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

색인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목차

  1. 87 처지: 능엄경,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거창 고견사 동종,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대구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대한민국, 대한민국 문화재청, 대한민국의 국보,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노자권재구의, 자비도량참법집해, 포항 보경사 괘불탱,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조선본 천하여지도, 조선팔도고금총람도, 진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천자문,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칠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유한지 예서 기원첩,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숙명신한첩,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예천 용문사 천불도, 예안 김씨 가전계회도 일괄, 양사언 초서, 풍아익,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7 더) »

능엄경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K.0426, T.0945),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또는 《수능엄경》 또는 《능엄경》(楞嚴經)은 선(禪)을 닦아 인간의 감각작용에서 유발되기 쉬운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요의(要義)를 설한 대승불교의 불경으로, 당나라 때 반랄밀제(般剌蜜帝)가 한역(漢譯)하였.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능엄경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聞慶 金龍寺 靈山會掛佛圖)는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聞慶 大乘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 及 腹藏遺物)은 경상북도 문경시 대승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거창 고견사 동종

창 고견사 동종(居昌 古見寺 銅鍾)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수월리, 고견사에 있는 동종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거창 고견사 동종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居昌 尋牛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남도 거창군, 심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慶州 祇林寺 毘盧遮那三佛會圖)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기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성 운흥사 관음보살도(固城 雲興寺 觀音菩薩圖)은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운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固城 玉泉寺 地藏菩薩圖 및 十王圖)는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옥천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公州 甲寺 釋迦如來三世佛圖 및 腹藏遺物)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회화작품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흉축월횡간 고려목판(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은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심원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대구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大邱 桐華寺 木造藥師如來坐像 腹藏典籍)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중 약사여래의 복장 전적 7종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대구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大邱 桐華寺 普照國師 知訥 眞影)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 지눌 진영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

동화사 아미타회상도(大邱 桐華寺 阿彌陀會上圖)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책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대한민국

대한민국 문화재청

문화재청(文化財廳,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약칭: CHA)은 문화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대한민국 문화재청

대한민국의 국보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대한민국의 국보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

제국 고종「황제어새」(大韓帝國 高宗「皇帝御璽」)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대한제국 시대의 유물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龜尾 大芚寺 乾漆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북도 구미시 대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미 수다사 영산회상도(龜尾 水多寺 靈山會上圖)는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노자권재구의

자권재구의(老子鬳齋口義)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청주고인쇄박물관조선시대의 책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노자권재구의

자비도량참법집해

자비도량참법집해(慈悲道場懺法集解)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목판본 책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자비도량참법집해

포항 보경사 괘불탱

항 보경사 괘불탱(浦項 寶鏡寺 掛佛幀)은 경상북도 포항시 보경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그림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포항 보경사 괘불탱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李衡佐命原從功臣錄券附函)은 조선 태종 때의 공신녹권과 그것을 담은 함으로, 대한민국 보물 제1657호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仁穆王后御筆 七言詩)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에 있는, 조선시대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가 큰 글자로 쓴 칠언절구의 시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조선본 천하여지도

조선본 천하여지도(朝鮮本 天下輿地圖)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지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조선본 천하여지도

조선팔도고금총람도

조선팔도고금총람도(朝鮮八道古今總攬圖)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지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조선팔도고금총람도

진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晉州 凝石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응석사에 있는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진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晉州靑谷寺木造地藏菩薩三尊像및 十王像一括)은 경상남도 진주시, 청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晉州 靑谷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청곡사에 있는 목조 석가여래 삼존불 좌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재좌상(晉州 月明庵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월명사에 있는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천자문

자문의 시작 부분.천지현황(天地玄黃)우주홍황(宇宙洪荒) 천자문(千字文)은 중국 남조 양(502~549)의 주흥사가 양 무제의 명을 받아 지은 책으로, 모두 다른 한자 1000자로 1구 4자의 사언 고시 250구로 되어 있. 동진 왕희지의 필적에서 해당되는 글자를 모았다고 하는데, 더 오래전에 중국 위나라 종요의 필적을 모은 것이라는 설도 있고 천자문을 종요가 손수 만들었다는 설도 있.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천자문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初雕本 佛說迦葉赴佛般涅槃經)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漆谷 松林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칠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漆谷 松林寺 石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칠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유한지 예서 기원첩

