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라카유의 별자리

색인 라카유의 별자리

유의 별자리로는 다음 18개가 있.

18 처지: 돛자리, 망원경자리, 고물자리, 공기펌프자리, 그물자리, 나침반자리, 용골자리, 조각가자리, 조각칼자리, 직각자자리, 컴퍼스자리, 파리자리, 팔분의자리, 현미경자리, 테이블산자리, 시계자리, 화로자리, 화가자리.

돛자리

돛자리(Vela)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로, 아르고자리로부터 나뉜 4개의 별자리(나머지는 고물자리, 나침반자리, 용골자리) 중 하나이.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돛자리 · 더보기 »

망원경자리

망원경자리(Telescopium)는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이다. '망원경(Telescopium)'의 명칭은 그리이스의 '망원경'을 뜻하는 단어가 라틴어화된 것이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망원경자리 · 더보기 »

고물자리

물자리(Puppis)는 하늘의 남반구에 있는 별자리의 하나이다. 고물이란 배의 끝부분(船尾)를 의미하는데, 이 별자리는 아르고 호(號)의 이름을 딴 아르고자리의 일부였는데, 지금의 고물자리는 아르고자리의 끝부분이었다. 아르고 호가 나뉜 네 별자리 중에서는 가장 크다. 이 별자리는 북위 40˚ 이남에서 볼 수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그 일부만이 보인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고물자리 · 더보기 »

공기펌프자리

공기펌프자리(Antlia Constellation)는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이 루이 드 라카유가 1763년에 설정한 신생 별자리이.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공기펌프자리 · 더보기 »

그물자리

물자리(Reticulum)는 남반구 하늘의 작은 별자리의 하나이.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그물자리 · 더보기 »

나침반자리

반자리(羅針盤-,Pyxis)는 남반구의 작은 별자리이.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나침반자리 · 더보기 »

용골자리

용골자리(龍骨-, Carina)는 천구의 남쪽에 있는 별자리이.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용골자리 · 더보기 »

조각가자리

조각가자리(彫刻家자리, Sculptor)는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조각실자리(彫刻室자리)로도 불린다. 라카유는 조각가의 작업장을 따라 이름을 지었으며, 후에 줄여서 부르게 되었다. 물병자리 남쪽에 놓여 있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조각가자리 · 더보기 »

조각칼자리

조각칼자리(Caelum)는 남쪽 하늘의 작고 어두운 별자리로, 라카유에 의해 도입되었.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조각칼자리 · 더보기 »

직각자자리

직각자자리(Norma)는 남쪽 하늘의 작고 눈에 띄지 않는 별자리이다. 전갈자리와 센타우루스자리 사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은하수가 이 별자리를 지난다. 흔히 수준기자리로 알려져 있다. 직각자자리는 라카유가 붙인 프랑스 명칭(L'Équerre et La Règle: 삼각자와 자)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Norma et Regula'로 알려졌다. 이 별자리는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보기가 어렵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직각자자리 · 더보기 »

컴퍼스자리

스자리(Circinus)는 남쪽 하늘(적위 -50° ~ -60°) 의 작은 별자리이.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컴퍼스자리 · 더보기 »

파리자리

리자리(Musca)는 남쪽 하늘에 위치한 작은 별자리로, 두 명의 모험가들(Pieter Dirkszoon Keyser, Frederick de Houtman)에 의해 1600년경에 처음 만들어졌고,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 별자리는 대한민국에서는 볼 수 없다. 북위 10도 이남에서만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도 부근을 제외한 북반구에서는 거의 보기가 힘들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파리자리 · 더보기 »

팔분의자리

분의자리(Octans)는 하늘의 남극에 위치한 작은 별자리로, 라카유에 의해 도입되었다. 남반구에서는 항상 보이나 적도 이북에서는 카멜레온자리와 함께 보기가 힘든 별자리이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팔분의자리 · 더보기 »

현미경자리

현미경자리(Microscopium)는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에 의해 도입되었다. 별들이 매우 어둡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현미경자리 · 더보기 »

테이블산자리

이블산자리(Mensa)는 남쪽 하늘에 있는 별자리로, 1751년 ~ 1753년에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에 의해 도입되었.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테이블산자리 · 더보기 »

시계자리

시계자리(Horologium 또는)는 남위 60′부근의 작은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는 대한민국에서는 극히 보기가 어려우며, 알파성 외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시계자리 · 더보기 »

화로자리

화로자리(Fornax)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로, 1756년에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가 도입하였.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화로자리 · 더보기 »

화가자리

화가자리(Pictor) 또는 이젤자리는 남쪽 하늘(적위 −50°~ −60°)의 작은 별자리이다. 화가자리는 작고 어두운데, 밝은 카노푸스와 대마젤란성운 사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별자리는 대한민국에서는 볼 수 없다.

새로운!!: 라카유의 별자리와 화가자리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