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농상공부

색인 농상공부

농상공부(農商工部) 또는 농상아문(農商衙門)은 조선 후기 농업, 상업, 공업, 통신, 해운 등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이.

23 처지: 독립운동, 공조, 공업, 광무 (연호), 김가진,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대한제국 고종, 농업, 을미개혁, 조선, 융희, 상업, 통신, 해운, 한일 병합 조약, 1895년, 1898년, 1900년, 1901년, 1910년.

독립운동

독립운동(獨立運動,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또는 해방운동(解放運動)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얻거나, 스스로의 국가 또는 세력을 세우기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를 말. 그러므로 국가의 독립은 기존 국가에 속한 일부 지역이나 타국의 지배하에 있던 영역이, 그 지배를 벗어나 새로운 국가로 성립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농상공부와 독립운동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농상공부와 공조 · 더보기 »

공업

공업(工業)은 원자재를 가공해 제품을 만드는 산업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공업 · 더보기 »

광무 (연호)

광무(光武)는 1897년 8월 17일부터 1907년 8월 11일까지 대한제국 고종 때에 사용한, 대한제국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광무 (연호) · 더보기 »

김가진

(金嘉鎭, 1846년 음력 1월 29일 ~ 1922년 7월 4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김가진 · 더보기 »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학기술정보통신부(科學技術情報通信部, Ministry of Science and ICT, 약칭: 과기정통부, MSIT)는 과학기술정책의 수립·총괄·조정·평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협력·진흥, 과학기술인력 양성, 원자력 연구·개발·생산·이용, 국가정보화 기획·정보보호·정보문화, 방송·통신의 융합·진흥 및 전파관리, 정보통신산업, 우편·우편환 및 우편대체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더보기 »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農林畜産食品部,, 약칭: 농식품부, MAFRA)는 농산·축산, 식량·농지·수리, 식품산업진흥, 농촌개발 및 농산물 유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産業通商資源部,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약칭: 산업부, MOTIE)는 상업·무역·공업·통상, 통상교섭 및 통상교섭에 관한 총괄·조정, 외국인 투자, 중견기업, 산업기술 연구개발정책 및 에너지·지하자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 더보기 »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양수산부(海洋水産部,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약칭: 해수부, MOF)는 해양정책, 수산, 어촌개발 및 수산물 유통, 해운·항만, 해양환경, 해양조사, 해양수산자원개발, 해양과학기술연구·개발 및 해양안전심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농업

농사를 짓는 모습. 농업(農業)은 농경(農耕)이라고도 하며, 흙이나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익한 식물(곡물, 채소, 과일, 화훼, 약재, 섬유 등)의 재배와 생산 그리고 가축들의 생산 및 품질 관리에 관계되는 온갖 활동과 연구를 일컫.

새로운!!: 농상공부와 농업 · 더보기 »

을미개혁

을미개혁(乙未改革)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을미사변 직후부터 1896년 2월 11일(을미년 음력 12월 28일) 아관파천 직전까지 추진된 조선의 제도 개혁을 말. 제1·2차 갑오개혁을 주도한 김홍집이 내각의 수반이었고 갑오개혁의 연장선에 있다고 보아 제3차 갑오개혁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을미개혁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조선 · 더보기 »

융희

융희(隆熙)는 대한제국 순종 때의 연호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융희 · 더보기 »

상업

상업(商業)은 경제적인 가치, 즉 상품이나 서비스나 정보, 또는 돈을 사고 파는 행위로 이익을 추구하는 일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상업 · 더보기 »

통신

통신(通信)은 소식을 전하는 것으로 우편, 전신, 전화 등의 매체를 사용하여 정보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을 말. 영어인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흔. 우리의 일상생활은 상호간에 의사를 소통하지 않고서는 영위되지 않. 즉 사람들은 음신(音信)이나 표정 또는 손짓·발짓에 의해, 그리고 그림(또는 문자)을 그리는 것 등을 통하여 자기 의사나 기타 정보를 타인에게 전달하고, 후대의 사람, 또는 장소를 달리하는 타인, 다수의 사람에게 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

새로운!!: 농상공부와 통신 · 더보기 »

해운

운(海運) 또는 해상 교통(海上交通)는 수상 교통 중에서도 바다(해상)을 이용한 교통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해운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1895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1898년 · 더보기 »

1900년

190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1900년 · 더보기 »

1901년

190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1901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농상공부와 1910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농상공부대신, 농상아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