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밀양시

색인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263 처지: 랴오닝성, 동래, 동래성 전투,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홍제중학교, 동남 방언, 동읍, 매전면, 무안면, 문상윤, 미리벌민속박물관, 박일호, 박진, 박춘금, 가곡동 (밀양시), 가지산 (경상도), 밀양 나들목, 밀양 지역 고교생의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밀양도서관, 밀양동명고등학교, 밀양강, 밀양고등학교, 밀양댐, 밀양대로, 밀양대공원, 밀양우체국, 밀양읍성, 밀양전자고등학교, 밀양중학교, 밀양초등학교, 밀양향교, 밀양여자고등학교, 밀양여자중학교, 밀양역, 밀양소방서, 밀양아리랑, 밀양아리랑대축제, 밀양시립박물관, 밀양시의 국회의원, 밀성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밀성중학교, 밀성여자중학교, 가야, 경덕왕, 경부선, 경주시, 경상도 및 충청도 함락, 경상북도, ..., 경상남도, 경상남도밀양교육지원청, 번시 시, 고려 충렬왕, 고려 태조, 고려 현종, 고추, 고헌산, 보양, 계성면, 변계량, 권응수, 부벽루, 부북면, 부산광역시, 부산대학교, 부산진 전투, 까치, 김병지, 김부식, 김용대, 김종직, 김해시, 김원봉, 대구광역시, 대추나무, 대산면, 대한민국, 교동 (밀양시),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두서면, 남밀양 나들목, 남곤, 남원시, 내몽골 자치구, 내이동, 내일동, 낙동강, 뉴저지 주, 단장면, 효소왕, 우란하오터 시, 우산과 양산, 울주군, 울산광역시, 자유한국당, 장기표, 재약산, 이상조 (1940년), 이십삼부, 이홍기, 일연, 음력 4월 17일, 음력 4월 18일, 의창구, 전라북도, 조선, 조선 헌종, 조선 세종, 중앙고속도로, 창녕군, 창원시, 철쭉, 청도면, 청도군, 청도읍, 천황산, 처서, 초동면, 촉석루, 충령탑, 유정 (1544년), 윤세복, 윤세주, 상동면 (밀양시), 상남면 (밀양시), 태종무열왕, 영남루, 영산면, 오미하치만 시, 오규원, 오카야마현, 현풍군, 양승태, 양산시, 여우길, 허베이성, 엄용수 (1965년), 표충사 (밀양시), 풍각면, 사과나무, 산내면 (밀양시), 산외면 (밀양시), 삼랑진 나들목, 삼랑진고등학교, 삼랑진읍, 삼랑진중학교, 삼문동, 삼국유사, 삼국사기, 세종고등학교 (경남), 세종실록 지리지, 세토우치 시, 손숙, 소나무, 한림면, 한국고속철도, 한단 시, 하남읍, 신라, 신라의 행정 구역,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신영복, 시 (행정 구역), 시가현, 원효, 화양읍, 화악산 (경상도), 1018년, 10월 31일, 1100년, 1109년, 1172년, 11월 10일, 11월 17일, 11월 1일, 11월 21일, 11월 27일, 1274년, 1285년, 1286년, 12월 1일, 12월 29일, 12월 31일, 1365년, 1366년, 1389년, 1390년, 1392년, 1394년, 1401년, 1415년, 1479년, 1592년, 1599년, 1603년, 1684년, 1839년, 1844년, 1895년, 1896년, 1897년, 1905년, 1913년, 1914년, 1918년, 1924년, 1928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3년, 1945년, 1952년, 1962년, 1963년, 1966년, 1971년, 1973년, 1974년, 1986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4년, 1995년, 1998년, 1999년, 1월 1일, 1월 25일, 1월 28일, 2001년 11월, 2004년, 2006년, 2007년, 2008년, 3월 12일, 3월 1일, 3월 30일, 3월 4일, 4월 15일, 4월 1일, 4월 6일, 5월 1일, 5월 27일, 5월 28일, 5월 5일, 5월 6일, 654년, 6월 11일, 6월 23일, 757년, 7월 11일, 7월 15일, 7월 1일, 8월 17일, 8월 3일, 8월 4일, 940년, 995년, 9월 1일, 9월 2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3 더) »

랴오닝성

오닝 성(요녕성,, 문화어·조선말: 료녕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북부의 성이다.

