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

색인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

민국의 등록문화재(大韓民國 登錄文化財)는 문화재청장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에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이.

112 처지: 만화 코주부삼국지,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 백용성 역 조선글화엄경,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 백용성 역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 백용성 역 한글본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백용성 역 신역대장경(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 발해태조건국지‧명림답부전, 간호교과서,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 강경 갑문, 강경 채운산배수지, 강경성당, 고령 관음사 칠성도, 고흥 소록도 마리안느와 마가렛 사택,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 고흥 소록도 한센인 생활 유품, 고종황제 하사 족자,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공주 신원사 소림원 석고미륵여래입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부산 구 백제병원,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 부산대학교 구 본관, 김룡사 사료수집, 김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 대동단결선언문서, 대본산 김룡사 본말사 연혁 원고, 대구 동화사 괘불도, 대흥동성당, 대한민국 문화재청, 대한민국 최초 운용 전투기(F-51D 무스탕),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 대한지질도,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구약전서, 국민성금 헌납기, 군용 담요 코트, 딜쿠샤, 이천 수광리 오름가마, 의병장 유인석 심의, 제주 정광사 소조미륵여래입상, 정암철교, 저항라 적삼, 조계산 송광사사고, 조선요리제법, 조선지질도, 진주 의곡사 괘불도, ..., 진안 천황사 괘불도, 찬송가(UNION HYMNAL), 채색필사본 대동여지도, 청도 신둔사 영산보탑 및 탑비, 천로역정(합질),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유림 양복, 유길준 단령, 색복 장려 깃발, 순천 송광사 송광사사료집성,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 예수성교전서,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 최현배 의복, 양단 아리랑 드레스, 양산 통도사 자장암 마애아미타여래삼존상, 여운형 혈의, 사천 다솔사 괘불도, 프란체스카 여사 의복과 소품, 석주명 유품,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서울 남대문로 2층 한옥 상가,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서재필 진료가운, 통영 용화사 괘불도,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한암스님 가사, 안동교회 (안동시), 신약 마가전 복음서언해, 완주 화암사 괘불도, 10월 12일, 10월 20일, 10월 23일, 10월 29일, 10월 30일, 12월 15일, 12월 16일, 12월 26일, 12월 5일, 12월 8일, 1월 6일,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월 11일, 2월 15일, 3·1독립선언서, 4월 20일, 4월 27일, 4월 6일, 5월 29일, 6월 14일, 6월 21일, 8월 17일, 8월 18일, 8월 22일, 8월 25일, 8월 8일, 9월 1일, 9월 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2 더) »

만화 코주부삼국지

만화 코주부삼국지는 경기도 부천시,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만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만화 코주부삼국지 · 더보기 »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은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동에 있는, 문태고등학교의 본관 건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 · 더보기 »

백용성 역 조선글화엄경

백용성 역 『조선글화엄경』는 전라북도 장수군, 죽림정사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백용성 역 조선글화엄경 · 더보기 »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朝鮮語楞嚴經)』은 전라북도 장수군 죽림정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 · 더보기 »

백용성 역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

백용성 역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는 전라북도 장수군 죽림정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원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백용성 역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 · 더보기 »

백용성 역 한글본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백용성 역 한글본『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백용성 역 한글본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 더보기 »

백용성 역 신역대장경(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

백용성 역『신역대장경(新譯大藏經)』(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은 전라북도 장수군 죽림정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백용성 역 신역대장경(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 · 더보기 »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백용성 선사 萬日禪會 芳啣錄)은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일제강점기 만일참선결사의 방함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 · 더보기 »

발해태조건국지‧명림답부전

발해태조건국지‧명림답부전(渤海太祖建國誌·明臨答夫傳)은 백암(白巖) 박은식(朴殷植)의 저작인 『발해태조건국지』와 『명림답부전』의 합철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발해태조건국지‧명림답부전 · 더보기 »

간호교과서

호교과서는 간호사의 교육 목적으로 간행된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간호교과서 · 더보기 »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는 강원도 강릉시 운정동 선교장에 있는 태극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 · 더보기 »

강경 갑문

강경 갑문(江景 閘門)은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 설치된 갑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강경 갑문 · 더보기 »

강경 채운산배수지

강경 채운산배수지는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 있는 저수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강경 채운산배수지 · 더보기 »

강경성당

강경성당은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강경성당 · 더보기 »

고령 관음사 칠성도

령 관음사 칠성도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관음사에 있는 칠성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고령 관음사 칠성도 · 더보기 »

고흥 소록도 마리안느와 마가렛 사택

흥 소록도 마리안느와 마가렛 사택은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국립소록도병원 내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고흥 소록도 마리안느와 마가렛 사택 · 더보기 »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

흥 소록도 병사성당은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국립소록도병원에 있는 성당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 · 더보기 »

고흥 소록도 한센인 생활 유품

흥 소록도 한센인 생활 유품은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국립소록도병원 내에 있는 생활 유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고흥 소록도 한센인 생활 유품 · 더보기 »

