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비유클리드 기하학

색인 비유클리드 기하학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유클리드 공간이 아닌 공간에서 다루는 모든 기하학을 총체적으로 가리키는 말로, 쌍곡기하학, 타원기하학, 택시기하학 등이 이에 해당.

27 처지: 리만 기하학, 맨해튼 거리, 명제, 베른하르트 리만, 곡률, 보여이 야노시, 공리, 공준, 기하학, 기원전 275년, 기원전 330년, 니콜라이 로바쳅스키, 평행선 공준, 이마누엘 칸트, 일반 상대성이론, 정리, 측지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쌍곡 기하학, 유클리드 기하학, 패러다임, 타원기하학,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에우제니오 벨트라미, 피타고라스의 정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리만 기하학

미분기하학의 하위 분야인 리만 기하학(Riemannian geometry)은 리만 계량이 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를.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리만 기하학 · 더보기 »

맨해튼 거리

맨해튼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의 비교: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선은 길이가 12로 같으며, 유클리드 거리와 맨해튼 거리 양쪽 모두 가지고 있다. 유클리드 기하학의 경우 초록색 선의 길이는 6×√2 ≈ 8.48로, 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길이가 가장 짧으며, 맨해튼 거리의 경우 파란색 선의 길이는 12로, 이보다 길이가 더 짧은 선은 없다. 맨해튼 거리(Manhattan distance, 혹은 택시 거리, L1 거리, 시가지 거리,Taxicab geometry)는 19세기의 수학자 헤르만 민코프스키가 고안한 용어로, 보통 유클리드 기하학의 거리 공간을 좌표에 표시된 두 점 사이의 거리(절댓값)의 차이에 따른 새로운 거리 공간으로 대신.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맨해튼 거리 · 더보기 »

명제

명제(命題)는 논리학적으로 뜻이 분명한 문장을 말. 즉, 어떤 말을 딱 본 순간 '참' 혹은 '거짓'을 대번에 알 수 있는 말을 말. 명제는 거의 대부분의 인간들이 즉각, 맞다 틀리다 말할 수 있는 조건이지만, 현대 사회에서 거의 진리로 인정받고 있는 특정 가치관이 명제의 판별에 혼동을 주는 경우가 무시할 수 없이 많다는 것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명제 · 더보기 »

베른하르트 리만

오르크 프리드리히 베른하르트 리만(1826년 9월 17일~1866년 7월 20일)은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베른하르트 리만 · 더보기 »

곡률

곡률(曲率, curvature)은 기하학의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굽은 정도'를 뜻. 분야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곡률을 정의할 수 있으며, 기하학적 대상이 다른 공간(대체로 유클리드 공간)에 묻힌 상태에서 그 대상의 굽은 정도를 측정하는 '외재적 곡률'과, 좌표계와 무관하게 대상 자체의 국소적인 정보로 정의되는 '내재적 곡률'로 나눌 수 있. 이 글은 주로 외재적 곡률을.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곡률 · 더보기 »

보여이 야노시

보여이가 태어난 곳 보여이 야노시(1802년 12월 15일 ~ 1860년 1월 27일)는 헝가리의 수학자.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보여이 야노시 · 더보기 »

공리

공리(公理)는 어떤 이론체계에서 가장 기초적인 근거가 되는 명제(命題)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공리 · 더보기 »

공준

공준(公準)은 요청(要請)이라고도 하며, 공리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인.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공준 · 더보기 »

기하학

학(幾何學)은 공간에 있는 도형이나 대상들의 치수, 모양, 상대적 위치 등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기하학 · 더보기 »

기원전 2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기원전 275년 · 더보기 »

기원전 3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기원전 330년 · 더보기 »

니콜라이 로바쳅스키

이 이바노비치 로바쳅스키(1792년 12월 1일 - 1856년 2월 24일)(그레고리력,1792년 11월 20일 - 1856년 2월 12일)(율리우스력)은 러시아의 수학자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니콜라이 로바쳅스키 · 더보기 »

평행선 공준

만약 α + β 기하학에서, 평행선 공준(平行線公準)은 원론에 등장하는 다섯 개의 공준 중 마지막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 두 직선이 다른 한 직선과 만나 이루는 두 동측내각의 합이 두 직각보다 작다면, 이 두 직선을 무한히 연장할 때, 그 두 동측내각과 같은 쪽에서 만. 유클리드 기하학은 평행선의 공준을 비롯한 다섯 공준으로 구성되는 기하학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평행선 공준 · 더보기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1724년 4월 22일 ~ 1804년 2월 12일)는 근대 계몽주의를 정점에 올려놓았고 독일 관념철학의 기초를 놓은 프로이센의 철학자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이마누엘 칸트 · 더보기 »

일반 상대성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논문 원고 일반 상대성이론(一般相對性理論) 또는 일반상대론(一般相對論)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에 발표한, 중력을 상대론적으로 다루는 물리 이론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일반 상대성이론 · 더보기 »

정리

정리(定理)는 수학에서 가정(assumption)으로부터 증명된 명제를 말. 좁은 의미로는, 그와 같은 명제들 중에서 중요한 것만을 일컫.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정리 · 더보기 »

측지선

측지선(測地線, geodesic) 또는 지름길이란 직선의 개념을 굽은 공간으로 일반화한 것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측지선 · 더보기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요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년 4월 30일~1855년 2월 23일)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과학자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더보기 »

쌍곡 기하학

쌍곡기하학이란 원을 쌍곡선의 형태로 나누었을 때를 말하며, 곡선이 세개 이상일 경우 도형이 성립.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쌍곡 기하학 · 더보기 »

유클리드 기하학

리스의 수학자가 컴퍼스로 작도를 하고 있는 모습.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 일부) 유클리드 기하학(-幾何學, Euclidean geometry)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가 구축한 수학 체계로 《원론》은 기하학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인 논의로 알려져 있. 유클리드의 방법은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공리를 참으로 간주.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유클리드 기하학 · 더보기 »

패러다임

마이오스의 우주 코페르니쿠스의 우주 패러다임()은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를 의미하는 개념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패러다임 · 더보기 »

타원기하학

원기하학(楕圓幾何學)은 똑바른 공간(유클리드 기하학, 포물기하학적 공간)이 아닌,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 굽은 공간에 있어서의 기하학을 논한 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타원기하학 · 더보기 »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기원전 300년경) 또는 영어식 이름으로 유클리드(또는 Euclid of Alexandria)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에우클레이데스 · 더보기 »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의 첫 번째 영어판 표지.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스토이케이아)은 고대 그리스의 저명한 수학자인 에우클레이데스가 기원전 3세기에 집필한 책으로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 그리스어 제목 Στοιχεῖα는 ‘원소’, ‘구성 요소’, ‘글자’ 등을 뜻하는 단어이며, 한국어로는 유클리드의 원론, 또는 기하학 원본이라는 제목으로도 불린.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 더보기 »

에우제니오 벨트라미

에우제니오 벨트라미(1835년 11월 16일~1899년 6월 4일)은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전자기학에 대한 업적, 그리고 해석학의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등으로 유명.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에우제니오 벨트라미 · 더보기 »

피타고라스의 정리

'''피타고라스의 정리:''' 두 직각변에 얹힌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빗변에 얹힌 정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기하학에서,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직각 삼각형의 세 변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이.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피타고라스의 정리 · 더보기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확인.

새로운!!: 비유클리드 기하학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비유클리드 기하, 비유클리드기하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