새로운!!: 밀양시와 랴오닝성 · 더보기 »

동래

동래(東萊, Dongnae)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밀양시와 동래 · 더보기 »

동래성 전투

동래성 전투(東萊城戰鬪)는 1592년 5월 25일(음력 4월 15일) 부산진 전투에 이어 일어난 임진왜란 두 번째 전투로 동래 부사 송상현이 2시간을 버티며 왜군을 끝까지 막아냈으나 결국 전사하고 동래성은 함락되었.

새로운!!: 밀양시와 동래성 전투 · 더보기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홍제중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홍제중학교(東國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弘濟中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단장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홍제중학교 · 더보기 »

동남 방언

동남 방언(東南方言)은 영남 지방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이.

새로운!!: 밀양시와 동남 방언 · 더보기 »

동읍

동읍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의 읍이.

새로운!!: 밀양시와 동읍 · 더보기 »

매전면

매전면(梅田面)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도군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매전면 · 더보기 »

무안면

무안면(武安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무안면 · 더보기 »

문상윤

문상윤(文相潤, 1991년 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측면과 중앙을 모두 소화하는 미드필더이.

새로운!!: 밀양시와 문상윤 · 더보기 »

미리벌민속박물관

미리벌민속박물관은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범평리 소재의 사립 민속 박물관이.

새로운!!: 밀양시와 미리벌민속박물관 · 더보기 »

박일호

박일호(朴一浩, 1962년 7월 21일 ~)은 대한민국 제12~13대 민선 6~7기 경상남도 밀양시장이.

새로운!!: 밀양시와 박일호 · 더보기 »

박진

박진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밀양시와 박진 · 더보기 »

박춘금

일본 중의원 의원 당선되었을때 당시 박춘금. (중앙에 있는 사람이 박춘금이다.) 박춘금(朴春琴, 1891년 4월 17일 ~ 1973년 3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직업적 친일 인물이자 정치 깡.

새로운!!: 밀양시와 박춘금 · 더보기 »

가곡동 (밀양시)

곡동(駕谷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동이.

새로운!!: 밀양시와 가곡동 (밀양시) · 더보기 »

가지산 (경상도)

산(迦智山)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의 경계에 있는 산이.

새로운!!: 밀양시와 가지산 (경상도) · 더보기 »

밀양 나들목

밀양 나들목(Miryang IC)은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금천리에 설치된 중앙고속도로의 7번 교차로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 나들목 · 더보기 »

밀양 지역 고교생의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경상남도 밀양 지역 고교생 44명이, 밀양 여중생 1명을 집단성폭행 한 역대 가장 충격적인 사건 2004년 1월 중반부터 2004년 11월 말까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등지에서 밀양공업고등학교, 밀양밀성고등학교, 밀양세종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당시 만 18세, 1986년생)이던 밀양시, 창원시 지역 거주 남학생들과 창원의 모 직업전문학교 학생(당시 만 18세, 1986년생) 등 115명에 의해 울산광역시 중구의 모 여중에 다니는 최모 양 자매(당시 14, 13, 울산시 중구)와 그들의 고종사촌인 창원시에 사는 노모 양(당시 16, 창원시 중앙동), 그외 창원시에 거주하는 모 여중생, 여고생 2명 등을 밀양으로 유인, 밀양시내 가곡동의 모 여인숙 등지에서 집단 성폭행, 구타, 공갈협박, 금품갈취해온 강도, 강간, 폭력 사건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 지역 고교생의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

