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먼터무

색인 먼터무

먼터무(1370년 ~ 1433년) 또는 동맹가첩목아()는 오도리 만호부(斡朶里 萬戶府)의 만호이자 제1대 건주좌위지휘사(建州左衛指揮使, 재위 1405년 ~ 1433년)이며 청나라 태조 누르하치의 6대조이.

44 처지: 몽골, 몽골어, 명나라, 묘호, 백두산, 건주여진, 용비어천가, 회령시, 이지란, 조선, 조선 목조,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지린성, 청나라, 천명제, 충샨, 판차, 순치, 순치제, 여진, 쑹화강, 함경도, 하얼빈 시, 아무르강, 아이신기오로 부쿠리용숀, 아이신기오로 할라, 아하추, 퉁기야 할라, 시호, 원나라, 훌리가이, 훈민정음, 1388년, 1392년, 1395년, 1403년, 1405년, 1411년, 1412년, 1419년, 1433년, 1467년, 1648년.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새로운!!: 먼터무와 몽골 · 더보기 »

몽골어

몽골어(Монгол хел)는 몽골의 공용어이.

새로운!!: 먼터무와 몽골어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먼터무와 명나라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먼터무와 묘호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먼터무와 백두산 · 더보기 »

건주여진

주여진(建洲女眞)은 여진족의 세 분파 중 하나로 5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

새로운!!: 먼터무와 건주여진 · 더보기 »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조선 세종 때 권제와 정인지, 안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지은 악장·서사시이.

새로운!!: 먼터무와 용비어천가 · 더보기 »

회령시

'''회령시'''(會寧市) 회령시(會寧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의 북부, 두만강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먼터무와 회령시 · 더보기 »

이지란

이지란(李之蘭, 1331년 ~ 1402년 5월 10일(음력 4월 9일))은, 여진족 출신이며 고려 말 조선(朝鮮) 초의 무관이.

새로운!!: 먼터무와 이지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먼터무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목조

목조(穆祖, ? ~ 1274년)는 고려의 문신으로, 조선시대 추존왕이자 익조(翼祖)의 아버지이며, 태조 이성계의 고조부이.

새로운!!: 먼터무와 조선 목조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먼터무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먼터무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지린성

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

새로운!!: 먼터무와 지린성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먼터무와 청나라 · 더보기 »

천명제

명제(天命帝, 1559년 2월 21일 ~ 1626년 9월 30일, 재위: 건주여진 1583년 ~ 1616년, 여진국 1616년 ~ 1618년, 대금국 1618년 ~ 1626년)는 후금를 건국한 한으로, 후에 청 제국의 초대 황제로 여겨지게 되었.

새로운!!: 먼터무와 천명제 · 더보기 »

충샨

충샨()은 청나라 누르하치의 5대조이.

새로운!!: 먼터무와 충샨 · 더보기 »

판차

(? ~ ?)은 건주여진 오돌리 아이만 사람이.

새로운!!: 먼터무와 판차 · 더보기 »

순치

순치(順治)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부터 1661년까지 18년 동안 쓰였.

새로운!!: 먼터무와 순치 · 더보기 »

순치제

순치제(順治帝, 숭덕(崇德) 3년 음력 1월 30일 (1638년 3월 15일) ~ 순치(順治) 18년 음력 1월 7일 (1661년 2월 5일))는 청 제국의 제3대 황제(재위 1643년 ~ 1661년)이.

새로운!!: 먼터무와 순치제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먼터무와 여진 · 더보기 »

쑹화강

쑹화 강 쑹화 강(송화강)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한 강으로, 아무르 강의 가장 큰 지류이.

새로운!!: 먼터무와 쑹화강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먼터무와 함경도 · 더보기 »

하얼빈 시

얼빈(합이빈,,, 문화어·중국조선말: 할빈)은 부성급시이자 중국 헤이룽장 성의 성도이.

새로운!!: 먼터무와 하얼빈 시 · 더보기 »

아무르강

아무르 강() 또는 헤이룽 강(나나이어: Даи Мангбо (Dai Mangbo), 니브히어: La)은 상류의 실카 강과 오논 강을 포함하면 길이 4,444 km(세계 8위), 면적은 205만 2000 km²(세계 10위).

새로운!!: 먼터무와 아무르강 · 더보기 »

아이신기오로 부쿠리용숀

아이신기오로 부쿠리용숀(? ~ ?)은 청 제국를 세운 아이신기오로 할라의 시조로 알려진 전설상의 인물이.

새로운!!: 먼터무와 아이신기오로 부쿠리용숀 · 더보기 »

아이신기오로 할라

아이신기오로 할아()는 청 제국의 황성이.

새로운!!: 먼터무와 아이신기오로 할라 · 더보기 »

아하추

아하추(阿哈出,Ahacu)는 중국식 이름인 이사성(李思誠)으로 알려졌으며, 훌리가이의 부족장(재위: 1409년 ~ 1410년)이었.

새로운!!: 먼터무와 아하추 · 더보기 »

퉁기야 할라

퉁기야 할라()는 만주족의 가문 중 하나이.

새로운!!: 먼터무와 퉁기야 할라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먼터무와 시호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먼터무와 원나라 · 더보기 »

훌리가이

후리가이 또는 호리개로 (胡里改路)는 건주여진의 5부족 중 한 부족이었.

새로운!!: 먼터무와 훌리가이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먼터무와 훈민정음 · 더보기 »

13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388년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392년 · 더보기 »

13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395년 · 더보기 »

14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403년 · 더보기 »

14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405년 · 더보기 »

14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411년 · 더보기 »

14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412년 · 더보기 »

14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419년 · 더보기 »

14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433년 · 더보기 »

14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먼터무와 1467년 · 더보기 »

1648년

164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먼터무와 1648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갸온멍거터물, 동맹가, 동맹가첩목아, 맹가첩목아, 맹특목, 멘테무, 아이신기오로 먼터무, 원제 (청), 협온맹가첩목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