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색인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在朝鮮美陸軍司令部軍政廳,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은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독립한 한반도 남부를 미군 제24군단이 1945년 9월 8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다스리던 기간이었.

100 처지: 더글러스 맥아더, 미 군정기의 행정 구역, 미국, 미국 국무부, 미군, 경성, 북조선인민위원회, 김도연, 김도연 (정치인), 김병로, 김규식, 김용무, 김성수 (1891년), 김약수, 대한민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 정부 수립,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노익환, 장덕수, 장건상, 장택상, 이승만, 이인, 이훈구, 인천광역시, 일본 제국, 일본 천황, 정인보, 정일형, 조병옥, 조봉암, 조선, 조선공산당, 조선인민공화국,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중추원, 존 B. 콜터, 존 하지, 주한 미군, 중추원 (대한제국), 유동열, 유엔, 유엔 총회, 윤보선, 윤광선, 윤기섭, 윤치영, 윌리엄 F. 딘, ..., 최능진, 여운형, 여운홍, 연합군 최고사령부, 프린스턴 대학교, 송진우 (1890년), 소비에트 민정청, 쇼와 천황, 애국가, 한반도, 한반도 분단, 한국민주당, 한국의 군정기, 한국의 역사, 안재홍, 하버드 대학교, 하지,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신익희, 원세훈, 10월, 10월 2일, 10월 30일, 12월, 12월 17일, 12월 18일, 1945년,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월, 1월 11일, 1월 1일, 2월, 5월, 6월, 8월 15일, 8월 26일, 8월 27일, 9월, 9월 11일, 9월 12일, 9월 14일, 9월 18일, 9월 19일, 9월 29일, 9월 2일, 9월 8일, 9월 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0 더) »

더글러스 맥아더

한국 전쟁 중 인천 상륙 작전을 지휘하는 더글러스 맥아더 더글러스 맥아더(1880년 1월 26일 ~ 1964년 4월 5일)는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며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더글러스 맥아더 · 더보기 »

미 군정기의 행정 구역

미 군정기 행정구역 개편(美軍政期行政區域改編)은 미군정청 당시 38도선 이남지대의 행정구역을 개편한 것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미 군정기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미국 · 더보기 »

미국 국무부

국무부(國務部, The Department of State)는 미국 정부의 외교 정책을 주관하는 중앙 행정 기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미국 국무부 · 더보기 »

미군

주한 미군의 기계화 보병. 공군의 기초군사훈련 모습. 1991년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가한 미군 F-15E. 일본에 배치된 F-22. 미합중국 군대() 또는 미국군(美國軍) 혹은 단순히 미군(美軍)은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미군 · 더보기 »

경성

경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경성 · 더보기 »

북조선인민위원회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는 소비에트 연방의 6개월 간의 군정이 끝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모태가 된 기관으로, 사실상의 정부로서 운영되었.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북조선인민위원회 · 더보기 »

김도연

연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김도연 · 더보기 »

김도연 (정치인)

연(金度演, 1894년 6월 16일 ~ 1967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김도연 (정치인) · 더보기 »

김병로

병로(金炳魯, 1888년 1월 27일(1887년 음력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본관(本館)이 울산(蔚山)이며, 호가 가인(街人)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김병로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김규식 · 더보기 »

김용무

용무(金用茂, 1891년 ~ ?)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김용무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김약수

약수(金若水, 1890년 10월 21일 ~ 1964년 1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김약수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정부서울청사 대한민국 정부(大韓民國 政府)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헌법기관으로 구성되어 있. 넓은 의미로는 이 3부 기관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행정부만을 일컫.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대한민국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통해 제헌국회를 구성,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 더보기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조선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 또는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南朝鮮過渡立法委員會)는 1946년 12월 12일 미 군정 한국에서 개원한 미군정 시대의 입법기관으로서 1946년 5월 미소공동위원회가 무기한 휴회(休會)하자 미군정에서 구성한 과도입법의원이었.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남조선과도입법의원 · 더보기 »

노익환

익환(盧謚煥, 1914년 4월 3일, 순창 ~ 1982년 5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노익환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장덕수 · 더보기 »

장건상

장건상(張建相, 1882년 12월 19일 ~ 1974년 5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장건상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장택상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이인 · 더보기 »

이훈구

이훈구(李勳求, 1896년 6월 6일 서천 ~ 1961년)는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이훈구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 천황

국화문장은 공식 국장은 아니지만 일본 천황의 상징이며, 국장처럼 쓰이기도 한다 일본 천황() 또는 일왕(日王)은 일본의 군주로 일본 황실의 대표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일본 천황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정인보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정일형 · 더보기 »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조병옥 · 더보기 »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조봉암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조선 · 더보기 »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은 1925년 4월 17일 창건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조선공산당 · 더보기 »

조선인민공화국

조선인민공화국(朝鮮人民共和國, 약칭 "조선 인공")은 1945년 9월 6일 전국인민대표자회의에서 여운형을 중심으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선. 이들을 정치적 성향별로 분류하면 민족주의자 9명, 여운형계의 중도좌파가 10명, 그리고 3분의 2 가량이 공산주의자였.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조선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은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으로 존재한 기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 더보기 »

존 B. 콜터

존 브레이틀링 콜터(John Breitling Coulter, 1891년 4월 27일 ~ 1983년 3월 6일)는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존 B. 콜터 · 더보기 »