이 향로는 가는 은실을 청동으로 만들어진 향로에 새겨 넣는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향롯전에는 산스크리트어 6자가 새겨져 있다.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密陽 表忠寺 靑銅銀入絲香垸)은표충사에 있는 향로인데 고려 19대 명종 7년(1177년)에 제작되었.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密陽 表忠寺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 절에 있는 삼층석탑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 더보기 »

밀양도서관

밀양도서관은 경상남도 밀양시 소재의 도서관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도서관 · 더보기 »

밀양동명고등학교

밀양동명고등학교(密陽東明高等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동명고등학교 · 더보기 »

밀양강

밀양강(密陽江)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의 고헌산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에서 동창천(밀양강 본류)이 청도천과 합류되어 본격적으로 밀양강이 되어 남류하다가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서 낙동강에 합.지류로는 청도천,단장천,감존천,범곡천,직현천 등이 있.1983년 낙동강하구둑 건설로 자취를 감춘 연어가 2012년 3월 16일 31년 만에 방류사업이 재개되었.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강 · 더보기 »

밀양고등학교

밀양고등학교(密陽高等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고등학교 · 더보기 »

밀양댐

밀양댐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에 위치한 다목적 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댐 · 더보기 »

밀양대로

밀양대로(Miryang-daero, 密陽大路)는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모산사거리와 밀양시 산내면 가지산터널을 잇는 경상남도의 도로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대로 · 더보기 »

밀양대공원

밀양대공원은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에 위치한 공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대공원 · 더보기 »

밀양우체국

밀양우체국은 경상남도 밀양시 전역을 관할하는 부산지방우정청 소속 우체국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우체국 · 더보기 »

밀양읍성

밀양읍성(密陽邑城)는 경상남도 밀양시에 있는 읍성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읍성 · 더보기 »

밀양전자고등학교

밀양전자고등학교(密陽電子高等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신법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전자고등학교 · 더보기 »

밀양중학교

밀양중학교(密陽中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문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중학교 · 더보기 »

밀양초등학교

밀양초등학교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초등학교 · 더보기 »

밀양향교

밀양향교(密陽鄕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향교 · 더보기 »

밀양여자고등학교

밀양여자고등학교(密陽女子高等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여자고등학교 · 더보기 »

밀양여자중학교

밀양여자중학교(密陽女子中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문동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여자중학교 · 더보기 »

밀양역

밀양역(密陽驛)은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역 · 더보기 »

밀양소방서

밀양소방서(密陽消防署, Miryang Fire Station)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관할하는 경상남도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소방서 · 더보기 »

밀양아리랑

밀양아리랑(密陽---)은 주로 경상남도 밀양 지방을 중심으로 불리는 아리랑을 말.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아리랑 · 더보기 »

밀양아리랑대축제

밀양아리랑대축제는 매년 음력 4월 16일 이전의 길일을 택하여 4일간 개최하는 전통예술축제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아리랑대축제 · 더보기 »

밀양시립박물관

밀양시립박물관은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소재의 박물관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시립박물관 · 더보기 »

밀양시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밀양시의 국회의원 · 더보기 »

밀성고등학교

밀성고등학교(密城高等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성고등학교 · 더보기 »

밀성제일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密城第一高等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성제일고등학교 · 더보기 »

밀성중학교

밀성중학교(密城中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성중학교 · 더보기 »

밀성여자중학교

밀성여자중학교(密城女子中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밀성여자중학교 · 더보기 »

가야

야(伽倻, 加耶, 伽耶)는 낙동강 하류 지역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이.

새로운!!: 밀양시와 가야 · 더보기 »

경덕왕

경덕왕(景德王, 723년 ~ 765년, 재위: 742년 ~ 765년)은 신라의 제35대 왕이.

