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타이가

색인 타이가

이가 (어원은 투르크어 또는 몽골어), 또는 북방수림(北方樹林, boreal forest)은 아한대 기후에 냉대림이 펼쳐져 있는 생물군계이.

155 처지: 느릅나무속, 러시아, 러시아 극동, 독수리류, 라즈베리, 레나강, 룰레오, 말코손바닥사슴, 매켄지강, 맹금류, 먹이 그물, 멧밭쥐, 몽골, 몽골어, 무르만스크, 미국 본토, 백해, 백야, 발트해, 강수, 가문비나무, 베르호얀스크, 베링 육교, 베링해, 겨울잠, 벌목, 버드나무속, 검독수리, 고지 지중해성 기후, 고산토끼, 곤충, , 광합성, 북반구, 북극권, 북아메리카, 분해자, 분홍바늘꽃, 부육, 극야, 비 (날씨), 비버, 꽃가루 매개자, 대서양, 냉대 동계 소우 기후, 냉대 기후, 냉대 습윤 기후, 눈 (날씨), 눈덧신토끼, 구과식물, ..., 구북구, 구주소나무, 둥지, 낙엽성, 넌출월귤, 노르웨이, 다람쥐과, 단풍나무속, 스라소니속, 스텝, 스웨덴, 트롬쇠, 울버린, 회색늑대, 회색곰, 습윤 대륙성 기후, 튀르크어족, 잎갈나무, 자작나무속, 잡식성, 잣나무, 큰곰, 큰까마귀, 포유류, 이끼, 일본, , 적응, 전나무, 전나무속, 족제비속, 증발, 증산, 진들딸기, 지의류, 참나무속, 철새, 초본식물, 초식성, 카자흐스탄, 캐나다, 쾨펜의 기후 구분, 유럽노루, 유라시아, 유콘 준주, 육식성, 파충류, 위도, 상트페테르부르크, 생물 군계, 태평양, 태양, 태양 에너지, , 툰드라, , 순록, 수렁, 영구동토, 영양 단계, 옐로나이프, 오리나무속, 오비강, 오울루, 오호츠크해, 온대 우림, 온대 활엽수혼합림, 올빼미목, 호수, 예니세이강, 양서류, 여우, 열대 우림, 허브, 엘크, 사시나무속, 산 (화학), 산불, 피나무속, 설치류, 서식지, 서식지 파괴, 속 (생물학), 속씨식물, 토양층위, 소련, 소나무속, 애팔래치아산맥, 야쿠츠크, 알래스카주, 안개, 앵커리지, 아르한겔스크, 아르한겔스크 주, 아메리카너구리, 아메리카흑곰, 아극 기후, 아시아, 핀란드, 신북구, 시베리아, 월귤, 황무지, 외만주, 홋카이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5 더) »

느릅나무속

릅나무속은 장미목 느릅나무과의 속이.

새로운!!: 타이가와 느릅나무속 · 더보기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타이가와 러시아 · 더보기 »

러시아 극동

극동 연방관구 (붉은색) 러시아 극동()은 러시아의 동쪽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이.

새로운!!: 타이가와 러시아 극동 · 더보기 »

독수리류

리폰독수리 독수리(vulture)는 청소 동물이자 맹금류이.

새로운!!: 타이가와 독수리류 · 더보기 »

라즈베리

베리 라즈베리(raspberry)는 산딸기속 식물의 먹을 수 있는 과일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타이가와 라즈베리 · 더보기 »

레나강

강(야쿠트어: Өлүөнэ, Ɵlyөne)은 동시베리아를 흐르는 강으로 전체 길이 4400 km, 유역 면적은 242만 km2이.

새로운!!: 타이가와 레나강 · 더보기 »

룰레오

오 성당 룰레오의 위치 룰레오()는 스웨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노르보텐 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28.81km2, 인구는 45,467명(2005년 기준), 인구 밀도는 1,578명/km2이.

새로운!!: 타이가와 룰레오 · 더보기 »

말코손바닥사슴

말코손바닥사슴(Alces alces)은 말코손바닥사슴속의 유일한 종으로 현존하는 사슴중 가장 큰 종이.

새로운!!: 타이가와 말코손바닥사슴 · 더보기 »

매켄지강

매켄지 강(Mackenzie River)은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의 그레이트슬레이브 호에서 발원하여 북극해로 흘러드는 강이.

새로운!!: 타이가와 매켄지강 · 더보기 »

맹금류

맹금류(猛禽類)는 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을 갖고있는 육식성 새들을 뜻. 맹금류는 조류의 먹이사슬 중에서 최강자로 군림.

새로운!!: 타이가와 맹금류 · 더보기 »

먹이 그물

수와 흙에 사는 생물의 그물 관계 먹이그물은 생태계 내의 종 간의 포식자와 피식자의 관계와 에너지, 물질의 전달 관계를 나타낸 것이.

새로운!!: 타이가와 먹이 그물 · 더보기 »

멧밭쥐

멧밭쥐(Micromys minutus)는 한반도에서 흔한 들쥐류로 한국 전역에 서식.

