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방강

색인 방강

방강(方綱, 1400년 ~ ?)은 조선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41 처지: 방순, 강화군, 경복궁, 경기도, 고려, 공조, 계유정난, 김종서 (1383년), 교동면, 남간, 남재, 남지, 남휘, 남양 홍씨, 승정원, 인천광역시, 전곡읍, 정치인, 정선공주, 조선, 조선 단종, 조선 태종,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종학, 판서, 유교, 윤호 (여말선초), 파평 윤씨, 순천 김씨, 영의정, 온양 방씨, 연천군, 성리학, 성균관, 1400년, 1447년, 1454년, 1466년, 1475년.

방순

방순(方恂 또는 方旬)은 고려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방강와 방순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방강와 강화군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방강와 경복궁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방강와 경기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방강와 고려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방강와 공조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방강와 계유정난 · 더보기 »

김종서 (1383년)

종서(金宗瑞, 1383년 ~ 1453년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가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이다. 도총제(都摠制) 김추(金錘)의 아들이다.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새로운!!: 방강와 김종서 (1383년) · 더보기 »

교동면

동면(喬桐面)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새로운!!: 방강와 교동면 · 더보기 »

남간

(南簡)(생몰년 미상)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방강와 남간 · 더보기 »

남재

재(南在, 1351년 ~ 1419년)는 조선의 개국 공신으로, 자는 경지, 호는 귀정, 본관은 의령이.

새로운!!: 방강와 남재 · 더보기 »

남지

(南智, 1392년 ~ 145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방강와 남지 · 더보기 »

남휘

휘(南暉, ? ~ 145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방강와 남휘 · 더보기 »

남양 홍씨

양 홍씨(南陽 洪氏)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방강와 남양 홍씨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방강와 승정원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방강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전곡읍

전곡읍(全谷邑)은 대한민국 경기도 연천군의 남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방강와 전곡읍 · 더보기 »

정치인

G20 정상회담 정치인(政治人)은 정치에 활발히 참여하거나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말. 정치가(政治家).

새로운!!: 방강와 정치인 · 더보기 »

정선공주

정선공주(貞善公主, 1404년 ~ 1424년 2월 25일(음력 1월 25일))는 조선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넷째 딸이.

새로운!!: 방강와 정선공주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방강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방강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방강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방강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방강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방강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종학

종학(宗學)은 조선 시대 왕족 자제들의 교육을 위하여 세운 특수 교육 기관이.

새로운!!: 방강와 종학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방강와 판서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방강와 유교 · 더보기 »

윤호 (여말선초)

윤호(尹虎, ? ~ 1393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방강와 윤호 (여말선초)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방강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순천 김씨

순천 김씨(順天 金氏)는 전라남도 순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방강와 순천 김씨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방강와 영의정 · 더보기 »

온양 방씨

온양 방씨(溫陽 方氏)는 충청남도 아산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방강와 온양 방씨 · 더보기 »

연천군

연천군(漣川郡)은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군이.

새로운!!: 방강와 연천군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방강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방강와 성균관 · 더보기 »

1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방강와 1400년 · 더보기 »

14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방강와 1447년 · 더보기 »

14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방강와 1454년 · 더보기 »

14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방강와 1466년 · 더보기 »

14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방강와 1475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