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바가투르

색인 바가투르

바가투르()는 튀르크-몽골의 역사적인 칭호.

39 처지: 러시아어, 돌궐, 로마 교황청, 만주어, 메르키트 바얀, 몽골, 몽골 제국, 몽골비사, 무굴 제국, 바투루, 바하두르 샤 1세, 불가르인, 불가리아 제1제국, 스테판 바토리, 우즈베크어, 울란바토르, 튀르크족, 힌두스탄어, 히바 칸국, 페르시아어, 폴란드어, 이란, 인도 번왕국, 일 칸국, 조지아어, 중가르 칸국, 칭기즈 칸, 카자흐어, 케레이트, 타타르어, 수부타이, 수나라, 예수게이, 헝가리어, 터키어, 하자르 카간국, 아불 가지 바하두르, 티무르 제국, 시크.

러시아어

시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동슬라브어군에 속한 언어이며 슬라브어파의 언어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이자, 러시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러시아어 · 더보기 »

돌궐

돌궐 제1제국의 강역 서돌궐의 강역 동돌궐 및 이후 돌궐 제2제국 최전성기의 강역 돌궐(突厥,,, 551년-657년) 또는 괵튀르크(𐰜𐰇𐰚 𐱅𐰇𐰼𐰜, Göktürk)는 천산 산맥에서 발원한 철륵의 하위 부족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돌궐 · 더보기 »

로마 교황청

마 교황청(~敎皇廳)은 기독교에서 성좌의 행정기관이며 교황과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중앙통제기구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로마 교황청 · 더보기 »

만주어

중국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는 건청문(乾淸門) 현판. 왼쪽에는 한자, 오른쪽에는 만주문자로 적혀 있다. 만주어(滿洲語)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만주어 · 더보기 »

메르키트 바얀

메르키트 바얀(? ~ 1340년)은 메르키트족 출신으로 원나라 토곤 테무르 황제 시절의 아스트 족 친위군 사령관이었.

새로운!!: 바가투르와 메르키트 바얀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새로운!!: 바가투르와 몽골 · 더보기 »

몽골 제국

몽골 제국()는 칭기스칸이 1206년에 건국한 제국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몽골 제국 · 더보기 »

몽골비사

몽골비사(몽골 문자: ᠮᠣᠩᠭᠣᠯ ᠤᠨᠨᠢᠭᠤᠴᠠᠲᠣᠪᠴᠢᠶᠠᠨ|몽콜룬 니구차 톱치이안)는 흔히 중국의 원대에 몽골어본이 완성되고 명대에 한어로 번역되었다고 추정하는 몽골의 역사서로, 원조비사(元朝秘史)라고도 불린.

새로운!!: 바가투르와 몽골비사 · 더보기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북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왕조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무굴 제국 · 더보기 »

바투루

바투루()는 만주어로 "용사"를 의미하는 말로 그 어원은 몽골어로 같은 의미인 바가투르.

새로운!!: 바가투르와 바투루 · 더보기 »

바하두르 샤 1세

아부 나스르 사이드 쿠틉 알딘 무함마드 샤 알람 바하두르 샤 파디샤(생몰년: 1643년 10월 14일 ~ 1712년 2월 27일; 재위: 1707년 ~ 1712년 2월 27일)는 무굴 제국의 7번째 황제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바하두르 샤 1세 · 더보기 »

불가르인

thumb 650년경 비잔티움 제국과 그 주변 불가르 족은 중앙 아시아에서 기원한 반 유목민족으로 캅카스 북쪽의 스텝 지방과 볼가 강 연안에서 2세기경 유럽으로 이주한 민족을 말. 이들은 유럽으로 이주하여 비잔티움 제국과 경쟁하며 현재의 불가리아에 정착하였고 불가리아인의 원형으로 여.

새로운!!: 바가투르와 불가르인 · 더보기 »

불가리아 제1제국

불가리아 제1제국()는 680년경 불가르인들이 발칸 반도 동북부에 건국한 중세 국가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불가리아 제1제국 · 더보기 »

스테판 바토리

스테판 바토리 혹은 바토리 이슈트반(1533년 9월 27일 – 1586년 12월 12일)는 헝가리 귀족 트란실바니아 공작(Prince of Transylvania; 1571년-1586년)이며, 폴란드 왕(King of Poland; 1576년-1586년)과 리투아니아 대공(Grand Duke of Lithuania; 1576년-1586년).

새로운!!: 바가투르와 스테판 바토리 · 더보기 »

우즈베크어

오즈벡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우즈베크어 · 더보기 »

울란바토르

울란바토르()는 몽골의 수도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울란바토르 · 더보기 »

튀르크족

르크어파의 언어가 공식 지위를 가진 국가와 자치행정구역 튀르크 제족(Türk 諸族)은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시베리아에서 발칸 반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퍼져 거주하는 튀르크어파를 모어로 하는 민족을 말. 인종적으로는 단일하지 않아서 황인종과 백인종이 섞여 만들어진 투르크멘, 우즈벡, 위구르, 오스만리는 4대 백인종 그룹인 투라니드 그룹에 속하고 키르기즈나 카자흐, 살라르, 투바등 동쪽 튀르크인에 가까운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튀르크인은 북방 황인종의 형질을 보인.하지만 유골상 단두형이 많아 원시 투르크는 백인종으로 보인.역사상 수많은 제국들을 건설했으나 문화적으로는 빈약하여 많은 문명에 동화되어.그들의 활동 영역은 중국과 유럽, 시베리아, 중앙 아시아, 서남 아시아, 북아프리카, 인도에 분포되었.

