴델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유교 · 더보기 »

유추

유추(類推)는 유비(類比) 또는 아날로지(Analogy)라고도 하며, 연역 · 귀납과는 다른 특수한 것으로부터 특수한 것을 이끄는 추리를 말. 두 개의 특수한 대상에서 어떤 징표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징표도 일치하고 있음을 추정.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유추 · 더보기 »

파라비

자흐스탄 지폐의 파라비의 모습 나스르 무함마드 이븐 무함마드 파라비(872년~950년)는 이슬람(투르크계)의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파라비 · 더보기 »

파르메니데스

르메니데스(Παρμενίδης, 기원전 510년 경 - 기원전 450년 경)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파르메니데스 · 더보기 »

파니니

(Panini)는 바케트나 이탈리아 빵에 고기나 살라미, 살루미, 치즈, 햄, 샐러드 등을 넣어서 만드는 샌드위치로 일종의 서브마린 샌드위치에 속. 이탈리아의 노동자들이 일하던 중간에 먹던 것에서 유래하였.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파니니 · 더보기 »

상대주의

상대주의(相對主義)는 경험과 문화 등 여러 가지 조건의 차이에 따라 가치 판단 또는 진실의 기준이 달라진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사상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상대주의 · 더보기 »

타당성

당성(妥當性)은 다음의 의미가 있.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타당성 · 더보기 »

수리논리학

수리논리학(數理論理學)은 논리학에서 사용하는 명제들을 수학적인 기호로 표시하는 학문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수리논리학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수학 · 더보기 »

수학 원리

《수학 원리》 요약본 표지. 56장까지만 수록되어 있다. 《수학 원리》(1910-1913)는 3권으로 이루어진 러셀과 화이트헤드의 공저서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수학 원리 · 더보기 »

수학기초론

수학기초론(Foundations of mathematics)은 수학의 분야들 중 수리논리학과 공리적 집합론, 모형 이론, 증명 이론 및 계산 가능성 이론 등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수학기초론 · 더보기 »

수학적 귀납법

수학적 귀납법(數學的歸納法)은 모든 자연수가 어떤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킨다는 명제를 증명하는 방법의 하나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수학적 귀납법 · 더보기 »

오르가논

오르가논(Organon)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작 전체를 가리키는 명칭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오르가논 · 더보기 »

오류

오류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오류 · 더보기 »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形而上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철학원리 책들(the principal works)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 더보기 »

형식논리학

형식논리학(形式論理學)은 사고(판단·개념)의 내용을 무시하고 추리의 형식상 타당성 성립 조건만을 연구하는 논리학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형식논리학 · 더보기 »

언어학

일반적으로 언어학(言語學)은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언어학 · 더보기 »

양상 논리

리학에서, 양상 논리(樣相論理)는 명제의 필연성·가능성·불가능성을 서술할 수 있는 논리 체계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양상 논리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행성 · 더보기 »

에이브러햄 로빈슨

에이브러햄 로빈슨(1918–1974)은 비표준해석학을 창시한 수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에이브러햄 로빈슨 · 더보기 »

연역

리학에서 연역적 추론(演繹的推論,deductive reasoning)은 이미 알고 있는 판단을 근거로 새로운 판단을 유도하는 추론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연역 · 더보기 »

연속체 가설

집합론에서, 연속체 가설(連續體假說,, 약자 CH)은 실수 집합의 모든 부분 집합은 가산 집합이거나 아니면 실수 집합과 크기가 같다는 명제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연속체 가설 · 더보기 »

엘레아의 제논

250px 엘레아의 제논(기원전 490년경 ~ 기원전 430년경)은 소크라테스 이전 시대 마그나 그라에키아(magna graecia)의 철학자이며 파르메니데스에 의해 만들어진 엘레아 학파의 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엘레아의 제논 · 더보기 »

산술

산술(算術, arithmetic)은 수학의 가장 역사 깊은 분야로, 수의 개념이나 수에 대하여 간단한 계산을 하는 방법, 그 성질이나 계산의 법칙 등의 이론적인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산술 · 더보기 »

삼단논법

삼단논법(三段論法)은 미리 알려진 두 판단에서 그것들과는 다른 하나의 새로운 판단으로 이끄는 추리 방법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삼단논법 · 더보기 »

피타고라스

스(기원전 582년 경 - 기원전 497년 경)는 이오니아의 그리스 철학자이자, 피타고라스 학파라 불린 종교 단체의 교주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피타고라스 · 더보기 »