새로운!!: 밀양시와 경덕왕 · 더보기 »

경부선

경부본선(京釜本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의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부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

새로운!!: 밀양시와 경부선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상도 및 충청도 함락

경상도 및 충청도 함락은 임진왜란 당시 부산진과 동래성을 무너뜨린 일본군이 사기가 떨어진 경상도와 충청도 지역의 관군들을 무찌르고 개전 10일 만에 경상도를, 개전 14일 만에 충청도를 함락시킨 전투이.

새로운!!: 밀양시와 경상도 및 충청도 함락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밀양시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밀양시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상남도밀양교육지원청

경상남도밀양교육지원청(慶尙南道密陽敎育支援廳, Miryang Office of Education)은 경상남도 밀양시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경상남도교육청 산하에 설치된 교육지원청이.

새로운!!: 밀양시와 경상남도밀양교육지원청 · 더보기 »

번시 시

번시(本溪市)는 중국 랴오닝성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번시 시 · 더보기 »

고려 충렬왕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고려 충렬왕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밀양시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밀양시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추

()는 가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나무이.

새로운!!: 밀양시와 고추 · 더보기 »

고헌산

산(高獻山)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있는 산이.

새로운!!: 밀양시와 고헌산 · 더보기 »

보양

보양(寶壤, ?~?)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이며, 지식(智識)이.

새로운!!: 밀양시와 보양 · 더보기 »

계성면

성면(桂城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계성면 · 더보기 »

변계량

변계량(卞季良, 1369년~1430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정치가이.

새로운!!: 밀양시와 변계량 · 더보기 »

권응수

응수(權應銖, 1546년 ~ 160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여러 전투에 참여해 큰 공을 세웠.

새로운!!: 밀양시와 권응수 · 더보기 »

부벽루

부벽루(浮碧樓)는 평양시 중구역 금수산 모란봉 동쪽 깎아지른 청류벽 위에 서 있는 정자이.

새로운!!: 밀양시와 부벽루 · 더보기 »

부북면

부북면(府北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부북면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 Pusan National University)는 1946년 5월 15일에 설립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소재의 종합 국립대학교이며, 영남권을 대표하는 거점국립대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부산대학교 · 더보기 »

부산진 전투

부산진 전투(釜山鎭戰鬪)는 1592년 임진왜란 당시 두 번째로 벌어진 전투로 병력, 식량, 무기 등 모든 것이 부족했던 조선군이 완패하고 부산진성은 함락되었.

새로운!!: 밀양시와 부산진 전투 · 더보기 »

까치

(Magpie)는 까마귓과 까치속의 새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북서부에 분포하는 텃새이.

새로운!!: 밀양시와 까치 · 더보기 »

김병지

병지 (金秉址, 1970년 4월 8일 ~)11월 29일 대한민국의 전 축구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였.

새로운!!: 밀양시와 김병지 · 더보기 »

김부식

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

새로운!!: 밀양시와 김부식 · 더보기 »

김용대

용대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밀양시와 김용대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밀양시와 김종직 · 더보기 »

김해시

시청 청사 김해시(金海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김해시 · 더보기 »

김원봉

원봉(金元鳳, 1898년 9월 28일 (음력 8월 13일) ~ 1958년)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밀양시와 김원봉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추나무

매나무과 대추나무(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Bge.)의 열매이.

새로운!!: 밀양시와 대추나무 · 더보기 »

대산면

산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밀양시와 대산면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밀양시와 대한민국 · 더보기 »

교동 (밀양시)

동(校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동이.

새로운!!: 밀양시와 교동 (밀양시) · 더보기 »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4호선 (신안 ~ 울산선, 國道第二十四號 新安蔚山線)은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임자면사무소에서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삼호교남 교차로를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밀양시와 국도 제24호선 · 더보기 »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5호선 (창원 ~ 청주선, 國道第二十五號 昌原淸州線)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3호광장 교차로에서 대구광역시, 상주시를 지나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석교육거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밀양시와 국도 제25호선 · 더보기 »

두서면

서면(斗西面)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두서면 · 더보기 »

남밀양 나들목

밀양 나들목(S.Miryang IC)은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기산리에 설치된 중앙고속도로의 6번 교차로이.

