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영주 소수서원

색인 영주 소수서원

소수서원(紹修書院)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서원이.

34 처지: 동이 (드라마), 경상북도, 고려, 김성일, 대한민국의 사적,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국방, 임진왜란, 이원익, 이황, 정탁, 조선, 조선 명종, 조선 인조, 조선 중종, 좌의정, 주자, 주세붕, 순흥면,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영주시, 허목, 서원, , 안축 (고려), 안향, 1542년, 1543년, 1545년, 1550년, 1633년, 1963년, 1월 21일, 2010년.

동이 (드라마)

《동이》는 2010년 3월 22일부터 2010년 10월 12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동이 (드라마)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고려 · 더보기 »

김성일

성일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김성일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대한민국의 사적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 더보기 »

국방

국방(國防) 또는 안전보장(安全保障), 안보(安保)는 국가가 국민과 국제적으로 인정된 자국의 영역(영토, 영해, 영공)을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위협으로부터 사전에 예방하고 지키며, 경우에 따라서 이들의 보존과 안정을 위하여 국가가 지닌 모든 권력과 수단을 동원하는 행위 및 제도를 일컫.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국방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이원익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이황 · 더보기 »

정탁

정탁은 다음 사람을 뜻.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정탁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좌의정 · 더보기 »

주자

주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주자 · 더보기 »

주세붕

주세붕(周世鵬, 1495년 ~1554년)은 서원을 창시한 조선의 학자·문신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주세붕 · 더보기 »

순흥면

순흥면(順興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시의 면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순흥면 · 더보기 »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榮州 宿水寺址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영주시 숙수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영주시

영주시(榮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영주시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허목 · 더보기 »

서원

예림서원에 있는 구영당 서원(書院)는 동아시아에서 일종의 학교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서원 · 더보기 »

송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송 · 더보기 »

안축 (고려)

안축 (安軸, 1282년 ~ 1348년) 은 고려의 학자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안축 (고려) · 더보기 »

안향

안향 초상 (국보 제111호) 안향(安珦, 1243년 ~ 1306년)은 고려의 명신(名臣)·학자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안향 · 더보기 »

15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1542년 · 더보기 »

15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1543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1545년 · 더보기 »

15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1550년 · 더보기 »

1633년

163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1633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1963년 · 더보기 »

1월 21일

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번째(윤년일 경우도 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1월 21일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영주 소수서원와 2010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백운동 서원, 백운동서원, 소수 서원, 소수서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