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색인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扶餘 普光寺址 大普光禪師碑)는 충청남도 부여군 성주산의 보광사터에 있던, 고려시대의 비석이.

14 처지: 고려, 고려 원종, 부여군, 부여읍, 비석, 대한민국의 보물, 국립부여박물관, 전서, 충청남도, 성주산, 원명국사, 1281년, 1963년, 1월 21일.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원종

원종(元宗,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1274년)이다. 초명은 전(倎), 나중에 식(植)으로 개명하였고, 휘는 정(禎), 자는 일신(日新), 원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왕(忠敬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순효대왕(順孝大王)이다. 고종과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靜順王后)인데, 이후 충렬왕이 순경태후(順敬太后)로 추존했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고려에서 마지막으로 묘호를 사용한 왕이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쓰지 못하였다. 그리고 왕의 시호 앞에 글자는 원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증거인 "충(忠)"자를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때 이후로 "짐"은 "고" 또는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선지"는 "왕지"로 명칭이 격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관직 용어들의 명칭들도 모두 격하되었다.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고려 원종 · 더보기 »

부여군

부여군(扶餘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부여군 · 더보기 »

부여읍

부여읍(扶餘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의 군청 소재지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부여읍 · 더보기 »

비석

비석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비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물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대한민국의 보물 · 더보기 »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國立扶餘博物館)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국립부여박물관 · 더보기 »

전서

전서(篆書)는 한자 서체의 종류 중. 고문의 자체와 서풍이 정리된 것으로서 대전(大篆)·소전(小篆)의 2종이 있. 대전은 주문(籒文)이라고도 불리고 주(周)의 사주(史籒)가 만들었다고도 전. 소전은 대전의 체세(體勢)를 길게, 점획(点劃)를 방정하게 하여 서사(書寫)를 편리하게 한 것으로서 진시황제의 문자통일 때에 승상 이사(李斯)가 창시하였다고 전. 분류:한자 서체 분류:서예.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전서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성주산

성주산(聖住山)은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과 성주면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성주산 · 더보기 »

원명국사

원명국사 징엄(圓明國師 王澄儼, 1090년 ~ 1141년)은 고려의 왕족이자 승려이다인명사전 > 한 국 인 명 > ㅈ > 징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원명국사 · 더보기 »

12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1281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1963년 · 더보기 »

1월 21일

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번째(윤년일 경우도 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1월 2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보광사대보광선사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