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의 설날

색인 한국의 설날

설날은 추석과 더불어 한국의 명절 중의 하나로 음력 1월 1일이.

71 처지: 도시, 동국세시기, 명주, 문화, 밤 (시간), 박정희, 가풍, 고려, 복조리, 공휴일, 광복절, 관습, 대체휴일제도, 대한민국, 눈썹, 국제신문, 떡국, 널뛰기, 노태우, 단지, , 이승만, 이지함, 일본 제국, 일제 강점기, 음력 1월 1일, 음력 1월 2일, 음력 1월 3일, 을미개혁, 제기차기, 정월 대보름, 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 종교, 차례, 추석, 친족, 윷놀이, 팽이, 태양력, , 투호놀이, 양력설, 여행, 역경, , 연날리기, 엽전, 삼국유사, ..., 섣달그믐, 설날, 세배, 서울특별시, 소지 마립간, 한국의 명절, 한일 병합 조약, 한지, 신라, 화투, 화살, 와레키, 1896년, 1967년, 1985년, 1988년, 1989년, 1월 1일, 2003년, 2014년, 6월 항쟁.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 더) »

도시

세계적으로 유명한 메트로폴리스인 일본의 도쿄도 도시(都市)는 인간의 정치·경제·사회적인 활동 무대가 되는 장소이며, 인구 집중으로 인해 비교적 인구 및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을 말. 도시는 행정·사회적인 의미인 도(都)와 경제적인 의미인 시(市)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 도시에는 제2차 산업과 제3차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 도시의 중심기능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 시가지라 부르며, 시가지의 주변에 있는 지역을 교외.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도시 · 더보기 »

동국세시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정조 때의 학자 홍석모가 한국의 열두 달 행사와 그 풍속을 설명한 책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동국세시기 · 더보기 »

명주

비단천을 갈무리하는 여인들을 표현한 그림 명주(明紬) 또는 주(紬)는 누에의 고치로부터 얻은 천연 단백질 섬유인 견사(絹絲, 곧 명주실) 및 명주실로 짠 천(견(絹))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명주 · 더보기 »

문화

인간의 상징체계로서 선사시대의 문화의 행동 현대성을 보여주는 얄타미아 동굴 벽화(Altamira) 한국의 봉산탈춤 (중요무형문화재 제17호) 문화(文化)는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 체계를 말. 문화란 세계관, 사회사상, 가치관, 행동양식 등의 차이에 따른 다양한 관점의 이론적 기반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정의가 존재.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문화 · 더보기 »

밤 (시간)

밤 늦게 비친 보름달 밤은 하루중 태양이 지평면 아래에 있을 때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밤 (시간)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박정희 · 더보기 »

가풍

풍(家風)은 한 집안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風習)이나 범절(凡節)을 말. 먼 과거의 부계(父系) 조상으로부터 미래의 자손들에게로 연결되는 연속선상의 한 시점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풍이 확고히 정립된 집안에서는 세대가 바뀌어도 가족의 생활양식에 큰 변화가 없. 분류:가정 분류:가족.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가풍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고려 · 더보기 »

복조리

복조리 복조리는 많은 복을 받는다 해서 설날 이른 아침, 또는 섣달그믐날 밤 자정이 지나서 벽에 걸어두는 조리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복조리 · 더보기 »

공휴일

공휴일(公休日)은 국가에서 정한 휴일을 말. 미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는 일요일 외의 공휴일과 일요일이 겹치는 경우에는 그 다음날인 월요일까지 쉬는 대체휴일제도를 실시하고 있.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공휴일 · 더보기 »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 '광복'은“빛(光)을 되찾음(復)”, 즉, 주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광복절 · 더보기 »

관습

습(慣習)이란 어떤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켜 내려와 그 사회 성원들이 널리 인정하는 질서나 풍습을 말. 관행, 일반관행, 사실인 관습으로도 부른.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관습 · 더보기 »

