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류경 (고려)

색인 류경 (고려)

경(柳璥, 1211년 ~ 1289년)은 고려 중기,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천년(天年) 혹은 장지(藏之)이며,시호는 문정이.본관은 문화(文化)이.1259년 최씨무신정권 62년을 종식시키고 고려왕권을 고종에게 회복시킨 인물이.

43 처지: 류공권, 무신 (드라마), 무신정권, 문화 류씨, 문화방송, 고려, 고려 강종, 고려 고종, 고려 희종, 고려 충렬왕, 고려 신종, 고려 원종, 김방경, 김구 (고려), 김승욱, 김준 (고려 후기), 자 (이름), 이린, 이장용, 이존비, 이혼 (고려), 제국대장공주, 최의, 최항 (1209년), 안전 (고려), 안향, 1132년, 1196년, 1211년, 1248년, 1257년, 1258년, 1260년, 1262년, 1267년, 1269년, 1278년, 1282년, 1283년, 1289년, 1298년, 1310년, 2012년.

류공권

공권(柳公權, 1132년 ~ 1196년)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류공권 · 더보기 »

무신 (드라마)

《무신》(武神)은 MBC에서 2012년 2월 11일부터 2012년 9월 15일까지 방영한 주말 드라마로, 팔만대장경 탄생 1000주년을 기념하여 고려 무신 정권기 인물인 김준의 삶과 대몽항쟁을 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무신 (드라마) · 더보기 »

무신정권

무신정권(武臣政權)은 의종 24년(1170)부터 원종 11년(1270)까지 100년 동안 무신들에 의해 수립된 고려시대 정부를 말하며, 그 시기를 무인시대라 일컫.

새로운!!: 류경 (고려)와 무신정권 · 더보기 »

문화 류씨

문화 류씨(文化 柳氏)는 황해도 신천군 문화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문화 류씨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문화방송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강종

강종(康宗, 1152년 5월 10일 (음력 4월 5일) ~ 1213년 8월 26일 (음력 8월 9일)은 고려의 제22대 국왕(재위: 1211년 ~ 1213년)이다. 휘는 오(祦), 자는 대화(大華), 묘호는 강종(康宗), 시호는 명헌원효대왕(明憲元孝大王)이다. 명종과 광정왕후 김씨(金氏)의 맏아들이다. 부왕 명종이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될 때 태자에서 폐위되었다가 1211년(희종 6년) 최충헌에 의해 옹립된다. 그의 서녀 정화택주(靜和宅主)는 최충헌(崔忠獻)의 첩이 되었다.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박영규, 웅진씽크빅, 2004) 387페이지 1211년부터 1213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고려 강종 · 더보기 »

고려 고종

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이다.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문화 류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류씨(柳氏)이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고려 고종 · 더보기 »

고려 희종

희종(熙宗, 1181년 6월 21일 (음력 5월 8일) ~ 1237년 8월 31일 (음력 8월 10일)은 고려 제21대 국왕(재위: 1204년 ~ 1211년)이다. 휘는 영(韺), 자는 불피(不陂), 묘호는 희종(熙宗), 본래 묘호는 정종(貞宗)이며 시호는 인목성효대왕(仁穆成孝大王)이다. 신종과 선정왕후의 맏아들이다. 1204년부터 1211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고려 희종 · 더보기 »

고려 충렬왕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고려 충렬왕 · 더보기 »

고려 신종

신종(神宗, 1144년 8월 11일 (음력 7월 11일) ~ 1204년 2월 15일 (음력 1월 13일)은 고려 제20대 국왕(재위: 1197년 ~ 1204년)이다. 휘는 탁(晫), 자는 지화(至華), 묘호는 신종(神宗), 시호는 경공정효대왕(敬恭靖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의 다섯째 아들이자 의종과 명종의 막내동생이다. 1197년부터 1204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고려 신종 · 더보기 »

고려 원종

원종(元宗,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1274년)이다. 초명은 전(倎), 나중에 식(植)으로 개명하였고, 휘는 정(禎), 자는 일신(日新), 원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왕(忠敬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순효대왕(順孝大王)이다. 고종과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靜順王后)인데, 이후 충렬왕이 순경태후(順敬太后)로 추존했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고려에서 마지막으로 묘호를 사용한 왕이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쓰지 못하였다. 그리고 왕의 시호 앞에 글자는 원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증거인 "충(忠)"자를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때 이후로 "짐"은 "고" 또는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선지"는 "왕지"로 명칭이 격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관직 용어들의 명칭들도 모두 격하되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고려 원종 · 더보기 »

김방경

방경(金方慶, 1212년 ~ 1300년)은 고려 말기의 원종 때부터 봉공한 무신이자 문신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김방경 · 더보기 »

김구 (고려)

(金坵, 1211년~1278년 10월 14일(음력 9월 26일))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김구 (고려) · 더보기 »

김승욱

승욱(1963년 8월 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김승욱 · 더보기 »

김준 (고려 후기)

준(金俊, ? ~ 1268년 12월)은 고려 고종 때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김준 (고려 후기)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류경 (고려)와 자 (이름) · 더보기 »

이린

이린(李隣/李璘)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이린 · 더보기 »

이장용

이장용(李藏用, 1201년 ∼ 1272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초명은 이인기(李仁祺), 자는 현보(顯甫), 호는 낙헌(樂軒), 본관은 인주(仁州)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이장용 · 더보기 »

이존비

이존비(李尊庇, 1233년~1287년)은 고려 말의 문신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이존비 · 더보기 »

이혼 (고려)

이혼(李混, 1252년 ~ 1312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초명은 이자분(李子芬), 자는 거화(去華) 혹은 태초(太初), 호는 몽암(蒙菴), 본관은 전의(全義)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이혼 (고려) · 더보기 »

제국대장공주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1259년 7월 22일(음력 6월 28일)~1297년 6월 11일(음력 5월 21일『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 23년(1297) 5월 21일(임오)))는 고려의 제25대 왕 충렬왕의 제1비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제국대장공주 · 더보기 »

최의

의(崔竩, 1233년 ~ 1258년)는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겸 정치가이자 최항(崔沆)의 서자(庶子)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최의 · 더보기 »

최항 (1209년)

항(崔沆, 1209년 ~ 1257년 5월 17일(윤 4월 2일))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정치가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최항 (1209년) · 더보기 »

안전 (고려)

안전(安戩, ? ~ 1298년)은 고려 충렬왕(忠烈王)조의 문신으로, 본관은 죽산(竹山)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안전 (고려) · 더보기 »

안향

안향 초상 (국보 제111호) 안향(安珦, 1243년 ~ 1306년)은 고려의 명신(名臣)·학자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안향 · 더보기 »

11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132년 · 더보기 »

11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196년 · 더보기 »

12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11년 · 더보기 »

12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48년 · 더보기 »

12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57년 · 더보기 »

12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58년 · 더보기 »

12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60년 · 더보기 »

12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62년 · 더보기 »

12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67년 · 더보기 »

12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69년 · 더보기 »

12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78년 · 더보기 »

12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82년 · 더보기 »

12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83년 · 더보기 »

12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89년 · 더보기 »

12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298년 · 더보기 »

13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류경 (고려)와 1310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류경 (고려)와 2012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유경 (고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