새로운!!: 밀양시와 남밀양 나들목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밀양시와 남곤 · 더보기 »

남원시

원시청 남원시(南原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남원시 · 더보기 »

내몽골 자치구

몽골 자치구(몽골어:, Öbür Mongghul-un Öbertegen Jasaqu Orun))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에 위치한 자치구이.

새로운!!: 밀양시와 내몽골 자치구 · 더보기 »

내이동

이동(內二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동이.

새로운!!: 밀양시와 내이동 · 더보기 »

내일동

일동(內一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동이.

새로운!!: 밀양시와 내일동 · 더보기 »

낙동강

낙동강의 모습(안동 월영교) 낙동강(洛東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되어 영남 지방을 통해 남해로 흐르는 강이.

새로운!!: 밀양시와 낙동강 · 더보기 »

뉴저지 주

저지 주는 미국의 북동쪽에 위치한 미국의 주이.

새로운!!: 밀양시와 뉴저지 주 · 더보기 »

단장면

장면(丹場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단장면 · 더보기 »

효소왕

효소왕(孝昭王, 687년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 재위: 692년 8월 20일(음력 7월 3일)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은 남북국 시대의 남국인 신라의 제32대 왕이.

새로운!!: 밀양시와 효소왕 · 더보기 »

우란하오터 시

우란하오터() 는 내몽골 자치구 싱안 맹의 현급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우란하오터 시 · 더보기 »

우산과 양산

우산의 구조http://www.umbrellaman.co.uk/page/parts-umbrella.htm "Parts of an Umbrella", Carver Umbrellas, February 28, 2007 우산(雨傘)은 비, 눈, 우박이 내리고 있을 때에 스스로의 몸이나 소지품을 적시지 않기 위해 쓰이는 물건이.

새로운!!: 밀양시와 우산과 양산 · 더보기 »

울주군

울주군(蔚州郡)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밀양시와 울주군 · 더보기 »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울산광역시 · 더보기 »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이.

새로운!!: 밀양시와 자유한국당 · 더보기 »

장기표

장기표(張基杓, 1945년 12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재야운동가이.

새로운!!: 밀양시와 장기표 · 더보기 »

재약산

재약산 (載藥山)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경계에 있는 높이 1,108m의 산이.

새로운!!: 밀양시와 재약산 · 더보기 »

이상조 (1940년)

이상조(李相兆,1940년 4월 22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업인이.

새로운!!: 밀양시와 이상조 (1940년)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밀양시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이홍기

이홍기(李洪基, 1990년 3월 2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밀양시와 이홍기 · 더보기 »

일연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

새로운!!: 밀양시와 일연 · 더보기 »

음력 4월 17일

음력 4월 17일은 음력 4월의 17번째 날이.

새로운!!: 밀양시와 음력 4월 17일 · 더보기 »

음력 4월 18일

음력 4월 18일은 음력 4월의 18번째 날이.

새로운!!: 밀양시와 음력 4월 18일 · 더보기 »

의창구

의창구(義昌區)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북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밀양시와 의창구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밀양시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밀양시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밀양시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밀양시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중앙고속도로

청도 휴게소 폐쇄되기 전 김해부산 요금소 중앙고속도로(中央高速道路, 고속국도 제55호선)는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기점으로, 강원도 춘천시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밀양시와 중앙고속도로 · 더보기 »

창녕군

창녕군(昌寧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밀양시와 창녕군 · 더보기 »

창원시

창원시청사 창원시(昌原市)는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남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밀양시와 창원시 · 더보기 »

철쭉

쭉은 한국 원산의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이.