대체휴일제도

휴일 제도(代替 休日 制度)는 어떤 휴일이 다른 휴일과 겹치면 휴일이 아닌 날을 더 쉬도록 하여, 공휴일이 줄어 들지 않게 하는 제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대체휴일제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눈썹

썹 눈썹()은 눈 위에 난 짧은 털로, 머리카락이나 머리에 있는 물체가 눈으로 내려오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눈썹 · 더보기 »

국제신문

국제신문(國際新聞, The Kookje Daily News)은 1947년 9월 1일 창간된 대표적인 지역신문으로 종합 일간지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국제신문 · 더보기 »

떡국

떡국은 한국의 전통 음식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떡국 · 더보기 »

널뛰기

섬네일 섬네일 널뛰기는 정초에 여성들이 즐겨하는 한국의 민속놀이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널뛰기 · 더보기 »

노태우

우(盧泰愚, 1932년 12월 4일 ~)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노태우 · 더보기 »

단지

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단지 · 더보기 »

잠 자는 아이 잠 자는 새끼 고양이 잠 또는 수면(睡眠)은 자연스럽게 반복되는, 무의식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는 행위를 말. 의식은 없거나 줄어들고, 감각 기관이 상대적으로 활동을 중단하며, 거의 모든 수의근의 움직임이 없는 것이 특징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잠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지함

이지함(李之菡, 1517년 10월 5일(음력 9월 20일이관명, 『병산집』(屛山集) 권11, 토정 이공 시장) ~ 1578년 8월 19일(음력 7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이지함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음력 1월 1일

음력 1월 1일(음력 일월 초하루, 정월 초하루)은 음력 1월의 1번째 날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음력 1월 1일 · 더보기 »

음력 1월 2일

음력 1월 2일(음력 일월 초이틀)은 음력 1월의 2번째 날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음력 1월 2일 · 더보기 »

음력 1월 3일

음력 1월 3일(음력 일월 초사흘)은 음력 1월의 3번째 날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음력 1월 3일 · 더보기 »

을미개혁

을미개혁(乙未改革)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을미사변 직후부터 1896년 2월 11일(을미년 음력 12월 28일) 아관파천 직전까지 추진된 조선의 제도 개혁을 말. 제1·2차 갑오개혁을 주도한 김홍집이 내각의 수반이었고 갑오개혁의 연장선에 있다고 보아 제3차 갑오개혁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을미개혁 · 더보기 »

제기차기

제기차기 제기차기는 한국의 민속놀이로서 설날 때를 중심으로 아이들이 겨울철에 즐기는 놀이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제기차기 · 더보기 »

정월 대보름

정월 대보름(正月 大보름) 또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정월 대보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조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인

조선인(朝鮮人)은 한국인을 뜻하는 다른 말로서, 다음 뜻으로도 쓰인.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조선인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종교 · 더보기 »

차례

(茶禮)는 가정마다 설날과 추석에 아침 일찍이 지내는 제사를 말. 가풍에 따라 정월 대보름, 초파일, 단오, 백중, 동지에도 차례를 지내는 집이 있. 제상 뒤로는 병풍을 둘러치고 지방(紙榜)을 병풍에 붙이거나 위패를 제사상에 세워 놓고 차례를.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차례 · 더보기 »

추석

석(秋夕)은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가배일(嘉俳日)로 부르기도 하며, 음력 8월 15일에 치르는 명절로서 설날과 더불어 한국인에게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명절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추석 · 더보기 »

친족

족(親族)은 법률상의 의미로는 피붙이인 혈족과 혼인으로 맺어진 척족인 인척(姻戚)을 말하며, 이러한 넓은 의미의 친족은 보통 친척(親戚)이라고 하는데 이는 관습상의 친족과 척족(戚族)을 합한 말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친족 · 더보기 »

윷놀이

윷놀이 윷가락 윷놀이는 박달나무 또는 통싸리나무로 윷을 만들어 여러 사람이 편을 갈라 즐기는 놀이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윷놀이 · 더보기 »