새로운!!: 타이가와 멧밭쥐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새로운!!: 타이가와 몽골 · 더보기 »

몽골어

몽골어(Монгол хел)는 몽골의 공용어이.

새로운!!: 타이가와 몽골어 · 더보기 »

무르만스크

섬네일 무르만스크()는 러시아 최북서단의 도시이고, 무르만스크 주의 주도이.

새로운!!: 타이가와 무르만스크 · 더보기 »

미국 본토

미국 본토 미국 본토(美國本土) 또는 미국 대륙(美國大陸, continental United States)은 다음 두 가지 뜻으로 쓰인.

새로운!!: 타이가와 미국 본토 · 더보기 »

백해

백해 백해(白海,,, 카랼라어: Valkea meri/Vienanmeri, 네네츠어: Сэрако ям’)는 러시아의 북서쪽 해안에 있는 바렌츠 해의 만이.

새로운!!: 타이가와 백해 · 더보기 »

백야

노르웨이의 백야 현상 백야(白夜)는 위도 48.5° 이상인 지역에서 여름 동안 밤에 밝아지는 현상을 말. '하얀 밤'이라는 표현은 러시아에서 쓰는 것으로, 스웨덴 등 다른 지방에서는 이를 '한밤의 태양'으로 부른.

새로운!!: 타이가와 백야 · 더보기 »

발트해

발트해 발트해()는 북유럽의 바다로,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북유럽, 동유럽, 중앙유럽, 그리고 덴마크의 섬들로 둘러싸인 바다를 말. 카테가트 해협과 스카게라크 해협을 통해 북해·대서양과 연결되어 있. 백해-발트해 운하를 통해 백해와, 킬 운하를 통해 북해와 바로 연.

새로운!!: 타이가와 발트해 · 더보기 »

강수

강수(降水) 현상은 지구의 물 순환 중에서 수증기가 응축하여 땅에 내리는 모든 것을 뜻하는 기상학 용어이.

새로운!!: 타이가와 강수 · 더보기 »

가문비나무

문비나무(학명: Picea jezoensis)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500~2,300m에 자생하는 상록교목이고 방향성 식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가문비나무 · 더보기 »

베르호얀스크

베르호얀스크()는 러시아 사하 공화국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타이가와 베르호얀스크 · 더보기 »

베링 육교

베링 육교 베링 육교는 빙하 시대, 여러 차례에 걸쳐 1600 km 가량의 폭으로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사이를 이었던 육교를 말. 베링 해협과 베링 해, 축치 해 등의 얕은 바다가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두 대륙이 땅으로 연결되었.

새로운!!: 타이가와 베링 육교 · 더보기 »

베링해

베링 해의 위치 베링 해(-海)는 태평양의 북쪽 바다이.

새로운!!: 타이가와 베링해 · 더보기 »

겨울잠

울잠 또는 동면(冬眠)은 겨울이 되어 동물이 대사 활동을 최대한 낮춘 상태에서 겨울을 나는 것을 말.

새로운!!: 타이가와 겨울잠 · 더보기 »

벌목

벌목은 다음과 같은 뜻을.

새로운!!: 타이가와 벌목 · 더보기 »

버드나무속

버드나무속은 말피기목 버드나무과의 한 속이.

새로운!!: 타이가와 버드나무속 · 더보기 »

검독수리

독수리(Golden eagle)는 수리과에 속하며, 학명은 Aquila chrysaetos 이. 북반구에서 가장 잘 알려진 맹금류 중 하나로, 다른 수리과 조류처럼 주행성 맹금류에 속. 한 때 전북구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나, 인간의 거주 구역으로부터 점차 사라져갔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되었거나 희귀해 졌으나, 여전히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리고 일부 아프리카 지역에 흔하게 존재.

새로운!!: 타이가와 검독수리 · 더보기 »

고지 지중해성 기후

중해성 기후의 분포 모습. 고지 지중해성 기후(高地地中海性氣候)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냉대 기후에 속하며, 기호는 Ds이.

새로운!!: 타이가와 고지 지중해성 기후 · 더보기 »

고산토끼

산토끼(Mountain hare, 학명: Lepus timidus) 또는 눈토끼는 토끼과에 속하는 포유류이.

새로운!!: 타이가와 고산토끼 · 더보기 »

곤충

충(昆蟲)은 절지동물문에 속하는 동물로서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가슴에는 세 쌍의 다리와 두 쌍의 날개가 달려 있. 현존하는 동물계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물 중에서는 제일 많은 개체수와 종수를.

새로운!!: 타이가와 곤충 · 더보기 »

은 식육목 곰과 이며 포유동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곰 · 더보기 »

광합성

식물의 광합성. 생성된 탄수화물은 식물에 비축되거나 식물이 사용한다. 식물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광합성 등식 광합성(光合成,, 영어: Photosynthesis) 지구상의 생물이 빛을 이용하여 화합물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화학 작용으로, 지구상의 생물계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화학 작용의 하나이.

새로운!!: 타이가와 광합성 · 더보기 »

북반구

색 부분이 북반구이다 북반구 북반구(北半球)는 적도 이북의 반구를 말. 6월부터 8월까지가 여름이고, 12월부터 2월까지가 겨울이.

