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바토페디 수도원

색인 바토페디 수도원

운 바닷가에서 보는 바토페디 수도원의 전경. 바토페디 (또는 바토파이디) 대수도원()은 그리스 아토스 산에 있으며, 10세기 동안에 아드리아노플에서 온 아토니테 아타나시우스의 제자들이었던 세 명의 수사들인 아타나시우스, 니콜라스 그리고 안토니우스에 의해 건축되었.

27 처지: 도서관,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이클 루이스, 그리스 고궁, 기적, 비잔티움 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스케테, 승천,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이반 아센 2세, 이콘, 카리에스, 카톨리콘, 콘스탄티누스 1세,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에디르네, 사도 토마스, 사도 안드레아, 프레스코, 성모 영보, 성작, 아토스 산의 아타나시우스, 아토스산, 테오도시우스, 테오토코스, 신민주주의당.

도서관

오스트리아 그라츠 대학교의 독서실. 도서관(圖書館)은 책, 잡지, 영상 매체, 마이크로필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정리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의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도서관 · 더보기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기원전 18년경 – 서기 41년경)는 신약성경에서 예수의 어머니로 등장하는 갈릴래아의 나자렛 출신 유대인 여성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 더보기 »

마이클 루이스

마이클 루이스 마이클 먼로 루이스(1960년 10월 15일 ~)는 미국의 논픽션 작가 겸 금융 저널리스트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마이클 루이스 · 더보기 »

그리스 고궁

궁 앞의 모습 그리스 고궁()은 1843년에 완성된 그리스의 군주가 사용하던 궁전이었.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그리스 고궁 · 더보기 »

기적

적(奇蹟)은 일반적으로는 기지(旣知)의 자연법칙이나 경험적 사실을 초월한 이상(異常) 현상, 특히 신들이 나타내는 불가사의한 힘의 작용을 말. 예로부터 종교·전설 속에는 마술적·환상적인 기적이 많이 전해지고 있는데, 예수는 오히려 이런 종류의 기적을 경계·거부하고 있다고 할 수 있. 그런데 《성서》에 예수 자신이 행한, 또는 그에게 일어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여러 기적을 그것을 사실 그대로 받아들인다든가 현대인의 과학적 사고방식에 의해 처리한다는 것은 모두 타당하지 않. 오히려 이러한 기적은 해석되기에 따라, 즉 《성서(聖書)》의 저자가 어째서 이를 기록하고 또 그것에 의해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가를 탐구함으로써 적절한 취급 방법을 터득할 수 있을 것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기적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기 다음은 동로마 제국, 즉 비잔티움 제국의 역대 황제들의 목록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 더보기 »

스케테

발라암 수도원의 스케테 샤판스키 스케테에 있는 러시아의 구 신자들(케르제네츠 강유역의 숲) 스케테(skete) 또는 공주 수도 단지(共住修道團地)는 수사들의 상대적인 고립은 인정되지만, 공동의 봉사 그리고 공유된 자원의 보호와 안전 또한 지켜야 하는 수도 생활 공동체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스케테 · 더보기 »

승천

승천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승천 · 더보기 »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349년경 – 407년)또는 요한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은 초기 기독교의 교부이자 제37대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였.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 더보기 »

이반 아센 2세

이반 아센 2세()는 1218년부터 1241년까지 제 2차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였.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이반 아센 2세 · 더보기 »

이콘

이콘()은 기독교에서 성모 마리아나 그리스도 또는 성인들을 그린 그림이나 조각을 말. 그림을 성화(聖畵), 조각을 성상(聖像)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이콘 · 더보기 »

카리에스

리에스()는 아토스 산의 정착지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카리에스 · 더보기 »

카톨리콘

아토스 산의 조그라푸 수도원에 있는 카톨리콘 카톨리콘()은 동방정교회에서의 수도원 또는 교구의 주요한 성당(교회 건물)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카톨리콘 · 더보기 »

콘스탄티누스 1세

스탄티누스 1세(272년 2월 27일 - 337년 5월 22일)는 중기 로마 황제(재위 306년 - 337년)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콘스탄티누스 1세 · 더보기 »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스타스 카라만리스 콘스탄티노스 알렉산드루 카라만리스(1956년 9월 14일 ~)은 그리스의 정치인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 더보기 »

에디르네

에디르네()는 터키의 가장 서쪽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에디르네 · 더보기 »

사도 토마스

마스(Thomas, St Thomas the Apostle, Judas Thomas, Didymus) 또는 도마는 그리스도교의 사도,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사도 토마스 · 더보기 »

사도 안드레아

안드레아(1세기 초 ~ 기원후 1세기 중순,말) 또는 안드레는 그리스도교의 사도,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제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며 베드로의 동생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사도 안드레아 · 더보기 »

프레스코

Michel Corneille the Elder, "그리스도의 부활" 프레스코(Fresco)는 'a fresco' (방금 회(灰)를 칠한 위에) 라는 이탈리아어에서 나온 낱말로서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많이 그려진 벽화를 일컫.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프레스코 · 더보기 »