팽이

일본식 팽이 팽이는 어린이를 위한 장난감 중 하나로서, 하나의 고정된 축으로 균형을 잡고 회전.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팽이 · 더보기 »

태양력

양력(太陽曆)은 태양을 기준으로 하는 달력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태양력 · 더보기 »

색(色) 또는 색깔(色-), 빛깔()은 색각으로 느낀 빛의 주파수(또는 파장)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색상들을 말. 갈색, 고동색과 같이 서로 다른 색상들에 대해 붙인 이름들을 말. 한편 물체에 색을 칠하는 행위를 도색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색 · 더보기 »

투호놀이

호 놀이 투호놀이(投壺--)는 서울의 양반가정이나 궁중에서 하던 놀이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투호놀이 · 더보기 »

양력설

양력설(陽曆설)은 양력 1월 1일을 말. 설날인 음력 1월 1일과 구분하기 위하여 양력 1월 1일을 양력설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양력설 · 더보기 »

여행

스페인 오비에도의 여행가 동상 여행(旅行)이란 일이나 유람을 목적으로 다른 고장이나 외국에 가는 일, 자기 거주지를 떠나 객지에 나다니는 일, 다른 고장이나 다른 나라에 가는 일 등을 말. 여행은 비교적으로 멀리 있는 지역 간 사람들의 움직임을 말. 그 움직임은 걸어서, 자전거를 타고, 차나 기차, 보트, 버스, 비행기 등의 수단을 이용해 오고가는 것을 말. 그리고 짐을 가지고 갈 수도 있고 짐 없이 갈 수도 있. 또한 편도와 왕복으로도 나눌 수 있.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여행 · 더보기 »

역경

《역경(易經)》은 유학(儒學)의 삼경 중 하나로, 세계의 변화에 관한 원리를 기술한 책이라 일컬어지고 있. 《주역(周易)》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역경 · 더보기 »

280px 연(鳶)은 줄에 매달아서 바람에 날 수 있게 만든 물건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연 · 더보기 »

연날리기

연날리기(鳶-)는 한국의 민속 놀이로, 연을 날리는 것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연날리기 · 더보기 »

엽전

엽전(葉錢)은 놋쇠로 만든 옛날의 주화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엽전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섣달그믐

섣달그믐은 음력 12월의 마지막 날로, 음력 12월 30일 또는 음력 12월 29일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섣달그믐 · 더보기 »

설날

설날은 새해의 첫 날을 기념하는 날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설날 · 더보기 »

세배

세배(歲拜)는 한국의 설날 아침, 차례를 지낸 다음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하는 것을 말.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 음식으로 아침 식사를 마친 다음, 일가 친척과 이웃 어른을 찾아가서 세배를.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세배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소지 마립간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 ? ~ 500년, 재위; 479년 ~ 500년)은 신라의 제21대 왕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소지 마립간 · 더보기 »

한국의 명절

국의 명절은,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중국·베트남·일본의 명절과 겹치는 날이 많.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한국의 명절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지

(韓紙) 또는 닥종이는 한국 고대의 종이로 중국의 제지술을 도입하여 이를 더욱 발전시켰고, 그 품질 또한 매우 우수하였.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한지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신라 · 더보기 »

화투

국 화투. 테두리와 뒷면이 붉은 색이다. 화투(花鬪)는 12종류 48장으로 되어 있는 놀이딱지의 일종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화투 · 더보기 »

화살

화살 현대에 쓰이는 다양한 화살촉. 화살은 활로 쏘는 뾰족한 비행 구조체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화살 · 더보기 »

와레키

와레키()는 일본의 독자적인 역법으로, 연호와 함께 연도와 날을 세는 단위로 활용되었.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와레키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1896년 · 더보기 »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1967년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1985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1988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1989년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1월 1일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2003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2014년 · 더보기 »

6월 항쟁

6월 민주 항쟁(六月民主抗爭)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

새로운!!: 한국의 설날와 6월 항쟁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민속의 날, 설빔, 한국의 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