새로운!!: 밀양시와 철쭉 · 더보기 »

청도면

청도면(淸道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청도면 · 더보기 »

청도군

청도군청사 청도군(淸道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밀양시와 청도군 · 더보기 »

청도읍

청도읍(淸道邑)은 청도군의 읍으로, 청도천 남안과 남산(820m) 북동쪽에 위치하고 있. 1916년부터 고수리에 군청사가 있었으나, 1961년 화양읍으로 옮.

새로운!!: 밀양시와 청도읍 · 더보기 »

천황산

황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밀양시와 천황산 · 더보기 »

처서

서(處暑)는 24절기의 14번째로 태양 황경이 150도가 될 때이.

새로운!!: 밀양시와 처서 · 더보기 »

초동면

동면(初同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초동면 · 더보기 »

촉석루

촉석루(矗石樓)는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진주성내에 위치해 있는 누각이.

새로운!!: 밀양시와 촉석루 · 더보기 »

충령탑

충령탑(忠靈塔)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탑이.

새로운!!: 밀양시와 충령탑 · 더보기 »

유정 (1544년)

사명대사 유정(惟政, 1544년 10월 17일 ~1610년 음력 8월 26일 (양력 10월 12일)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이다. 속성은 임(任), 속명은 응규(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송운(松雲), 당호는 사명당(泗溟堂), 별호는 종봉(鍾峯), 본관은 풍천이며,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법명인 유정보다 당호인 사명당(泗溟堂)으로 더 유명하고, 존경의 뜻을 담아 사명대사(泗溟大師)라고도 부른다. 1912년 촬영된 사명대사 기적비(紀蹟碑). 언젠가 파괴되었다가, 1996년 파편이 건봉사에서 발견되었다.

새로운!!: 밀양시와 유정 (1544년) · 더보기 »

윤세복

윤세복(尹世復, 본명: 윤세린, 尹世麟, 1881년 ~ 1960년)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의 대종교의 제3세 도사교이며 초대 총전교(總典敎)이.

새로운!!: 밀양시와 윤세복 · 더보기 »

윤세주

윤세주 윤세주(尹世胄, 1901년 6월 24일 ~ 1942년 6월 3일)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밀양시와 윤세주 · 더보기 »

상동면 (밀양시)

상동면(上東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상동면 (밀양시) · 더보기 »

상남면 (밀양시)

상남면(上南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상남면 (밀양시)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영남루

영남루(嶺南樓)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누각으로 구 객사(舊客舍)의 부속건물이.

새로운!!: 밀양시와 영남루 · 더보기 »

영산면

영산면(靈山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영산면 · 더보기 »

오미하치만 시

오우미하치만 시()는 일본 시가현 중부, 비와 호의 동안에 위치한 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오미하치만 시 · 더보기 »

오규원

오규원(吳圭原, 본명: 오규옥 吳圭沃 1941년 12월 29일 ~ 2007년 2월 2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교육자이.

새로운!!: 밀양시와 오규원 · 더보기 »

오카야마현

오카야마 현()은 일본 주고쿠 지방의 세토 내해 연안에 있는 현이.

새로운!!: 밀양시와 오카야마현 · 더보기 »

현풍군

현풍군(玄風郡)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서남부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밀양시와 현풍군 · 더보기 »

양승태

양승태(梁承泰, 1948년 1월 26일 ~)는 대한민국의 제15대 대법원장을 지낸 법조인이.

새로운!!: 밀양시와 양승태 · 더보기 »

양산시

양산시청 양산시(梁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양산시 · 더보기 »

여우길

여우길(呂祐吉, 1567년 ~ 1632년)은 조선의 문신, 외교관, 정치인이.

새로운!!: 밀양시와 여우길 · 더보기 »

허베이성

베이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의 성이.

새로운!!: 밀양시와 허베이성 · 더보기 »

엄용수 (1965년)

엄용수(嚴龍洙, 1965년 1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이자 제10·11대 밀양시장과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밀양시와 엄용수 (1965년) · 더보기 »

표충사 (밀양시)

PAGENAMEBASE 표충사(表忠寺)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밀양시와 표충사 (밀양시) · 더보기 »

풍각면

풍각면(豊角面)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도군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풍각면 · 더보기 »

사과나무

사과나무(沙果나무)는 장미목 장미과 배나무아과 사과나무속에 딸린 종이.