성모 영보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성모영보 성모영보(聖母領報)는 그리스도교의 신약성서에 쓰여 있는 일화 가운데 하나로, 성모 마리아에게 가브리엘 대천사가 찾아와 성령에 의해 처녀의 몸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잉태할 것이라고 고하고, 또 마리아가 그것에 순명하고 받아들인 사건을 말.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모희보(聖母喜報)라고 하며, 개신교에서는 수태고지(受胎告知).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성모 영보 · 더보기 »

성작

바로크 양식의 성작과 성반 성작(聖爵, 은 기독교에서 사용하는 제구(祭具) 중의 하나로 성찬 전례(영성체)를 거행할 때에 성찬용 포도주를 담는 잔이다. 일반적으로 값비싼 합금을 재료로 만들어지며, 때때로 에나멜이나 보석으로 화려하게 치장하기도 한다. 성작은 초기 기독교 때부터 쭉 사용되어 왔다. 성경을 보면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빵과 잔에 든 포도주를 나누어 주며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루카 22,19)라고 당부하였으며, 사도 바오로 또한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11장 23~26장에서 성찬례는 기독교 전례의 중심이라고 가르쳤다. 이에 따라 성작은 매우 중요한 제구로서 매우 훌륭하게 장식되었으며 조심스럽게 다루어지게 되었다. 초창기 성작들은 커다란 그릇에 두 개의 손잡이가 달린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성작의 크기는 작아지고 성작을 놓을 때 쓰러지지 않기 위해 잔을 받치는 밑의 받침 부분이 커졌다. 또한 기독교 미술의 양식이 변화하면서 각 시대마다 잔과 받침의 크기와 비례의 변화, 장식 기법,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150px 성작의 기본적인 형태는 포도주가 담기는 잔 부분(poculum)과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중간의 줄기부분(nodus), 받침(fundamentum)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시대와 나라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서방 교회의 경우, 일반적으로 손잡이 부분과 받침 부분 사이에 어떤 장식이나 튀어나온 부위가 있어서 성작을 잡고 들어 올리는 일이 보다 용이하다. 가톨릭교회에서는 13세기 이후부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성작들은 튤립 모양을 한 경우가 많았으며, 포도주를 담는 공간이 매우 좁았는데, 이는 미사 때 사제만이 성혈을 영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모든 성체 배령자들도 자유롭게 성혈을 모실 수 있기 때문에(양형 영성체), 오늘날의 성작은 과거에 비해 더 크게 제작되는 경향이 있다. 성작을 만드는 데 사용된 재질은 초대 교회에서는 주로 유리가 사용되었고 점차 구리, 청동, 천연수정, 마노 등이 사용되다가 기독교가 정식으로 공인되고 본격적인 성미술이 시작되는 콘스탄티누스 대제(306-337) 이후에는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을 주재료로 하고 진주와 칠보 등 다양한 보석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성작은 다시 초대 교회 시절의 단순하고 장식이 없는 기능적인 형태로 돌아갔다. 다만 쉽게 깨지거나 썩는 재료로 만들어서는 안 되고,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성작의 안쪽 면은 반드시 금으로 도금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릇을 받치는 대와 받침은 단단하고 품위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고, 성찬례가 거행되는 동안 성혈을 담은 성작이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안전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등의 동방 교회에서는 십자가상처럼 성작을 에나멜을 입히거나 조각을 새기고는 한다. 동방 교회에서는 서방 교회와는 달리 모든 성체 배령자가 의무적으로 성체와 성혈을 모두 영하는 양형 영성체 방식을 의무화하고 있다. 성체를 모실 때 성체 조각은 성작 안에 넣어지며, 성체 배령자들은 사제가 숟가락으로 성체와 성혈을 떠서 주면 입으로 받아 모신다. 이러한 까닭에 동방 교회의 성작들은 서방 교회의 성작들에 비해 크기가 더 크고, 잔 부분이 원형을 이루고 있다.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성작 · 더보기 »

아토스 산의 아타나시우스

아토스 산의 아타나시우스()는 트레비존드의 아타나시오스(920년경 ~ 1003년경)라고도 불리며, 아토스 산에 동방 정교회의 공동체를 설립한 비잔티움의 수사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아토스 산의 아타나시우스 · 더보기 »

아토스산

아토스 산의 지도 아토스 산(오로스 아소스)은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있는 산이며 반도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아토스산 · 더보기 »

테오도시우스

오도시우스(Theodosius)는 라틴어 인명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테오도시우스 · 더보기 »

테오토코스

오토코스, 또는 데오토코스()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즉, 예수는 사람이 된 하느님이라는 그리스도론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모 마리아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인성(人性)과 함께 신성(神性)을 지닌 존재로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신성 출산'을 의미하는 기독교의 용어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테오토코스 · 더보기 »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新民主主義黨)은 현재 그리스의 야당이.

새로운!!: 바토페디 수도원와 신민주주의당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