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두루미자리

색인 두루미자리

미자리(Grus, 또는)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이.

10 처지: 별자리, 봉황자리, 두루미, 두루미자리 알파, 남쪽물고기자리, 큰부리새자리, 인디언자리, 조각가자리, 현미경자리, 1603년.

별자리

17세기 네덜란드의 별자리판 별자리 또는 성좌(星座)는 천구(天球)의 별을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이어서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이름을 붙인 것이.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별자리 · 더보기 »

봉황자리

봉황자리(Phoenix)는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로, 불사조자리라고도 한다. 네덜란드의 두 탐험가(Pieter Dirkszoon Keyser, Frederick de Houtman)에 의해 도입되고,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1603년)》를 통해 보급되었다. 이 별자리는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봉황자리 · 더보기 »

두루미

미는 두루미목 두루미과 한 종으로, 한국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 겨울철새이.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두루미 · 더보기 »

두루미자리 알파

미자리 알파(Alpha Gruis)는 두루미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두루미자리 알파 · 더보기 »

남쪽물고기자리

쪽물고기자리(Piscis Austrinus)는 남천에 자리잡은 작은 별자리이.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남쪽물고기자리 · 더보기 »

큰부리새자리

부리새자리(Tucana)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이다.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큰부리새자리 · 더보기 »

인디언자리

인디언자리(Indus)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로, 16세기 유럽의 탐험가들이 방문한 신대륙의 원주민을 나타낸 것이다. 이 별자리는 대한민국에서는 볼 수 없다.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인디언자리 · 더보기 »

조각가자리

조각가자리(彫刻家자리, Sculptor)는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조각실자리(彫刻室자리)로도 불린다. 라카유는 조각가의 작업장을 따라 이름을 지었으며, 후에 줄여서 부르게 되었다. 물병자리 남쪽에 놓여 있다.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조각가자리 · 더보기 »

현미경자리

현미경자리(Microscopium)는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에 의해 도입되었다. 별들이 매우 어둡다.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현미경자리 · 더보기 »

1603년

16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두루미자리와 160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두루미 자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