고종황제 하사 족자

종황제 하사 족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의의학박물관에 있는 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고종황제 하사 족자 · 더보기 »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은 경기도 고양시의 북한산 대성암에 있는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 더보기 »

공주 신원사 소림원 석고미륵여래입상

공주 신원사 소림원 석고미륵여래입상은 충청남도 공주시, 신원사 소림원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공주 신원사 소림원 석고미륵여래입상 · 더보기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은 광주교육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대학부설기관으로 호남지역의 유일한 교육전문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 더보기 »

부산 구 백제병원

부산 구 백제병원은 부산광역시 동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부산 구 백제병원 · 더보기 »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 · 더보기 »

부산대학교 구 본관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에 있는 건축물로 현재는 부산대학교 인문관으로 활용되고 있. 2014년 10월 30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4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부산대학교 구 본관 · 더보기 »

김룡사 사료수집

《김룡사 사료수집》(金龍寺 史料蒐集)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있는 김룡사의 연혁과 건축 관련 기록을 담은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김룡사 사료수집 · 더보기 »

김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

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김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 · 더보기 »

대동단결선언문서

동단결선언문서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동단결선언문서 · 더보기 »

대본산 김룡사 본말사 연혁 원고

『대본산 김룡사 본말사 연혁』원고(『大本山 金龍寺 本末寺 沿革』원고)는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원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본산 김룡사 본말사 연혁 원고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괘불도

동화사 괘불도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구 동화사 괘불도 · 더보기 »

대흥동성당

전 대흥동성당은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에 있는 성당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흥동성당 · 더보기 »

대한민국 문화재청

문화재청(文化財廳,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약칭: CHA)은 문화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한민국 문화재청 · 더보기 »

대한민국 최초 운용 전투기(F-51D 무스탕)

민국 최초 운용 전투기(F-51D 무스탕)은 공군사관학교내 공군박물관과 서울 전쟁기념관에 있는 전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한민국 최초 운용 전투기(F-51D 무스탕) · 더보기 »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

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동은의학박물관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 · 더보기 »

대한지질도

조선지질도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지질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한지질도 · 더보기 »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는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15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에 있는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 더보기 »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에 있는, 충주시장 소유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 더보기 »

구약전서

약전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대한성서공회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성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구약전서 · 더보기 »

국민성금 헌납기

국민성금 헌납기(T-6 건국기)는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67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국민성금 헌납기 · 더보기 »

군용 담요 코트

용 담요 코트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한국현대의상박물관에 있는, 미군 군용 담요로 만든 코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군용 담요 코트 · 더보기 »

딜쿠샤

샤(Dilkusha) 또는 앨버트 테일러 가옥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2길 17(행촌동 1-88번지)에 자리잡고 있는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지상 2층 규모의 서양식 주택으로, 대한제국 및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활동하던 미국의 기업인 겸 언론인 앨버트 테일러와 그의 아내 메리 린리 테일러가 살던 곳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딜쿠샤 · 더보기 »

이천 수광리 오름가마

이천 수광리 오름가마는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광리에 있는 가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이천 수광리 오름가마 · 더보기 »

의병장 유인석 심의

의병장 유인석 심의는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복식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의병장 유인석 심의 · 더보기 »

제주 정광사 소조미륵여래입상

제주 정광사 소조미륵여래입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정광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제주 정광사 소조미륵여래입상 · 더보기 »

정암철교

정암철교(鼎岩鐵橋)는 경상남도 의령군과 함안군을 연결하는,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철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정암철교 · 더보기 »

저항라 적삼

저항라 적삼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있는 의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저항라 적삼 · 더보기 »

조계산 송광사사고

조계산 송광사사고(曺溪山 松廣寺史庫)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조계산 송광사사고 · 더보기 »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제법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있는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조선요리제법 · 더보기 »

조선지질도

조선지질도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지질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조선지질도 · 더보기 »

진주 의곡사 괘불도

주 의곡사 괘불도는 경상남도 진주시 의곡사에 있는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진주 의곡사 괘불도 · 더보기 »

진안 천황사 괘불도

안 천황사 괘불도는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천황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진안 천황사 괘불도 · 더보기 »

찬송가(UNION HYMNAL)

송가(UNION HYMNAL)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있는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찬송가(UNION HYMNAL) · 더보기 »

채색필사본 대동여지도

색필사본 대동여지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신유본 를 모사한 필사본 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채색필사본 대동여지도 · 더보기 »

청도 신둔사 영산보탑 및 탑비

청도 신둔사 영산보탑 및 탑비는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석탑과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청도 신둔사 영산보탑 및 탑비 · 더보기 »

천로역정(합질)

역정(합질)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 있는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천로역정(합질) · 더보기 »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주교 진산 성지성당은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에 있는, (재)대전교구 천주교회유지재단 소유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 더보기 »

유림 양복

유림 양복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에 있는, 독립운동가 유림의 양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유림 양복 · 더보기 »