새로운!!: 밀양시와 사과나무 · 더보기 »

산내면 (밀양시)

산내면(山內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산내면 (밀양시) · 더보기 »

산외면 (밀양시)

산외면(山外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산외면 (밀양시) · 더보기 »

삼랑진 나들목

삼랑진 나들목(Samnangjin IC)은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에 설치된 중앙고속도로의 5번 교차로이.

새로운!!: 밀양시와 삼랑진 나들목 · 더보기 »

삼랑진고등학교

삼랑진고등학교(三浪津高等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송지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삼랑진고등학교 · 더보기 »

삼랑진읍

삼랑진읍(三浪津邑)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밀양시와 삼랑진읍 · 더보기 »

삼랑진중학교

삼랑진중학교(三浪津中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송지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삼랑진중학교 · 더보기 »

삼문동

삼문동(三門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동이.

새로운!!: 밀양시와 삼문동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밀양시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밀양시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세종고등학교 (경남)

세종고등학교(世宗高等學校)는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밀양시와 세종고등학교 (경남) · 더보기 »

세종실록 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는 《세종실록》에 실린 지리지이.

새로운!!: 밀양시와 세종실록 지리지 · 더보기 »

세토우치 시

세토우치 시()는 일본 오카야마현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세토우치 시 · 더보기 »

손숙

손숙(孫淑, 1944년 5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기업가, 前 정무직공무원이.

새로운!!: 밀양시와 손숙 · 더보기 »

소나무

소나무는 구과목 소나무과의 식물이.

새로운!!: 밀양시와 소나무 · 더보기 »

한림면

림면(翰林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의 면이.

새로운!!: 밀양시와 한림면 · 더보기 »

한국고속철도

국고속철도(韓國高速鐵道) 또는 KTX(Korea Train eXpress)는 대한민국 고속철도 체계의 통칭으로, 2004년 4월 1일 개통되어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

새로운!!: 밀양시와 한국고속철도 · 더보기 »

한단 시

시(중국어 간체: 邯郸市, 정체: 邯鄲市, 병음: Hándān)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 성 남부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밀양시와 한단 시 · 더보기 »

하남읍

읍(下南邑)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밀양시와 하남읍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밀양시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행정 구역

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남북국 시대에 신라의 행정 구역은 9주 5소경(九州五小京)으로 요약할 수 있.

새로운!!: 밀양시와 신라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신대구부산고속도로(新大邱釜山高速道路, New Daegu Busan Expressway)는 중앙고속도로의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을 건설하고 휴게소와 같은 제반 시설을 관리 및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

새로운!!: 밀양시와 신대구부산고속도로 · 더보기 »

신영복

신영복(申榮福, 호 쇠귀, 1941년 8월 23일 ~ 2016년 1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

새로운!!: 밀양시와 신영복 · 더보기 »

시 (행정 구역)

시(市)는 행정 구역의 하나이.

새로운!!: 밀양시와 시 (행정 구역) · 더보기 »

시가현

시가현()은 일본 긴키 지방에 있는 현이.

새로운!!: 밀양시와 시가현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밀양시와 원효 · 더보기 »

화양읍

화양읍(華陽邑)은 경상북도 청도군의 읍으로, 청도군청 소재지이.

새로운!!: 밀양시와 화양읍 · 더보기 »

화악산 (경상도)

화악산(華岳山)은 해발 937.5m 높이의 대한민국 산이.

