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외계 행성 주인별

색인 외계 행성 주인별

외계 행성 주인별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는 항성이.

48 처지: A형 주계열성, 리튬, 목성형 행성, 광각 적외선 우주망원경, 광증발 효과, 분자운, 금속, 금속함량, 뜨거운 목성, 구상성단, 떠돌이 행성, 나선은하, F형 주계열성, G형 주계열성, 스피처 우주망원경, 우리은하, 우주, 은하면, 은하단, 은하중심, 은하팽대부, 은하헤일로, 적색거성, 적색왜성, 중력렌즈, 중성자별, 천문단위, 초신성, 캅테인의 별, 케플러 우주망원경, 쌍성, 쌍성주위 행성, 상대 속도,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태양, 타원 궤도, 수소, 행성, 헬륨, 산개성단, 항성, 항성계, 항성분류, 해왕성, 원시 행성계 원반, 외계 행성, K형 주계열성, O형 주계열성.

A형 주계열성

시리우스A는 전형적인 A V형 항성이다. A V형 항성은 분광형 상으로 A이며, 주계열성 상태 V에 있는 항성의 통칭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A형 주계열성 · 더보기 »

리튬

리튬(←)은 알칼리 금속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Li(←)이고 원자 번호는 3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리튬 · 더보기 »

목성형 행성

우리 태양계의 목성형 행성들. 아래에서 위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다. 목성형 행성(木星型行星)은 태양계에서 수소나 헬륨 따위의 유체(fluid) 형태를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을 말.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해당.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목성형 행성 · 더보기 »

광각 적외선 우주망원경

광각 적외선 우주망원경은 2024년 발사 예정인 우주망원경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광각 적외선 우주망원경 · 더보기 »

광증발 효과

광증발 효과()는 고에너지 복사선이 기체를 이온화하여 천체의 대기를 날려버리는 현상을 말하며, 주로 천문학에서 질량이 큰 별들이 자외선을 복사하여 분자운, 원시 행성계 원반, 행성의 대기권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일컫.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광증발 효과 · 더보기 »

분자운

열쇠구멍 성운의 분자 구름. 때론 별들의 양성소(별의 형태가 이안에서 발생할때)로 불리는 분자운(分子雲, molecular cloud)은 성간 구름의 한 형태로 그 밀도와 크기가 분자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는데 그중 대부분이 수소분자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분자운 · 더보기 »

금속

대장장이로부터의 뜨거운 금속 작업. 금속(金屬, metal)은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광택이 있으며, 열 전도율과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을 아우른.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금속 · 더보기 »

금속함량

M80. 구상성단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 금속함량이 적은, 항성종족 II이다. 금속함량(金屬含量) 또는 금속함량비(金屬含量比), 금속함유량(金屬含有量), 중원소함량(重元素含量)은 천문학과 우주론에서, 한 천체를 구성하는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화학 원소로 만들어진 물질의 비율을 뜻. 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금속함량 · 더보기 »

뜨거운 목성

오시리스를 상상하여 만든 그림. 이 행성은 밤의 반구 쪽에서도 자신이 지니는 열 때문에 붉게 달아올라 있다. 뜨거운 목성(Hot Jupiter)은 태양계 밖에 존재하는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행성 중,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태양-지구 사이 거리(1 천문단위)의 10분의 1 이하에 이르는 매우 가까운 거리를, 매우 빠른 속도로 며칠 정도의 짧은 시간에 걸쳐 공전하는, 목성급의 질량을 지닌 거대 가스 행성을 부르는 총칭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뜨거운 목성 · 더보기 »

구상성단

메시에 80. 구상성단(球狀星團, globular cluster) 은 구형의 항성의 모임(성단)으로, 은하중심의 주위를 마치 위성.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구상성단 · 더보기 »

떠돌이 행성

목성 정도 질량의 떠돌이 행성을 상상한 천체 예술가의 작품. 떠돌이 행성(-行星, Rogue planet) 또는 성간 행성(星間行星) 유목민 행성(遊牧民行星), 자유 부동 행성(自由浮動行星), 고아 행성(孤兒行星)은 행성과 유사한 질량을 지니고 있으나, 어떤 항성 또는 갈색 왜성의 중력에도 속박되어 있지 않아서 우주 공간을 독립하여 움직여 다니는 행성급 천체를 일컫는 단어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떠돌이 행성 · 더보기 »