새로운!!: 타이가와 북반구 · 더보기 »

북극권

붉은 색으로 북극권이 표시된 세계 지도 푸른 색으로 북극권이 표시된 북극 지도 북극권(北極圈)은 지도 위에 표시된 지구의 주요 다섯 위선 중 하나이.

새로운!!: 타이가와 북극권 · 더보기 »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의 인공위성 합성사진 북아메리카() 또는 북미(北美)는 지구의 북반구, 서반구에 위치한 대륙이.

새로운!!: 타이가와 북아메리카 · 더보기 »

분해자

분해자(分解者, decomposer)는 동식물의 사체나 배설물을 분해하여 무기물로 만드는 생물을 말. 나무에 붙은 버섯은 생태계의 분해자이다. 유기물을 스스로 합성하는 녹색식물이나 이 식물을 먹어 영양분을 얻는 동물도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마침내는 죽. 먹이로서 섭취된 동식물은 완전히 소화·흡수되는 것은 아니고 소화되지 않은 것은 배설되며, 또 식물도 잎을 떨어뜨리.

새로운!!: 타이가와 분해자 · 더보기 »

분홍바늘꽃

분홍바늘꽃은 바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타이가와 분홍바늘꽃 · 더보기 »

부육

로드킬당한 캥거루 부육을 먹으려는 쐐기꼬리수리. 부육(腐肉, Carrion, ‘고기’를 의미하는 라틴어 caro가 어원)이란 죽어서 썩어가는 동물의 살덩어리, 말 그대로 썩어가는 고기이.

새로운!!: 타이가와 부육 · 더보기 »

극야

극야 기간의 노르웨이 트롬쇠 지역(오후 2시경) 극야(極夜)는 위도 66.5° 이상인 지역에서 겨울 동안 낮에 어두워지는 현상을 말. 즉, 흑야라고 하지 않고 극야라고 하는 이유는 밤이 극단적으로 길기 때문에 이 단어가 붙여진 것이.

새로운!!: 타이가와 극야 · 더보기 »

비 (날씨)

땅 위에 떨어지고 있는 빗방울들의 모습 비는 대기권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의 형태로 지상에 떨어지는 기상 현상을 일컬으며, 대기권에 있는 수증기가 충분히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떨어지는데 이는 지구에서 일어나는 물의 순환의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

새로운!!: 타이가와 비 (날씨) · 더보기 »

비버

비버(beaver)는 북아메리카와 유럽에 사는 설치류이.

새로운!!: 타이가와 비버 · 더보기 »

꽃가루 매개자

300px 꽃가루 매개자 또는 화분수는 꽃가루를 꽃의 수술에서 암술로 옮겨서 생식에 이르게 하는 수분 과정을 이뤄내는 생물체를 가리.

새로운!!: 타이가와 꽃가루 매개자 · 더보기 »

대서양

서양(大西洋, Atlantic Ocean)은 유럽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 아메리카 사이에 있는 바다이며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대양이.

새로운!!: 타이가와 대서양 · 더보기 »

냉대 동계 소우 기후

냉대 동계 소우 기후의 분포 모습. 포드졸 토양의 모습. 회백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냉대 동계 소우 기후(冷带冬季少雨氣候)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냉대 기후에 속하며, 기호는 Dw이다. 트란스 바이칼 기후 라고도 한다. 여름에는 온도가 비교적 높고, 겨울에는 맑은 날씨가 지속되고 약한 바람이 분다. 복사냉각 때문에 매우 쌀쌀한 것이 특징이다. 또 여름에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린다. 겨울은 여름에 비해 매우 긴 편이다. 기온의 연교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대륙성 기후가 짙게 나타난다. 냉대 동계 소우 기후는 매우 추운 기후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곳과 재배 수종 및 수가 제한되어 있다. 수수, 옥수수, 봄밀 등을 재배한다. 북부는 타이가 기후와 같이 타이가가 많이 나타나 임업활동을 한다. 숲 또한 냉대 습윤 기후와 비슷하여 남부에는 침엽수와 활엽수가 함께 나타나는 혼합림이, 북부에는 타이가(침엽수림)이 잘 나타난다. 북부는 추위에도 잘 견디는 가늘고 뾰족한 잎을 가진 침엽수가 자라기 유리하기 때문에 타이가가, 남부에는 북부보다 따뜻하여 혼합림이 잘 나타난다. 남부 지역의 극소수에서만 벼 재배가 가능하다. 토양은 주로 포드졸이 나타나고, 혼합림에서는 갈색 삼림토가 나타나는데, 포드졸은 유기물이 분해되지는 않았으나, 소금기를 잘 머금지 않고 침엽수림의 특성 때문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에 반해 갈색 삼림토는 물을 잘 흡수하고 포드졸에 비해 약산성을 띠기 때문에 농작물 재배와 목축에 알맞다. 이런 냉대 동계 소우 기후가 나타나는 곳으로는 시베리아 동부, 중국 북부, 대한민국 북부 내륙 지역과 남부의 일부 산악지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부분, 캐나다 일부 지역 등이 있으며, 특히 시베리아 동부는 세계의 한극을 만들어 낸다.