새로운!!: 밀양시와 화악산 (경상도) · 더보기 »

10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018년 · 더보기 »

10월 31일

10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4번째(윤년일 경우 3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0월 31일 · 더보기 »

11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100년 · 더보기 »

11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109년 · 더보기 »

11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172년 · 더보기 »

11월 10일

1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4번째(윤년일 경우 3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1월 10일 · 더보기 »

11월 17일

1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1번째(윤년일 경우 32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1월 17일 · 더보기 »

11월 1일

11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5번째(윤년일 경우 3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1월 1일 · 더보기 »

11월 21일

1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5번째(윤년일 경우 3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1월 21일 · 더보기 »

11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1번째(윤년일 경우 3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1월 27일 · 더보기 »

12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274년 · 더보기 »

12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285년 · 더보기 »

12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286년 · 더보기 »

12월 1일

1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5번째(윤년일 경우 3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2월 1일 · 더보기 »

12월 29일

1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3번째(윤년일 경우 3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2월 29일 · 더보기 »

12월 31일

12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5번째(윤년일 경우 366번째) 날에 해당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새로운!!: 밀양시와 12월 31일 · 더보기 »

13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365년 · 더보기 »

13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366년 · 더보기 »

13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389년 · 더보기 »

13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390년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392년 · 더보기 »

13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394년 · 더보기 »

14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401년 · 더보기 »

14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415년 · 더보기 »

14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1479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592년 · 더보기 »

1599년

15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599년 · 더보기 »

1603년

16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603년 · 더보기 »

1684년

168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684년 · 더보기 »

1839년

183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839년 · 더보기 »

1844년

184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844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896년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897년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05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13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14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18년 · 더보기 »

1924년

192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24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28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30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31년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32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33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45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52년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62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63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66년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71년 · 더보기 »

1973년

197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73년 · 더보기 »

1974년

197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74년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86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88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89년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90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94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95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98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1999년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밀양시와 1월 1일 · 더보기 »

1월 25일

1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번째(윤년일 경우도 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월 25일 · 더보기 »

1월 28일

1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번째(윤년일 경우도 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1월 28일 · 더보기 »

2001년 11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2001년 11월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2004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2007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밀양시와 2008년 · 더보기 »

3월 12일

3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1번째(윤년일 경우 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3월 12일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3월 1일 · 더보기 »

3월 30일

3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9번째(윤년일 경우 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3월 30일 · 더보기 »

3월 4일

3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3번째(윤년일 경우 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3월 4일 · 더보기 »

4월 15일

4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5번째(윤년일 경우 1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4월 15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4월 1일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4월 6일 · 더보기 »

5월 1일

5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1번째(윤년일 경우 122번째), 뒤에서부터는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5월 1일 · 더보기 »

5월 27일

5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7번째(윤년일 경우 1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5월 27일 · 더보기 »

5월 28일

5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8번째(윤년일 경우 1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5월 28일 · 더보기 »

5월 5일

5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5번째(윤년일 경우 126번째), 뒤에서부터는 24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5월 5일 · 더보기 »

5월 6일

5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6번째(윤년일 경우 127번째), 뒤에서부터는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5월 6일 · 더보기 »

6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654년 · 더보기 »

6월 11일

6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2번째(윤년일 경우 1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6월 11일 · 더보기 »

6월 23일

6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4번째(윤년일 경우 1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6월 23일 · 더보기 »

7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757년 · 더보기 »

7월 11일

7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2번째(윤년일 경우 1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7월 11일 · 더보기 »

7월 15일

7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6번째(윤년일 경우 1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7월 15일 · 더보기 »

7월 1일

7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2번째(윤년일 경우 1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7월 1일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8월 17일 · 더보기 »

8월 3일

8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5번째(윤년일 경우 2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8월 3일 · 더보기 »

8월 4일

8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6번째(윤년일 경우 2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8월 4일 · 더보기 »

9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940년 · 더보기 »

9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밀양시와 995년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9월 1일 · 더보기 »

9월 21일

9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4번째(윤년일 경우 2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밀양시와 9월 2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밀양, 밀양군, 밀양도호부, 밀양면, 밀양읍, 밀양시의 교통, 밀양시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