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색인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大韓獨立促成全國勞動總同盟), 줄여 대한노총(大韓勞總)은 좌파 노동조합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에 대항하여 등장한 대한민국 초기의 우파의 어용 노동조합으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전신이.

45 처지: 민족주의, 민주화, 반공주의, 공산주의, 대통령,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정부, 남조선로동당, 노동자, 노동절, 노동조합, 우익, 자유당 (대한민국), 폭력, 폭력 조직, 이승만,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좌익, 철도, 허성택, 서울특별시,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신탁통치령, 10월 10일, 10월 1일, 10월 7일, 1945년, 1946년, 1947년, 1948년, 1950년, 1952년, 1952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1959년, 1960년, 3월 10일, 3월 22일, 4.19 혁명, 8월 15일, 9월 23일, 9월 24일.

민족주의

민족주의(民族主義) 또는 혈통적 국민주의()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 대표적인 예로 1992년 독립을 선포한 압하스인들의 자신들의 민족만의 나라를 건설하고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압하지야 공화국이나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 있.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민족주의 · 더보기 »

민주화

초록색: 자유 국가, 살구색: 부분적 자유 국가, 파랑색: 비자유 국가 민주화(民主化)는 일반적으로 정치 체제 안에서 민주주의가 확대되는 과정을 가리.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민주화 · 더보기 »

반공주의

반공주의(反共主義, Anti-communism) 또는 반공산주의(反共産主義)는 공산주의를 반대하는 정치 이념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반공주의 · 더보기 »

공산주의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는 자본가 계급이 소멸되고, 노동자 계급이 주체가 된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무계급 사회 조직, 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 또는 그러한 체제를 목표로 삼는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정치 운동들을 일컫.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공산주의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대통령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2대 총선(大韓民國第二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2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50년 5월 30일에 치러졌.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남한 총선거의 벽보용 선거 홍보물. 낱장 칼라본. 전면에 태극기를 가로질러 건 독립문과 당시 군정청 건물로 선거하러 가는 인물들이 그려지고, 상단에 총선거 일시(5월 10일)가 표시됨. 중앙에 ‘총선거로 독립문이 열린다’, ‘중앙정부수립’, 좌우로 ‘기권은 국민의 수치’, ‘투표는 애국민의 의무’라는 표어가 인쇄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또는 9.99 총선거는 1999년 9월 9일에 제헌 국회를 구성할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정부서울청사 대한민국 정부(大韓民國 政府)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헌법기관으로 구성되어 있. 넓은 의미로는 이 3부 기관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행정부만을 일컫.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대한민국 정부 · 더보기 »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남조선로동당 · 더보기 »

노동자

동자(勞動者) 또는 근로자(勤勞者)는 사용자(使用者)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임금을 지급받는 사람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노동자 · 더보기 »

노동절

1990년 동독의 노동절 1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 1920년 일본의 제1회 노동절 노동절(勞動節) 또는 메이 데이()는 노동자의 권익과 복지를 향상하고 안정된 삶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한 날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노동절 · 더보기 »

노동조합

1912년 미국, 로렌스 섬유 파업 당시 군인들에게 둘러싸인 시위자들. 노동조합(勞動組合)은 노동자들이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만든 노동자의 사회단체를 말. 줄여서 노조(勞組, Union).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노동조합 · 더보기 »

우익

우파(右派) 또는 우익(右翼)은 정치적 성향의 분포에서 좌파 또는 좌익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안정(보수)화를 바탕으로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말. 우파는 주로 보수적인 정치적 성향을.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우익 · 더보기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에 대한민국에서 창당된 보수정당이며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자유당 (대한민국) · 더보기 »

폭력

학살은 극악의 폭력이다.나치에 의해 부헨발트 집단수용소에 갇힌 수감인들. 폭력(暴力)은 신체적인 손상을 가져오고, 정신적·심리적인 압박을 가하는 물리적인 강제력을 말. 법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협박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 와 함께 다른 사람을 감금하는 행위, 주거에 침입하는 행위, 기물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폭력이라 표현.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폭력 · 더보기 »

폭력 조직

폭력 조직(暴力組織)은 집단적으로 혹은 상습적으로 폭력적 불법행위를 하거나 할 위험성이 있는 조직이나 집단을 말.폭력조직, 《글로벌 세계 대백과》 그 무리를 조직폭력배(組織暴力輩), 조폭(組暴)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폭력 조직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이승만 · 더보기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전국노동조합협의회(全國勞動組合協議會)는 대한민국에서 1990년에 결성하여 1995년에 해산한 노동조합의 상위단체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전국노동조합협의회 · 더보기 »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朝鮮勞動組合全國評議會), 줄여서 전평(全評)은 한국의 초기 노동조합이자 광복 직후인 1945년 11월 5일 허성택에 의해 세워진 남로당, 좌파 계열의 노동조합이었.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 더보기 »

좌익

좌익(左翼) 또는 좌파(左派)는 정치적 성향 분포에서 우익 또는 우파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평등 또는 평등주의를 지지하거나 수용하고 사회적 계급과 사회적 불평등에 반대하는 활동 또는 정치적 입장을 말.Lukes, Steven.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좌익 · 더보기 »

철도

400px 400px 철도(鐵道)는 철 궤도와 철차륜의 마찰을 주행 방식으로 하는 광범위한 운송수단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철도 · 더보기 »

허성택

성택(許成澤, 1908년 함북 성진 출생 ~ 1958년 ?)은 한국의 노동운동가, 독립운동가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허성택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국노동조합총연맹(韓國勞動組合總聯盟,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약칭 한국노총, FKTU)은 대한민국의 노동조합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 더보기 »

신탁통치령

1945년의 세계, 신탁통치령은 초록색으로 표시되어있다. 신탁통치령(信託統治領) 혹은 신탁통치지역(信託統治地域)은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의 후신으로 2차 세계대전 후 국제 연맹이 유엔으로 대체됨에 따라 생.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신탁통치령 · 더보기 »

10월 10일

10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3번째(윤년일 경우 2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0월 10일 · 더보기 »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0월 1일 · 더보기 »

10월 7일

10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0번째(윤년일 경우 2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0월 7일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45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46년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47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48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50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52년 · 더보기 »

1952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1952년 지방 선거(1952年地方選挙)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시행된 지방선거(地方選擧)로, 시(市),읍(邑),면(面)의회의원선거와 도(道)의회의원선거가 별개로 진행되었.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52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59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1960년 · 더보기 »

3월 10일

3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9번째(윤년일 경우 7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3월 10일 · 더보기 »

3월 22일

3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1번째(윤년일 경우 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3월 22일 · 더보기 »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4.19 혁명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8월 15일 · 더보기 »

9월 23일

9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6번째(윤년일 경우 2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9월 23일 · 더보기 »

9월 24일

9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7번째(윤년일 경우 2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와 9월 2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 대한노총.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