유한지 예서 기원첩(兪漢芝 隸書 綺園帖)은 19세기 전반의 전예 명필 기원 유한지(1760-1834)가 칠언ㆍ오언ㆍ사언대구를 다양한 예서풍으로 쓴 것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유한지 예서 기원첩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尙州 南長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尙州 南長寺 甘露王圖)는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숙명신한첩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은 효종(孝宗, 1619~1659), 현종(顯宗, 1641~1674), 인조계비 장렬왕후(莊烈王后, 1624~1688),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가 효종의 셋째딸 숙명공주(淑明公主)에게 보낸 한글어찰을 모은 첩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숙명신한첩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榮州 浮石寺 石造釋迦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永川 鳳林寺 靈山會上圖 및 腹藏遺物)은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봉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와 유물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永川 銀海寺 靑銅金鼓 및 金鼓虡)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는 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로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승려 자적선사(慈寂禪師, 882~939년)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예천 용문사 천불도

예천 용문사 천불도(醴泉 龍門寺 千佛圖)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예천 용문사 천불도

예안 김씨 가전계회도 일괄

예안 김씨 가전계회도 일괄(禮安 金氏 家傳契會圖 一括)은 부산광역시 동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계회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예안 김씨 가전계회도 일괄

양사언 초서

양사언 초서 (楊士彦 草書)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35, 서강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축(軸)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양사언 초서

풍아익

《풍아익》(風雅翼)은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기양사(岐陽祠)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풍아익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星州 法水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성주군 법수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星州 禪石寺 靈山會 掛佛幀)는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선석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성수침 필적

성수침 필적 (成守琛 筆蹟)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길 100, 대전선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첩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성수침 필적

서거정 필적

서거정 필적 (徐居正 筆蹟)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첩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서거정 필적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서울 開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發願文)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 소유의 고려시대의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서울 開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腹藏典籍)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불교중앙박물관에 있는 복장전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瑞山 開心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조 불상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통영 측우대

통영 측우대(統營 測雨臺)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국립중앙과학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측우대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통영 측우대

통영 안정사 동종

통영 안정사 동종(統營 安靜寺 銅鍾)은 경상남도 통영시, 안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통영 안정사 동종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陜川 海印寺 甘露王圖)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안동 광흥사 동종

안동 광흥사 동종(安東 廣興寺 銅鍾)은 경상북도 안동시 광흥사에 있던, 16세기 조선의 구리 종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안동 광흥사 동종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安東 鳳停寺 靈山會掛佛圖)는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안동 봉정사 영산회상벽화

안동 봉정사 영산회상벽화(安東鳳停寺靈山會上壁畵)는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산회상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안동 봉정사 영산회상벽화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安東 鳳停寺 阿彌陀說法圖)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동 쌍계사 감로왕도(河東 雙磎寺 甘露王圖)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하동 쌍계사 괘불도

동 쌍계사 괘불도(河東 雙磎寺 掛佛圖)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하동 쌍계사 괘불도

신편산학계몽

《신편산학계몽》(新編算學啓蒙)은 원나라에서 수입한 산학서(算學書)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신편산학계몽

신한첩 곤

신한첩 곤(宸翰帖 坤)은 조선시대 효종 등 왕실 사람들이 한글로 써서 양반가에 출가한 효종의 딸 숙휘공주와 공주의 남편 정제현에게 보낸 편지글들을 모은 것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신한첩 곤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黃耆老 草書-李羣玉詩)는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 오죽헌시립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예 작품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황기로 초서-차운시

황기로 초서-차운시 (黃耆老 草書-次韻詩)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93, 동산방 화랑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예작품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황기로 초서-차운시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10월 20일

10월 25일

10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8번째(윤년일 경우 299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10월 25일

12월 21일

12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5번째(윤년일 경우 356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12월 21일

12월 22일

1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6번째(윤년일 경우 357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12월 22일

1월 2일

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1월 2일

1월 4일

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1월 4일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2008년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2009년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2010년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2017년

2월 23일

2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4번째(윤년일 경우도 54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2월 23일

2월 24일

2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5번째(윤년일 경우도 55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2월 24일

4월 22일

4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2번째(윤년일 경우 113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4월 22일

4월 23일

4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3번째(윤년일 경우 114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4월 23일

6월 28일

6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9번째(윤년일 경우 180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6월 28일

6월 29일

6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0번째(윤년일 경우 181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6월 29일

7월 5일

7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6번째(윤년일 경우 187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7월 5일

8월 25일

8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7번째(윤년일 경우 238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8월 25일

9월 2일

9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5번째(윤년일 경우 246번째) 날에 해당.

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601호 ~ 제1700호)와 9월 2일

, 성수침 필적, 서거정 필적,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통영 측우대, 통영 안정사 동종,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안동 광흥사 동종,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안동 봉정사 영산회상벽화,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하동 쌍계사 괘불도, 신편산학계몽, 신한첩 곤,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황기로 초서-차운시, 10월 20일, 10월 25일, 12월 21일, 12월 22일, 1월 2일, 1월 4일, 2008년, 2009년, 2010년, 2017년, 2월 23일, 2월 24일, 4월 22일, 4월 23일, 6월 28일, 6월 29일, 7월 5일, 8월 25일, 9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