플라톤

(Plátōn, "넓은, 어깨 폭이 넓은";,; 기원전 428년/기원전 427년 또는 기원전 424년/기원전 424년 ~ 기원전 348년/기원전 347년)은 서양의 다양한 학문에 영향력을 가진 그리스의 철학자이며 사상가였.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플라톤 · 더보기 »

프랜시스 베이컨

제1대 세인트앨번 자작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st Viscount of Saint Alban, 1561년 1월 22일~1626년 4월 9일)은 영국의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프랜시스 베이컨 · 더보기 »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시스코 수아레스(Francisco Suarez, 1548년 1월 5일 ~ 1617년 9월 25일)는 에스파냐의 신(新)스콜라학의 대표적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 더보기 »

선택 공리

선택 공리의 형상화. 선택 함수는 각 집합 S_i를 그 속의 원소 x_i\in S_i로 대응시킨다. 집합론에서, 선택 공리(選擇公理,, 약자 AC)는 공집합이 아닌 집합에서 한 원소를 고를 수 있으며, 또한 이를 무한 번 반복할 수 있다는 공리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선택 공리 · 더보기 »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기원전 2세기부터 아마 3세기)는 알렉산드리아, 로마, 아테네 등 여러가지 토지에 살았다는 의학자, 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 더보기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독일어: Vorsokratiker, 영어: Presocratics)란 문자 그대로 소크라테스 이전에 살았던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를 한데 묶어서 쓰는 낱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 더보기 »

소피스트

소피스트()는 고대 그리스의 특정 종류의 교사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소피스트 · 더보기 »

소소크라테스 학파

소소크테스 학파는 플라톤 등 그 외의 제자들이 나름대로 창시한 학파로, 키니코스 학파(學派), 키레네 학파, 메가라 학파, 엘리스 학파 등이 있. 키니코스 학파는 안티스테네스가 열었는데, 시노페의 디오게네스와 테베의 크라테스(전 365경-전 285)가 속해 있었.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소소크라테스 학파 · 더보기 »

해석

석(解釋)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현상이나 혹은 그 언어에 의한 표현이 지니는 의미를 명확히 함을 말. 현상 가운데에서도 문화현상에 관하여 일정한 입장에서 일관된 방법으로 하는 것을 말할 경우가 많. 특히 딜타이는 인간의 문화와 역사의 표현은 개인의 체험적 표현이며, 각 개인의 체험에는 공통된 것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해석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하여, 그 방법(해석학)을 확립.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해석 · 더보기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OM, FRS, 1861년 2월 15일 ~ 1947년 12월 30일)는 영국의 철학자·수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 더보기 »

알프레트 타르스키

알프레트 타르스키(1901년 1월 14일 ~ 1983년 10월 26일)는 폴란드의 논리학자·수학자·철학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알프레트 타르스키 · 더보기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 ~ 322년)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플라톤의 제자이며,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아리스토텔레스 · 더보기 »

아울루스 겔리우스

아울루스 겔리우스(Aulus Gellius, 125?-165?)는 고대 로마의 수필가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아울루스 겔리우스 · 더보기 »

아카데메이아

아테네의 지도. 북서쪽에 아카데메이아가 보인다. 플라톤 시대의 아카데메이아를 그린 모자이크화. 아카데메이아 유적지. 그리스의 아테네(2008년 촬영). 아카데메이아 또는 아카데미아(Ἀκαδημ(ε)ια, Akadēm(e)íā)는,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 서북쪽 교외에 위치한 고대의 영웅 아카데메스의 성스러운 숲에서 기원한 신역(神域)으로, 리케이온, 키노사르게스 등과 함께 대표적인 김나지움(체육장) 소재지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아카데메이아 · 더보기 »

아서 프라이어

아서 윌러드 프라이어(Arthur Willard Pryor, 1870년 9월 22일 ~ 1942년 6월 18일)는 미국의 작곡가 그리고 편곡가, 정치인으로 미국 미주리 주에 있는 라이시엄 극장의 2층에서 태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아서 프라이어 · 더보기 »

실재론

실재론(實在論)은 의식, 주관으로부터 독립된 실재를 인정하고, 그것을 올바른 인식의 목적 및 기준으로 보는 관점이.

새로운!!: 논리학의 역사와 실재론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논리학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