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백운동천

색인 백운동천

백운동천(白雲洞川)은 창의문 기슭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청계천의 도성 내 지류 중 가장 길어 청계천의 본류로 간주.

34 처지: 동국여지비고, 갑자사화, 고려 충숙왕, 복개천, 궁전, 북악산, 금천 (하천), 승정원일기, 자수궁, 자하문로, 조선 연산군, 조선 성종, 종로구, 준천사실, 창의문, 청계천, 청운효자동, 새문안로, 옥인동, 허종, 허침, 사직동 (서울), 삼청동천, 서울특별시, 서울청운초등학교, 한강, 한경지략, 한양도성, 신교동, 10월 30일, 11월, 2013년, 2014년, 2030년.

동국여지비고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는 조선 시대의 국가와 서울의 인문·지리·법제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한 책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동국여지비고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갑자사화 · 더보기 »

고려 충숙왕

충숙왕(忠肅王, 1294년 7월 30일 (음력 7월 7일) ~ 1339년 5월 3일 (음력 3월 24일)은 고려 제27대 국왕(재위: 1313년~1330년, 복위 1332년~1339년)이다. 초명은 도(燾), 휘는 만(卍), 자는 의효(宜孝), 몽골 이름은 아라트나슈리().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숙왕(忠肅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의효대왕(懿孝大王)이다. 충선왕과 원 출신의 의비 야속진의 둘째아들이다. 사촌인 심양왕의 무고로 원나라에서 유수생활을 하고 옥새를 원나라 조정으로부터 압수당하기도 했다.

새로운!!: 백운동천와 고려 충숙왕 · 더보기 »

복개천

복개(覆蓋)는 하천이 흐르는 위를 콘크리트로 덮는 것을 의미하며, 복개된 하천을 복개천(覆蓋川)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복개천 · 더보기 »

궁전

궁전(宮殿)는 왕이나 왕족이 일을 보고 생활하던 건축물을 말. 궁궐(宮闕), 궁실, 대궐, 어궐, 왕궁 등의 이름으로 불리.

새로운!!: 백운동천와 궁전 · 더보기 »

북악산

북악산(北岳山)은 서울의 경복궁 북쪽에 있는 산으로, 백악산(白岳山)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북악산 · 더보기 »

금천 (하천)

(禁川)은 대한민국의 궁궐과 왕릉 등에서, 그 안으로 들어가기 위하여 건너던 물길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금천 (하천) · 더보기 »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조선 및 대한제국의 승정원에서 왕명 출납, 행정 사무 등을 매일 기록한 일기 이.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

새로운!!: 백운동천와 승정원일기 · 더보기 »

자수궁

자수궁(慈壽宮)은 조선 광해군 때에, 인왕산의 왕기(王氣)를 누르기 위해 지었던 궁궐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자수궁 · 더보기 »

자하문로

자하문로(紫霞門路, Jahamun-ro)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자동 내자동교차로에서 부암동 세검정삼거리를 잇는 3.2km의 도로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자하문로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종로구 · 더보기 »

준천사실

준천사실(濬川事實)은 경진년(영조 26년, 1760년)에 영조의 명으로 시행한 청계천 준설을 기록한 책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준천사실 · 더보기 »

창의문

창의문(彰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서북쪽에 있는 문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창의문 · 더보기 »

청계천

청계천(淸溪川)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내부에 있는 지방하천으로, 한강 수계에 속하며 중랑천의 지류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청계천 · 더보기 »

청운효자동

청운효자동(淸雲孝子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청운효자동 · 더보기 »

새문안로

새문안로(新門內路, Saemunan-ro)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 211(서대문역)에서 세종로 1-68(세종대로사거리)를 잇는 왕복 8차선의 도로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새문안로 · 더보기 »

옥인동

옥인동(玉仁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청운효자동에 속해 있.

새로운!!: 백운동천와 옥인동 · 더보기 »

허종

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백운동천와 허종 · 더보기 »

허침

(許琛; 1444년 ~ 1505년)은 조선의 문신, 시인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허침 · 더보기 »

사직동 (서울)

사직동(社稷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사직동 (서울) · 더보기 »

삼청동천

삼청동천(三淸洞川)은 북악산의 남쪽에서 발원하여 지금의 청계광장 부근에서 청계천으로 합류하던 하천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삼청동천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울청운초등학교

서울청운초등학교(서울淸雲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서울청운초등학교 · 더보기 »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한강 · 더보기 »

한경지략

경지략(漢京識略)은 조선시대 한성(漢城)의 역사를 간략하게 서술한 부지(府誌)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한경지략 · 더보기 »

한양도성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은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한양도성 · 더보기 »

신교동

신교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백운동천와 신교동 · 더보기 »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백운동천와 10월 30일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백운동천와 11월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2013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2014년 · 더보기 »

2030년

203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백운동천와 2030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