새로운!!: 타이가와 냉대 동계 소우 기후 · 더보기 »

냉대 기후

냉대 기후(冷带氣候)는 중위도 지역 북부와 고위도 지역에서 발달하는 기후이.

새로운!!: 타이가와 냉대 기후 · 더보기 »

냉대 습윤 기후

냉대 습윤 기후 분포 모습. 타이가 숲 모습. 타이가는 침엽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들이 사는 곳은 매우 드물다. 냉대 습윤 기후(冷帶濕潤氣候)는 쾨펜의 구분에서 기후에 속하며, 기호는 Df이.

새로운!!: 타이가와 냉대 습윤 기후 · 더보기 »

눈 (날씨)

의 결정 눈은 기상 현상의 한 종류로 기온이 섭씨 0℃ 아래로 떨어져, 구름 안의 물입자나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서 결정화된 것이.

새로운!!: 타이가와 눈 (날씨) · 더보기 »

눈덧신토끼

덧신토끼 또는 아메리카산토끼(학명: Lepus americanus, 영어명: Snowshoe hare)는 토끼과에 속하는 포유류이.

새로운!!: 타이가와 눈덧신토끼 · 더보기 »

구과식물

식물(毬果植物)은 방울열매를 만드는 식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구과식물 · 더보기 »

구북구

북구 구북구(舊北區, Palearctic)는 생물 지리구 중 하나이.

새로운!!: 타이가와 구북구 · 더보기 »

구주소나무

주소나무(歐洲소나무)는 구과목 소나무과의 식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구주소나무 · 더보기 »

둥지

바구니 모양의 둥지 둥지는 짐승의 알을 보호하며 짐승의 새끼를 기르는 곳을 제공.

새로운!!: 타이가와 둥지 · 더보기 »

낙엽성

낙엽성(落葉性)은 목본 식물에서 겨울이나 건기에 잎을 떨어뜨리는 성질을 가리.

새로운!!: 타이가와 낙엽성 · 더보기 »

넌출월귤

월귤(-越橘) 또는 크랜베리(Cranberry)는 진달래과의 종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열매이.

새로운!!: 타이가와 넌출월귤 · 더보기 »

노르웨이

르웨이 왕국(), 약칭 노르웨이()는 북유럽(Northern Europe)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위. 수도는 오슬로며, 공용어는 노르웨이어.

새로운!!: 타이가와 노르웨이 · 더보기 »

다람쥐과

() 또는 청서(청설모)과(Sciuridae)는 설치류의 한 과이.

새로운!!: 타이가와 다람쥐과 · 더보기 »

단풍나무속

풍나무속(Acer)은 무환자나무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속이.

새로운!!: 타이가와 단풍나무속 · 더보기 »

스라소니속

스라소니속(Lynx)은 4종의 중간크기 고양이과 동물을 포함하는 분류이.

새로운!!: 타이가와 스라소니속 · 더보기 »

스텝

스텝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타이가와 스텝 · 더보기 »

스웨덴

스웨덴 왕국(), 약칭 스웨덴()은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동반부를 차지하는 입헌 군주국이며 수도는 스톡홀름이.

새로운!!: 타이가와 스웨덴 · 더보기 »

트롬쇠

쇠(Tromsø)는 노르웨이 북부 트롬스(Troms) 주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타이가와 트롬쇠 · 더보기 »

울버린

울버린(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족제비의 일종이다. 몸길이 약 65-107cm이고, 몸무게는 10~25kg이다. 학명은 굴로 굴로(Gulo gulo)로, "걸신들린" 이라는 뜻이다. 주요 서식지는 툰드라지대이며, 이외에 스칸디나비아반도, 러시아, 알래스카의 침엽수림등지에도 분포한다.

새로운!!: 타이가와 울버린 · 더보기 »

회색늑대

회색늑대(Canis lupus, wolf, 또는 gray/grey wolf)는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황무지에 서식하는 개과의 종으로 이리나 말승냥이로도 불린.

새로운!!: 타이가와 회색늑대 · 더보기 »

회색곰

회색곰(학명:Ursus arctos horribilis, ‘공포의 곰’이라는 뜻.)은 일반적으로 아메리카 불곰의 아종여겨지는 황갈색 곰이.

새로운!!: 타이가와 회색곰 · 더보기 »

습윤 대륙성 기후

습윤 대륙성 기후 중 더운 여름 지역의 분포 모습. 습윤 대륙성 기후 중 따뜻한 여름 지역의 분포 모습. 습윤 대륙성 기후(濕潤大陸性氣候)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냉대 기후에 속하는 기후 중 하나이.

새로운!!: 타이가와 습윤 대륙성 기후 · 더보기 »

튀르크어족

르크어족은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동유럽에서 시베리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그룹(어족)이.

새로운!!: 타이가와 튀르크어족 · 더보기 »

잎갈나무

잎갈나무(학명: Larix olgensis var. koreana)는 한국·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침엽교목으로 이깔나무.

새로운!!: 타이가와 잎갈나무 · 더보기 »

자작나무속

자작나무속은 자작나무과의 속이.

