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미술협회

색인 한국미술협회

국미술협회(韓國美術協會)는 1961년에 창립된 대한민국의 미술 단체이.

39 처지: 도상봉, 미 군정, 박서보, 고희동, 변관식, 김병기 (화가), 김기승, 김인승, 김인승 (화가), 김은호, 김종영, 김영중, 김세중, 김환기, 대한민국,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미술대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장발 (화가), 장우성, 이마동, 이종무, 이순석, 조선미술건설본부, 유강렬, 최중길, 사단법인, 서울대학교, 서세옥, 손재형, 한국미술협회, 홍익대학교, 1945년, 1948년, 1956년, 1962년, 5·16 군사 정변, 6월 5일.

도상봉

상봉(都相鳳, 1902년 ~ 1977년)은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도상봉 · 더보기 »

미 군정

미 군정(美軍政, 米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미 군정 · 더보기 »

박서보

박서보(朴栖甫, 1931년 11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미술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박서보 · 더보기 »

고희동

희동(高羲東, 1886년 3월 11일 ~ 1965년 10월 22일)은 대한제국 시기부터 동양화를 공부한 동양화가이자 한국인 최초의 서양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고희동 · 더보기 »

변관식

변관식(卞寬植, 1899년 3월 19일 ~ 1976년 2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변관식 · 더보기 »

김병기 (화가)

병기(金秉騏, 1916년 ~)는 평양 출신으로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병기 (화가) · 더보기 »

김기승

승(金基昇, 1909-2000)은 대한민국의 서예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기승 · 더보기 »

김인승

인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인승 · 더보기 »

김인승 (화가)

인승(金仁承, 일본식 이름: 金城仁承, 1910년 1월 19일 ~ 2001년 6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고 호는 지연(智淵)이며 본관은 설성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인승 (화가) · 더보기 »

김은호

은호(金殷鎬, 일본식 이름: 鶴山殷鎬 쓰루야마 마사시노기, 1892년 6월 24일 ~ 1979년 2월 7일)는 대한민국의 동양화가, 한국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은호 · 더보기 »

김종영

종영(金鍾瑛, 1915년 ~ 1982년)은 대한민국의 조각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종영 · 더보기 »

김영중

영중(金泳仲, 1926년 3월 15일 ~ 2005년 8월 21일)은 대한민국의 조각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영중 · 더보기 »

김세중

세중(金世中, 1928년 7월 24일 ~ 1986년 6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조각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세중 · 더보기 »

김환기

환기(金煥基, 1913년 2월 27일 ~ 1974년 7월 25일)는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김환기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文化體育觀光部,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약칭: 문체부, MCST)는 문화·예술·영상·광고·출판·간행물·체육·관광, 국정에 대한 홍보 및 정부발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미술대전

민국미술대전(大韓民國美術大展)은 대한민국의 미술 분야 신인을 발굴하기 위한 공모전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대한민국미술대전 · 더보기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민국미술전람회(大韓民國美術展覽會)는 대한민국의 미술 분야에서 1949년부터 1981년까지 열린 공모전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더보기 »

장발 (화가)

장발(張勃, Thomas Chang, 1901년 4월 3일 ~ 2001년 4월 8일)은 대한민국의 미술가이며 서양화가 겸 외교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장발 (화가) · 더보기 »

장우성

장우성(張遇聖, 1912년 6월 22일 ~ 2005년 2월 28일)은 한국의 현대 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장우성 · 더보기 »

이마동

이마동(李馬銅, 1906~1980)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장과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을 지낸 미술가로 1906년 충남 아산에서 출생하였.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이마동 · 더보기 »

이종무

이종무(李從茂, 1360년 ~ 1425년)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이종무 · 더보기 »

이순석

이순석(李順石, 1905 ~ 1986)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공예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이순석 · 더보기 »

조선미술건설본부

조선미술건설본부(朝鮮美術建設本部)는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에 미군정 지역인 서울에서 결성된 미술인 단체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조선미술건설본부 · 더보기 »

유강렬

유강렬(劉康烈, 1920 ~ 1976)은 대한민국의 공예가, 염색사, 판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유강렬 · 더보기 »

최중길

중(崔重吉, 1917년 ~)은 대한민국의 서예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최중길 · 더보기 »

사단법인

사단법인(社團法人) 또는 사단(社團)은 사람의 집합체인 단체이며, 법인으로서 법률상 권리·의무의 주체임을 인정받은 것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사단법인 · 더보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장(Emblem)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서울대학교 · 더보기 »

서세옥

서세옥(徐世鈺, 1929년 ~)은 대한민국의 동양화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서세옥 · 더보기 »

손재형

손재형(孫在馨, 1902년∼1981년 6월 15일)은 대한민국의 서예가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손재형 · 더보기 »

한국미술협회

국미술협회(韓國美術協會)는 1961년에 창립된 대한민국의 미술 단체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한국미술협회 · 더보기 »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弘益大學校, Hongik University)는 서울특별시와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 대학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홍익대학교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1945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1948년 · 더보기 »

1956년

195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1956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1962년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6월 5일

6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6번째(윤년일 경우 1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미술협회와 6월 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미술협회, 조선미술협회, 한국미술가협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