새로운!!: 바가투르와 튀르크족 · 더보기 »

힌두스탄어

힌두스탄어는 서부 힌두어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힌두스탄어 · 더보기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화레즘 지방에서 1740년에서 1747년 동안에 페르시아의 나디르 샤가 점령한 때를 제외한 БСЭ, 3-е издание.

새로운!!: 바가투르와 히바 칸국 · 더보기 »

페르시아어

르시아어(فارسی 혹은 پارسی) 간칭 파사어(波斯語)는 이란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며,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표기에는 아랍 문자가 사용되나, 아랍어와는 전혀 다른 언어이며, 힌디어, 싱할라어, 영어, 러시아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페르시아어 · 더보기 »

폴란드어

어()는 폴란드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폴란드어 · 더보기 »

이란

이란()은 서남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공화국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이란 · 더보기 »

인도 번왕국

인도 번왕국(藩王國, Indian princely state)이란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영국 정부가 직할 통치하지 않고 각 지역 제후들을 그대로 군주로 삼아 다스린 소규모 군주국들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인도 번왕국 · 더보기 »

일 칸국

일 칸국()은 몽골 제국의 칸국 중 하나로 현재의 이란, 이라크에 걸쳐 있던 나라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일 칸국 · 더보기 »

조지아어

조지아어(카르툴리 에나)는 조지아인이 사용하는 국어이자 조지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조지아어 · 더보기 »

중가르 칸국

중가르 칸국()는 몽골 오이라트 출신의 부족연합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중가르 칸국 · 더보기 »

칭기즈 칸

칭기즈 칸(1155/62/67년? 4월 16일-1227년 8월 25일)은 몽골 제국의 창업자이자 초대 카간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칭기즈 칸 · 더보기 »

카자흐어

자흐어(Қазақша)는 카자흐스탄의 공용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카자흐어 · 더보기 »

케레이트

이트()는, 몽골 제국 이전 시대에 몽골 고원 중북부 한가이 산맥 부근에 흩어져 살던 유목민 부족의 집단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케레이트 · 더보기 »

타타르어

르어는 타타르족이 쓰는 투르크어족의 언어로, 러시아 타타르 공화국의 공용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타타르어 · 더보기 »

수부타이

수부타이(1176년 ~ 1248년)는 몽골 제국의 개국공신으로 사구 중 한명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수부타이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바가투르와 수나라 · 더보기 »

예수게이

예수게이(1134년 ~ 1171년)는 12세기 중순에 몽골 고원의 북동부에서 활동한 몽골족의 수장이었.

새로운!!: 바가투르와 예수게이 · 더보기 »

헝가리어

헝가리어 (머저르 녤브)는 헝가리의 국어이며, 인근 나라에서 쓰이는 말로 우랄어족에 속.

새로운!!: 바가투르와 헝가리어 · 더보기 »

터키어

어(튀륵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터키, 키프로스, 아제르바이잔, 독일 등에서 쓰이며, 교착어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터키어 · 더보기 »

하자르 카간국

자르족()은 7세기부터 10세기에 걸쳐 카스피 해의 북쪽에서 거주했던 투르크계 민족이었.

새로운!!: 바가투르와 하자르 카간국 · 더보기 »

아불 가지 바하두르

아불 가지 바하두르 칸(1603년 8월 24일 ~ 1663년 또는 1664년;재위 기간: 1644년 ~ 1663년 또는 1664년)은 히바 칸국의 칸이자 차가타이 투르크어 사학자이.

새로운!!: 바가투르와 아불 가지 바하두르 · 더보기 »

티무르 제국

무르 제국( (Tīmūriyān), 우즈베크어: Temuriylar)은 중앙아시아의 트란스옥시아나(현재의 우즈베키스탄 중앙부)에 발흥했던 몽골 제국의 계승 정권 중 하나로서, 중앙아시아부터 이란에 걸친 지역을 지배했던 이슬람 왕조(1370년~1507년)이다. 전성기의 판도로 북동쪽은 동투르키스탄, 남동쪽은 인더스 강, 북서쪽은 볼가 강, 남서쪽으로는 역사적 시리아・아나톨리아 방면까지 이르러, 과거 몽골제국의 서남부 지역을 제패했다. 창시자인 티무르 재위 중에 티무르 제국이라 불렸다. 왕조의 시조 티무르는 차가타이 칸국을 섬기는 발라스부의 출신으로 언어적으로 투르크화하고, 종교적으로는 이슬람화했던, 몽골군인(차가타이인)의 일원이었다. 티무르의 정복으로, 앞서 말한 대판도를 구가하지만, 그의 사후에 자손들에 의하여 제국은 분할되었기 때문에 급속하게 분열하고 축소되어, 15세기 후반에는 사마르칸트와 헤라트의 두 정권이 남았다. 결국 16세기 초에 우즈베크의 샤이반 왕조에 의해 중앙아시아의 영토를 빼앗겨 멸망했다.큰 영토를 가진 티무르 제국을 보고 구소련을 지배했던 스탈린이 이를 부러워해 티무르 유해를 찾아오도록 했다는 일화가 있다. '티무르 관을 열면 전쟁이 벌어진다'는 예언이 있었지만, 스탈린은 티무르 관을 열었다고 한다. 이후 독일이 소련을 침공했다. 예언을 두려워한 스탈린은 다시 관을 덮은 뒤 다시는 관을 공개하지 않았다.

새로운!!: 바가투르와 티무르 제국 · 더보기 »

시크

시크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바가투르와 시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바타르, 바투르, 바토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