새로운!!: 타이가와 자작나무속 · 더보기 »

잡식성

잡식성(雜食性)은 식물과 동물을 모두 먹는 동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잡식성 · 더보기 »

잣나무

잣나무는 구과목 소나무과의 식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잣나무 · 더보기 »

큰곰

(또는 불곰, Ursus arctos)은 곰의 일종으로, 유라시아와 북미에 서식.

새로운!!: 타이가와 큰곰 · 더보기 »

큰까마귀

마귀(raven)는 전북구에 서식하는 새이.

새로운!!: 타이가와 큰까마귀 · 더보기 »

포유류

유류(哺乳類) 또는 젖먹이 짐승은 척삭동물문의 한 강인 포유강(Mammalia)에 속하는 동물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타이가와 포유류 · 더보기 »

이끼

이끼는 이끼류(-類) 또는 선류(蘚類)에 속하는 작고 부드러운 식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이끼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타이가와 일본 · 더보기 »

독일의 황토밭. 흙 또는 토양(土壤)은 암석이나 동식물의 유해가 오랜 기간 침식과 풍화를 거쳐 생성된 땅을 구성하는 물질이.

새로운!!: 타이가와 흙 · 더보기 »

적응

적응(適應)은 생물이 서식 환경에 보다 유리하도록 변화하는 과정 을 나타내는 생물학의 기본 개념이.

새로운!!: 타이가와 적응 · 더보기 »

전나무

전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큰키나무이.

새로운!!: 타이가와 전나무 · 더보기 »

전나무속

전나무속(Abies)은 소나무과의 한 속이.

새로운!!: 타이가와 전나무속 · 더보기 »

족제비속

족제비는 식육목의 포유동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족제비속 · 더보기 »

증발

수증기가 뜨거운 차 응축물이 눈에 보이는 작은 물방울로 증발하고 있다. 기체 상태의 물은 보이지 않지만 물방울 구름은 응결을 통해 일어난 증발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증발(蒸發,Evaporation)은 액체 표면의 원자나 분자가 끓는점 미만에서 기화하는 현상이.

새로운!!: 타이가와 증발 · 더보기 »

증산

앙기모.

새로운!!: 타이가와 증산 · 더보기 »

진들딸기

(학명: 루부스 카마이모루스)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타이가와 진들딸기 · 더보기 »

지의류

"Lichenes" from Ernst Haeckel's ''Artforms of Nature'', 1904 지의류(地衣類)는 보통 녹조류, 혹은 청록색 세균과 공생하는 복합 유. 지의류의 구조, 생리, 그리고 생화학 기능은 격리 집단인 균류와 조류와는 많이 다르.

새로운!!: 타이가와 지의류 · 더보기 »

참나무속

무는 참나무속(Quercus)식물의 총칭이며, 특별히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를 가리.

새로운!!: 타이가와 참나무속 · 더보기 »

철새

불사조처럼 날아가는 이인제 철새의 이동 경로 철새()는 계절에 따라 당을 이동하는 정치인을 말. 한국에서는 계절의 변화가 뚜렷해 다양한 철새 정치인을 볼 수 있.

새로운!!: 타이가와 철새 · 더보기 »

초본식물

태평양기생꽃. 초본식물(herbaceous plants)은 줄기에 목재를 형성하지 않는 식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초본식물 · 더보기 »

초식성

사슴과 두 새끼 사슴이 잎을 뜯어먹고 있다. 초식성(草食性)은 풀을 먹이로 하는 성질을 말. 그러한 성질을 지닌 짐승은 초식동물()로 부른.

새로운!!: 타이가와 초식성 · 더보기 »

카자흐스탄

자흐스탄 공화국(), 약칭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에 걸쳐 있는 나라이.

새로운!!: 타이가와 카자흐스탄 · 더보기 »

캐나다

()는 북아메리카 북부의 연방 국가이.

새로운!!: 타이가와 캐나다 · 더보기 »

쾨펜의 기후 구분

의 기후 구분이란, 독일의 기후학자 블라디미르 쾨펜(Wladimir Peter Köppen)이 식생분포에 주목하여 1918년에 발표한 기후 구분이.

새로운!!: 타이가와 쾨펜의 기후 구분 · 더보기 »

유럽노루

180px 유럽노루(Capreolus capreolus)는 사슴의 한 종이.

새로운!!: 타이가와 유럽노루 · 더보기 »

유라시아

유라시아()는 아시아와 유럽을 하나의 대륙으로 보는 이름이.

새로운!!: 타이가와 유라시아 · 더보기 »

유콘 준주

유콘 준주(Yukon)는 캐나다의 북서쪽 끝에 있는 준주이.

새로운!!: 타이가와 유콘 준주 · 더보기 »

육식성

를 뜯는 수사자와 새끼사자. 육식성(肉食性) 또는 식육성(食肉性)은 다른 동물의 고기를 음식으로 섭취하는 성질을 말. 그러한 성질을 지닌 짐승은 육식동물()로 부른.