유길준 단령

유길준 단령(兪吉濬 團領)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학교에 있는 조선시대의 의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유길준 단령 · 더보기 »

색복 장려 깃발

색복 장려 깃발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국립여성사전시관에 있는 깃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색복 장려 깃발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송광사사료집성

순천 송광사 『송광사 사료집성(松廣寺 史料集成)』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기록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순천 송광사 송광사사료집성 · 더보기 »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대한성서공회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 · 더보기 »

예수성교전서

예수성교전서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예수성교전서 · 더보기 »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는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 · 더보기 »

최현배 의복

현배 의복은 울산광역시 중구 외솔최현배선생기념관에 있는 최현배 선생의 의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최현배 의복 · 더보기 »

양단 아리랑 드레스

양단 아리랑 드레스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한국현대의상박물관에 있는 의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양단 아리랑 드레스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자장암 마애아미타여래삼존상

양산 통도사 자장암 마애아미타여래삼존상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양산 통도사 자장암 마애아미타여래삼존상 · 더보기 »

여운형 혈의

여운형 혈의는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몽향여운형기념관에 있는 여운형의 의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여운형 혈의 · 더보기 »

사천 다솔사 괘불도

사천 다솔사 괘불도는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 다솔사에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사천 다솔사 괘불도 · 더보기 »

프란체스카 여사 의복과 소품

스카 여사 의복과 소품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한국현대의상박물관에 있는, 프란체스카 여사가 36년간 착용한 의복 및 소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프란체스카 여사 의복과 소품 · 더보기 »

석주명 유품

석주명 유품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있는 문화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석주명 유품 · 더보기 »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永同 寧國寺 圓覺國師碑)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 더보기 »

서울 남대문로 2층 한옥 상가

서울 남대문로 2층 한옥 상가는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서울 남대문로 2층 한옥 상가 · 더보기 »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 더보기 »

서재필 진료가운

서재필 진료가운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의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서재필 진료가운 · 더보기 »

통영 용화사 괘불도

통영 용화사 괘불도는 경상남도 통영시, 용화사에 있는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통영 용화사 괘불도 · 더보기 »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에 있는 훈장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 더보기 »

한암스님 가사

암스님 가사(한암스님 袈裟)은 강원도 평창군 월정사에 있는, 한암스님의 승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한암스님 가사 · 더보기 »

안동교회 (안동시)

안동교회(安東敎會)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화성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경안노회 소속의 교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안동교회 (안동시) · 더보기 »

신약 마가전 복음서언해

신약 마가전 복음서언해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대한성서공회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신약 마가전 복음서언해 · 더보기 »

완주 화암사 괘불도

완주 화암사 괘불도는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화암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완주 화암사 괘불도 · 더보기 »

10월 12일

10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5번째(윤년일 경우 2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0월 12일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0월 20일 · 더보기 »

10월 23일

10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6번째(윤년일 경우 2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0월 23일 · 더보기 »

10월 29일

10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2번째(윤년일 경우 30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0월 29일 · 더보기 »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0월 30일 · 더보기 »

12월 15일

1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9번째(윤년일 경우 3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2월 15일 · 더보기 »

12월 16일

12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0번째(윤년일 경우 35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2월 16일 · 더보기 »

12월 26일

12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0번째(윤년일 경우 3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2월 26일 · 더보기 »

12월 5일

12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9번째(윤년일 경우 3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2월 5일 · 더보기 »

12월 8일

1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2번째(윤년일 경우 3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2월 8일 · 더보기 »

1월 6일

1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1월 6일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2014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2015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2016년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2017년 · 더보기 »

2018년

20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2018년 · 더보기 »

2월 11일

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2번째(윤년일 경우도 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2월 11일 · 더보기 »

2월 15일

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6번째(윤년일 경우도 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2월 15일 · 더보기 »

3·1독립선언서

3·1독립선언서(3·1獨立宣言書)는 조선이 주권을 가진 독립국임을 선언한 문서로 1919년 3월 1일의 3·1 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을 선언한 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3·1독립선언서 · 더보기 »

4월 20일

4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0번째(윤년일 경우 1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4월 20일 · 더보기 »

4월 27일

4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7번째(윤년일 경우 1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4월 27일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4월 6일 · 더보기 »

5월 29일

5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9번째(윤년일 경우 1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5월 29일 · 더보기 »

6월 14일

6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5번째(윤년일 경우 1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6월 14일 · 더보기 »

6월 21일

6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2번째(윤년일 경우 17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6월 21일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8월 17일 · 더보기 »

8월 18일

8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0번째(윤년일 경우 2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8월 18일 · 더보기 »

8월 22일

8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4번째(윤년일 경우 2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8월 22일 · 더보기 »

8월 25일

8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7번째(윤년일 경우 2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8월 25일 · 더보기 »

8월 8일

8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0번째(윤년일 경우 2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8월 8일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9월 1일 · 더보기 »

9월 2일

9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5번째(윤년일 경우 2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와 9월 2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