나선은하

선은하 중 하나인 바람개비 은하(메시에 101 또는 NGC 5457)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나선 은하 NGC 4414 나선은하(螺旋銀河) 는 1936년에 발표된 에드윈 허블의 저서, 성운의 왕국(The Realm of the Nebulae)에서 처음으로 기술되어 허블 순차의 일부를 구성하는 특정 은하의 유형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나선은하 · 더보기 »

F형 주계열성

프로키온 A는 대표적인 F형 주계열성이다.(셀레스티아로 작성) F V형 항성은 F형 분광형의 주계열성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F형 주계열성 · 더보기 »

G형 주계열성

문학에서 G V는 항성이 분광형상 G임과 함께, 주계열 상태라는 뜻의 V 상태에 있음을 의미하는 용어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G형 주계열성 · 더보기 »

스피처 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 망원경(Spitzer Space Telescope)은 적외선 우주 망원경이며, 미국 항공우주국의 대형 망원경 프로그램(Great Observatories program)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망원경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스피처 우주망원경 · 더보기 »

우리은하

우리 은하의 중심 모습. 우리은하(―銀河) 는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우리은하 · 더보기 »

우주

우주(宇宙)란 과학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총체라 정의 할 수도 있. 표준국어대사전은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로 정의..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우주 · 더보기 »

은하면

NGC 4452 은하는 지구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심의 은하핵을 볼 수 있다. 나선은하 NGC 891은 은하면에 많은 먼지가 있다. 은하면(銀河面)은 원반 모양으로 은하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면을 말. 불규칙 은하에서는 뚜렷한 은하면이 없을 수 있. 분류:우리은하.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은하면 · 더보기 »

은하단

newspaper.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은하단 · 더보기 »

은하중심

은하중심(銀河中心, galactic center)은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우리 은하는 이 은하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있. 지구에서의 거리는 은하수가 가장 밝게 보이는, 궁수자리 방향으로 약 24,800광년(7,600파섹)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은하중심 · 더보기 »

은하팽대부

newspaper.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은하팽대부 · 더보기 »

은하헤일로

은하헤일로(Galactic halo)는 성간물질과 구상성단으로 구성된, 은하 전체를 감싸듯이 구형으로 희박하게 분포하고 있는 구름 같은 것을 가리.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은하헤일로 · 더보기 »

적색거성

적색거성(赤色巨星, red giant)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 따른 항성 분류에서 작거나 중간 정도의 질량을 가진 밝고 거대한 별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적색거성 · 더보기 »

적색왜성

적색왜성과 그 주변을 돌고 있는 갈색왜성의 상상도. 적색왜성(赤色矮星, red dwarf)은 작고 상대적으로 차가우며 태양의 0.075-0.5배 정도의 질량(갈색왜성의 한계질량보다 크다; 갈색왜성은 엄밀히 말하자면 별이 아니다.)을 지닌 주계열성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적색왜성 · 더보기 »

중력렌즈

중력렌즈(gravitational lens) 또는 중력렌즈 효과(gravitational lensing)는 아주 먼 천체에서 나온 빛이 중간에 있는 거대한 천체에 의해 휘어져 보이는 현상을 의미.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중력렌즈 · 더보기 »

중성자별

WISE 데이터)도 보인다. 중성자별(中性子-)은 초신성 폭발 직후 무거운 별이 중력붕괴하여 만들어진 밀집성의 일종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중성자별 · 더보기 »

천문단위

문단위(天文單位, astronomical unit)는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길이의 단위로 지구와 태양과의 평균 거리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천문단위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초신성 · 더보기 »

캅테인의 별

인의 별(Kapteyn's Star)은 화가자리에 있는 분광형 M0의 준왜성으로, 야코부스 카프타인이 1897년 발견하였.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캅테인의 별 · 더보기 »

케플러 우주망원경

망원경의 구성 Kepler Space Telescope 케플러 우주망원경(Kepler space observatory)은 미국 항공우주국의 외계 지구형 행성 탐사용 우주망원경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케플러 우주망원경 · 더보기 »