새로운!!: 타이가와 육식성 · 더보기 »

파충류

충류(Reptilia, 爬蟲類)는 용궁류(Sauropsida) 파충강에 속하는 척삭동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파충류 · 더보기 »

위도

위도(φ)와 경도(λ)를 나타낸 그림. 경위선(눈금) 간격은 10도이다. 위도(씨줄. 緯度)는 지구상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 또는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위치이며, 흔히 그리스 문자 φ로 쓴. 위도의 단위는 도(°)이며, 북극점을 나타내는 90° N(북위 90도)부터 남극점을 나타내는 90° S(남위 90도)까지의 범위 안에 있. 위도에는 지리 위도, 천문 위도, 지심 위도 등이 있. 지리 위도는 지구 상의 어느 지점에서 지표면에 대해 수직선을 세웠을 때 이 수직선이 적도면과 이루는 각도이.

새로운!!: 타이가와 위도 · 더보기 »

상트페테르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이수르어: Pietari,, 보트어: Pietari)는 러시아의 북서쪽에 있는 연방시이.

새로운!!: 타이가와 상트페테르부르크 · 더보기 »

생물 군계

생물 군계(生物群系) 또는 바이옴(biome)은 기후적, 또는 지리적으로 지구상에서 유사한 기후적 환경에 있는 식물 군집이나 동물 군집 그리고 토양 유기체로 정의되며, 종종 생태계로 언급.

새로운!!: 타이가와 생물 군계 · 더보기 »

태평양

평양(太平洋, Pacific Ocean)은 세계에서 가장 큰 대양이.

새로운!!: 타이가와 태평양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타이가와 태양 · 더보기 »

태양 에너지

바다 위의 햇살 태양 에너지(왼쪽)는 세계 에너지 총 소비량(오른쪽)을 크게 넘어서고 있다.각 물체의 부피는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한 시간 동안 지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태양 에너지의 양은 한 해의 지구 에너지 수요량을 넘는다.http://web.mit.edu/hockfield/speeches/2008-aaas.html Energy and Inspiration: Inventing the Future in Time 태양 에너지()는 지구의 기후에 힘을 주고 생명을 지탱시켜 주는, 태양에서 오는 열과 빛 형태의 복사 에너지를 말. 햇빛에서 열이나 전력을 얻는 에너지원, 곧 재생 가능 에너지로 분. 최근에는 태양 에너지 기술이 재생 에너지에 사용되고 있.

새로운!!: 타이가와 태양 에너지 · 더보기 »

새 또는 조류(鳥類)는 크게 발달된 수각류 공룡을 의미하며, 보통 비행이 가능한 종이 많. 계통적으로는 석형강 공룡상목 조강(鳥綱)에 속. 새는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심장이 2심방 2심실이며, 허파로 호흡하는 항온동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새 · 더보기 »

툰드라

()는 지하에서 일 년내내 녹지 않는 영구 동토가 위치해 있고, 강수량이 적은 지역이.

새로운!!: 타이가와 툰드라 · 더보기 »

미국 알래스카 주의 숲 오사카의 숲 도시 지역의 숲, 슈체친, 폴란드 숲은 나무가 우거진 곳을 말. 숲에 대한 정의는 기준에 따라 다양.

새로운!!: 타이가와 숲 · 더보기 »

순록

순록(馴鹿, 학명: Rangifer tarandus)은 사슴과의 동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순록 · 더보기 »

수렁

250px 수렁(bog, mire, quagmire, muskeg)은 물이끼 등의 식물이 죽어 침전된 토탄이 축적되어 만들어진 습지이.

새로운!!: 타이가와 수렁 · 더보기 »

영구동토

스웨덴의 동토. 북극의 영구 동토의 범위와 유형 영구동토(永久凍土, permafrost)는 2년 이상의 기간 동안 토양 온도가 0°C(물의 어는점, 32°F) 이하로 유지된 토양을 일컫.

새로운!!: 타이가와 영구동토 · 더보기 »

영양 단계

영양 단계(營養段階)는 한 유기체가 먹이사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말이.

새로운!!: 타이가와 영양 단계 · 더보기 »

옐로나이프

옐로나이프(Yellowknife)는 그레이트슬레이브 호에 인접한 노스웨스트 준주의 주도로 노스웨스턴 준주 내의 유일한 도시이.

새로운!!: 타이가와 옐로나이프 · 더보기 »

오리나무속

오리나무속은 자작나무과의 속이.

새로운!!: 타이가와 오리나무속 · 더보기 »

오비강

오비 강()은 서시베리아저지를 흐르는 강이지만, 지류의 이르티시 강은 알타이 산맥에서 발원을 한 다음, 카자흐스탄 영내를.

새로운!!: 타이가와 오비강 · 더보기 »

오울루

섬네일 오울루 대성당 오울루()는 핀란드 북포흐얀마 지역의 중심 도시이.

새로운!!: 타이가와 오울루 · 더보기 »

오호츠크해

오호츠크 해 오호츠크 해(-海)는 서태평양의 연해이.

새로운!!: 타이가와 오호츠크해 · 더보기 »

온대 우림

온대 우림(溫帶雨林, temperate rainforest)은 온대 가운데 우량이 많은 지역에 형성되는 식생, 또는 그 지역이.