존 하지

존 리드 하지(1893년 6월 12일 ~ 1963년 11월 12일)는 미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존 하지 · 더보기 »

주한 미군

주한 미군(駐韓美軍)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주한 미군 · 더보기 »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中樞院)은 대한제국 시기에 근대적 형태의 입법 기관을 모방하여 설치한 기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중추원 (대한제국) · 더보기 »

유동열

유동열 (柳東說, 1879년 3월 26일 ~ 1950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유동열 · 더보기 »

유엔

유엔() 또는 국제 연합(國際 聯合)은 세계 거의 모든 나라를 아우르는 국제 기구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유엔 · 더보기 »

유엔 총회

유엔 총회의 내부 유엔 총회()는 5개의 중요한 유엔 기구 중 하나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유엔 총회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윤보선 · 더보기 »

윤광선

윤광선, 1935년 윤광선(尹光善, 1898년 11월 17일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낙농, 경영인이자, 미군정기의 통역관이었.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윤광선 · 더보기 »

윤기섭

1943년 5월 중경에서 열린 '재중 한인대회'에서. 사진 왼 쪽이 우사 김규식. 그 옆에 안경을 쓴 사람이 윤기섭 윤기섭(尹琦燮, 1887년 ~ 1959년)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윤기섭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윤치영 · 더보기 »

윌리엄 F. 딘

윌리엄 프리시 딘(William Frishe Dean, 1899년 8월 1일 ~ 1981년 8월 24일)은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윌리엄 F. 딘 · 더보기 »

최능진

능진(崔能鎭, 1899년 ~ 1951년)은 일제강점기 친일 청산을 위해 일생을바친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민족주의자이자 대한민국의 경찰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최능진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여운형 · 더보기 »

여운홍

여운홍(呂運弘, 1891년 9월 1일 ~ 197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아호는 근농(勤農)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여운홍 · 더보기 »

연합군 최고사령부

연합군 최고사령부 (1950년경 촬영) 전 연합군 최고사령부 건물의 현재 모습 (2005년 촬영)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 패한 이후, 1945년 10월 2일부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된 1952년 4월 28일까지 6년 반 동안 일본에 있었던 연합군의 최고위 사령부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연합군 최고사령부 · 더보기 »

프린스턴 대학교

블레어 아치(Blair Arch)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는 1746년에 설립된 미국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 있는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프린스턴 대학교 · 더보기 »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송진우 (1890년) · 더보기 »

소비에트 민정청

소비에트 민정청(소비에트 民政廳)은 태평양 전쟁에서 승리한 소비에트 연방이 한국의 38선 북쪽 지역에 설치한 통. 이름만 민정청이지 사실상 군정이었.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소비에트 민정청 · 더보기 »

쇼와 천황

쇼와 천황(1901년 4월 29일 ~ 1989년 1월 7일)은 일본의 제124대 천황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쇼와 천황 · 더보기 »

애국가

애국가(愛國歌)는 ‘나라를 사랑하는 노래’라는 뜻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애국가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한반도 · 더보기 »

한반도 분단

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韓半島 分斷)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군정기를 거쳐 한반도에 복수의 통치 기구가 수립되면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된 사건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한반도 분단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국의 군정기

반도 분단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의 점령 한국의 군정기(韓國의 軍政期)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이 확정된 한반도를 북위 38도선 이북에서 소련군이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전까지 38도선 이남에서는 미군이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다스린 기간을 총칭.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한국의 군정기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안재홍 · 더보기 »

하버드 대학교

메모리얼 처치 (Memorial Church)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는 미국의 아이비 리그 사립 대학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하버드 대학교 · 더보기 »

하지

(夏至)는 24절기 중 하나이며, 태양 황경이 90도가 되는 때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하지 · 더보기 »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Archibald Vincent Arnold, 1889년 2월 24일 - 1973년 1월 4일)는 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미군 소장이었.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신익희 · 더보기 »

원세훈

원세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원세훈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0월 · 더보기 »

10월 2일

10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5번째(윤년일 경우 2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0월 2일 · 더보기 »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0월 30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2월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2월 17일 · 더보기 »

12월 18일

1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2번째(윤년일 경우 3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2월 18일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945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946년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947년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948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949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월 · 더보기 »

1월 11일

1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번째(윤년일 경우도 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월 11일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1월 1일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2월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5월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6월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8월 15일 · 더보기 »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8월 26일 · 더보기 »

8월 27일

8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9번째(윤년일 경우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8월 27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 더보기 »

9월 11일

9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4번째(윤년일 경우 2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11일 · 더보기 »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12일 · 더보기 »

9월 14일

9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7번째(윤년일 경우 25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14일 · 더보기 »

9월 18일

9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1번째(윤년일 경우 2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18일 · 더보기 »

9월 19일

9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2번째(윤년일 경우 2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19일 · 더보기 »

9월 29일

9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2번째(윤년일 경우 27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29일 · 더보기 »

9월 2일

9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5번째(윤년일 경우 2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2일 · 더보기 »

9월 8일

9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1번째(윤년일 경우 2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8일 · 더보기 »

9월 9일

9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2번째(윤년일 경우 2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와 9월 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USAMGIK, 미 군정 조선, 미 군정청, 미군정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