쌍성

허블 우주망원경의 시리우스 사진. 시리우스 B(아래 왼쪽)를 구분할 수 있다. 뜨겁고 질량 큰 쌍성계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 쌍성(雙星) 또는 연성(連星)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쌍성 · 더보기 »

쌍성주위 행성

쌍성주위 행성(circumbinary planet)은 쌍성 궤도 바깥을 공전하는 행성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쌍성주위 행성 · 더보기 »

상대 속도

상대 속도(相對速度)는 관찰자가 관찰하는 대상의 속도 를 말. 즉 물체 A,B가 운동하고 있을 때 A와 함께 운동하고 있는 관측자가 B의 운동을 보았을 때의 속도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상대 속도 · 더보기 »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글리제 581c와 지구의 크기 비교. 글리제 581c는 생명체 거주가능영역 내에 존재하는 암석 행성으로 추측된다. 천문학에서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生命體居住可能領域, habitable zone, HZ)은 지구상의 생명체들이 살아가기에 적합한 환경을 지니는 우주 공간의 범위를 뜻. 거주가능영역은 크게 두 가지 개념으로 나눌 수 있. 첫째는 행성계 차원이며 두 번째는 은하 차원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태양 · 더보기 »

타원 궤도

원 궤도(楕圓軌道, elliptic orbit)란 원일점과 근일점 의 차이가 크게 나는 공전 궤도를 말. 예를 들면 왜소행성 이나(명왕성, 에리스, 하우메아, 마케마케) 그리고 왜행성 후보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타원 궤도 · 더보기 »

수소

수소(水素)는 주기율표의 가장 첫 번째(1족 1주기)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H(←)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수소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행성 · 더보기 »

헬륨

헬륨(←)은 화학 원소로, He(←)이고 원자번호는 2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헬륨 · 더보기 »

산개성단

쌍둥이 성단 산개성단(散開星團, open cluster)은 같은 분자구름에서 태어났으며 나이가 거의 같은 수천개의 항성이 모인 집단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산개성단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항성 · 더보기 »

항성계

항성계(star system, stellar system, 恒星系)는 서로의 중력에 묶여서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는 항성들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항성계 · 더보기 »

항성분류

항성분류(恒星分類, stellar classification)는 항성들을 특정 기준에 따라 구별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항성분류 · 더보기 »

해왕성

왕성(海王星, 라틴어: Neptunus)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8번째 행성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해왕성 · 더보기 »

원시 행성계 원반

예술가가 그린 원시 행성계 원반의 상상도. 원시 행성계 원반(protoplanetary disk, 줄여서 proplyd라고도 쓴다)은 갓 태어난 젊은 별(황소자리 T나 허빅 별) 주위를 회전하면서 둘러싸고 있는 짙은 가스 원반을 말. 가스 물질들이 행성계원반 안쪽에서 항성 표면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원시 행성계 원반을 강착 원반으로 부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원시 행성계 원반 · 더보기 »

외계 행성

HR 8799을 도는 행성 셋을 헤일 망원경이 찍은 사진. 별에서 나오는 빛은 벡터 소용돌이 코로나그래프를 사용해서 가렸다. 2MASS J044144은 갈색 왜성으로 목성 질량 5~10배의 동반 천체를 거느리고 있다. 동반 천체가 준갈색왜성인지 행성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화가자리 AB와 동반천체(좌하단). 동반천체는 갈색 왜성이거나 무거운 행성일 것이다. 2003년 3월 16일 VLT로 촬영. 항성 위에 1.4초각 크기의 오컬팅 마스크를 위치시켰다. 외계 행성(外界行星) 또는 계외 행성(系外行星)은 태양계 밖의 행성으로,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외계 행성 · 더보기 »

K형 주계열성

센타우루스자리 알파B가 있다. 셀레스티아에서 작성 K V형 항성은 분광형 K에 광도분류 V인 항성들의 통칭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K형 주계열성 · 더보기 »

O형 주계열성

도마뱀자리 10의 셀레스티아 시뮬레이션. O형 주계열성은 분광형은 O에 광도분류로는 V에 해당하는 주계열성이.

새로운!!: 외계 행성 주인별와 O형 주계열성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모항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