새로운!!: 타이가와 온대 우림 · 더보기 »

온대 활엽수혼합림

400px 온대 활엽수혼합림(temperate broadleaf and mixed forest)은 온대 기후의 육상 생물.

새로운!!: 타이가와 온대 활엽수혼합림 · 더보기 »

올빼미목

올빼미목(Strigiformes)은 222여종의 올빼미·부엉이·소쩍새를 포함하는, 맹금류의 분류이.

새로운!!: 타이가와 올빼미목 · 더보기 »

호수

아르헨티나 호수 프랑스 오트피레네 주에 있는 바스탄 호수. 호수(湖水)는 땅으로 둘러싸인 물을 말. 대부분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에 분포하며, 대개 염도가 낮은 민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호수 · 더보기 »

예니세이강

예니세이 강()은 러시아의 강이.

새로운!!: 타이가와 예니세이강 · 더보기 »

양서류

양서류(兩棲類) 또는 물뭍동물(--動物)은 척삭동물의 한 강으로 개구리와 도롱뇽 등을.

새로운!!: 타이가와 양서류 · 더보기 »

여우

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여러 동물의 총칭이.

새로운!!: 타이가와 여우 · 더보기 »

열대 우림

열대 우림(熱帶雨林) 또는 적도 우림은 열대, 아열대 숲의 생활 군계로, 한 해에 걸쳐 따뜻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곳에 형성되는 지역을 말. 이를테면 동남아시아, 중앙 아프리카, 중남미 등지에서 볼 수 있. 식물생태학에서는 아열대우림 또는 열대다우림이라는 표현이 사용.

새로운!!: 타이가와 열대 우림 · 더보기 »

허브

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타이가와 허브 · 더보기 »

엘크

엘크(elk)는 지역에 따라 다음 두 종의 사슴을 말.

새로운!!: 타이가와 엘크 · 더보기 »

사시나무속

사시나무속은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속이.

새로운!!: 타이가와 사시나무속 · 더보기 »

산 (화학)

산(酸, Acid)은 일반적으로 물에 녹았을 때에 pH가 7보다 낮은 물질을 말. 화학적으로는, 물에 녹았을 때 이온화하여 수소 이온 H+을 내놓는 물질을 말. 산은 전해질이고 일반적으로 신맛이 나며, 염기와 중화반응을.

새로운!!: 타이가와 산 (화학) · 더보기 »

산불

산불은 삼림을 파괴하고 막대한 재산피해를 낸다. 산불(wildfire or wildland fire)은 산림에서 일어나는 화재를 말.

새로운!!: 타이가와 산불 · 더보기 »

피나무속

무속은 아욱과에 속하는 갈잎덩굴나무이.

새로운!!: 타이가와 피나무속 · 더보기 »

설치류

설치류(齧齒類)는 쥐목 포유류의 총칭이.

새로운!!: 타이가와 설치류 · 더보기 »

서식지

펭귄의 서식지는 남극의 빙상지대이다. 서식지(棲息地, habitat)란 특정 종의 생물이 거주하는 생태적 또는 환경적 구역이.

새로운!!: 타이가와 서식지 · 더보기 »

서식지 파괴

멕시코 남부에서 화전을 일구느라 정글에 불을 싸질렀다. 서식지 파괴(棲息地破壞, habitat destruction)는 자연의 서식지가 기능상 그곳의 생물종들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

새로운!!: 타이가와 서식지 파괴 · 더보기 »

속 (생물학)

속(属, genus)은 생물 분류 단계 중 하나로 과의 아래이고 종의 위이.

새로운!!: 타이가와 속 (생물학) · 더보기 »

속씨식물

속씨식물(-植物, Angiospermae)은 식물군의 하나로, 대부분 씨방 속에 씨가 들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 개화식물, 피자식물, 꽃식물, 꽃피는 식물이.

새로운!!: 타이가와 속씨식물 · 더보기 »

토양층위

150px 토양층위(土壤層位, Soil horizon)는 토양단면의 토양을 이루는 알갱이의 크기(토성), 흙덩어리의 모양(토양구조)등에 의해서 지표면에 거의 평행하는 몇 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토양층위.

새로운!!: 타이가와 토양층위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타이가와 소련 · 더보기 »

소나무속

소나무속은 소나무과의 속이.

새로운!!: 타이가와 소나무속 · 더보기 »

애팔래치아산맥

애팔래치아 산맥(Appalachian Mountains)은 북아메리카의 산맥이.

새로운!!: 타이가와 애팔래치아산맥 · 더보기 »

야쿠츠크

야쿠츠크(야쿠트어: Якутскай, 야쿠트어 방언: Дьокуускай)는 러시아 사하 공화국의 수도로 레나 강에 접해 있. 인구는 21만 7,800명(2004년)이.

새로운!!: 타이가와 야쿠츠크 · 더보기 »

알래스카주

알래스카 주(State of Alaska)는 북아메리카의 북서부에 있는 미국의 역외(域外) 주. 알래스카의 어원은 알류트족의 "Alyeshka, 섬이 아닌 땅"이.

새로운!!: 타이가와 알래스카주 · 더보기 »

안개

샌프란시스코에 낀 안개. 안개는 수증기를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어떤 이유로 내려가 이슬점 온도에 도달할 때 포함된 수증기가 작은 물입자가 되어 공중에 뜬 상태를 말.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모임 중에서 지표면과 접촉하며 가시거리가 1,000m 이하가 되게 만드는 것이며, 구름과 비슷한 현상이고 일종의 저지대 구름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구름에 포함되지는 않. 인근의 물, 지형 및 바람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안개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이슬점 이하일 때 형성되며, 흡습성의 작은 입자인 응결핵이 있으면 잘 형성.

새로운!!: 타이가와 안개 · 더보기 »

앵커리지

앵커리지(Anchorage)는 미국 알래스카 주 남부의 거의 중앙에 있는 항구 도시로, 주의 상공업과 금융, 문화, 관광의 중심지이며, 알래스카의 가장 큰 도시이자 인구의 40퍼센트 이상을 구성.

새로운!!: 타이가와 앵커리지 · 더보기 »

아르한겔스크

아르한겔스크()는 러시아 아르한겔스크 주의 도시이.

새로운!!: 타이가와 아르한겔스크 · 더보기 »

아르한겔스크 주

아르한겔스크 주()는 러시아의 주이.

새로운!!: 타이가와 아르한겔스크 주 · 더보기 »

아메리카너구리

아메리카너구리(Procyon lotor), 완웅(浣熊) 또는 라쿤(Raccoon)은 아메리카너구리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

새로운!!: 타이가와 아메리카너구리 · 더보기 »

아메리카흑곰

아메리카흑곰은 북아메리카에 널리 서식하는 곰의 일종으로 미국및 캐나다의 대부분 주에 발견되며, 일부는 멕시코에 출현.

새로운!!: 타이가와 아메리카흑곰 · 더보기 »

아극 기후

울 추위가 매우 한랭하며 여름이 선선한 기후(Dfc,Dwc,Dsc) 겨울 추위가 매우 극심하게 한랭하며 여름이 선선한 기후(Dfd,Dwd,Dsd) 아극 기후(亞極氣候)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냉대 기후에 속하는 기후 중 하나이.

새로운!!: 타이가와 아극 기후 · 더보기 »

아시아

아시아의 인공위성 합성사진 동남아시아 아시아(음역: 亞細亞 아세아) 또는 아주(亞洲)는 지구에서 가장 넓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면적은 44,579,000km²이.

새로운!!: 타이가와 아시아 · 더보기 »

핀란드

()는 북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타이가와 핀란드 · 더보기 »

신북구

신북구 신북구(新北區, Nearctic)는 북아메리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물 지리구이.

새로운!!: 타이가와 신북구 · 더보기 »

시베리아

       시베리아 연방관구        지리적으로 시베리아에 속하는 지역        역사적으로서의 시베리아(현재에도 가끔씩 이 범위를 시베리아라고 할 때가 있다) 시베리아()는 우랄 산맥에서 태평양에 이르는 러시아 영토를 말. 남쪽으로는 카자흐스탄·중국·몽골의 국경으로부터 북쪽으로는 북극해에 이른.

새로운!!: 타이가와 시베리아 · 더보기 »

월귤

월귤 (Vaccinium vitis-idaea, 越橘)은 속씨식물인 진달래과의 작은 상록수의 관목으로 과실수를 맺. 원산지는 북부 유라시아 대륙과 북미로 온대기후에서 북극에 가까운 기온에서 자. 월귤은 대한민국에서도 자라는 것으로 보고되며, 땃들쭉이라고도 부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땅들쭉이라 부른.

새로운!!: 타이가와 월귤 · 더보기 »

황무지

이노코 황무지 (미국, 알래스카 주) 엘토로 황무지 (푸에르토리코) 황무지(荒蕪地, Wilderness) 또는 황야(荒野, wildland)는 인간의 활동으로 개간되지 않은 자연 환경을 말. “원형 그대로 보존된, 그 누구의 발길도 닿지 않은 거친 자연 지대로, 인간이 제어하거나 도로·송유관·여타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은 청정지대”로 정의할 수도 있. 수렵 금지 구역, 사유지, 농지, 국유림, 국립 공원은 물론, 심지어 도시 안의 강이나 협곡을 따라서도 원생 자연 보호 구역(Wilderness areas)이 형성될 수 있. 이런 지역들은 특정 종의 보존이나 생물 다양성의 추구, 생태학 연구, 자연환경보호, 레크리에이션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새로운!!: 타이가와 황무지 · 더보기 »

외만주

외만주(지도에서 연한 붉은색 부분) 외만주(外滿洲)는 만주 동쪽의 러시아 영토로, 아이훈 조약(1858년)과 베이징 조약(1860년)으로 중국이 러시아에 넘겨준 지역을 말. 중국에서는 외동북(外東北)이.

새로운!!: 타이가와 외만주 · 더보기 »

홋카이도

홋카이도()는 일본의 47개 도도부현 중 하나로, 일본 최북단에 위치해 있. 가장 큰 도시는 도청 소재지인 삿포로 시이.

새로운!!: 타이가와 홋카이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북방림, 북방침엽수림, 북방수림, 타이가 (숲).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