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사천군

색인 사천군

사천군(泗川郡)은 지금의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지역을 관할하던 옛 행정 구역이.

60 처지: 거북선, 경덕왕, 경상남도, 고려 현종, 고려 성종, 고성군 (경상남도), 곤양군, 금관가야, 대가야, 대한민국, 임진왜란, 포상팔국, 이십삼부, 정동면, 조선, 조선 태종, 조선 세조, 진주부, 진주시, 진삼선, 축동면, 행정 구역, 사천 늑도 유적, 사천 전투, 사천 선진리왜성, 사천 해전, 사천읍, 사천시, 삼천포, 소가야, 아라가야, 십삼도, 왜구, 1015년, 10월 20일, 11월 1일, 1413년, 1415년, 1468년, 1592년, 1598년, 1895년, 1896년, 1912년, 1914년, 1918년, 1925년, 1931년, 1956년, 1983년, ..., 1995년, 2월 15일, 3월 31일, 4월 1일, 559년, 5월 10일, 757년, 7월, 7월 8일, 995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 더) »

거북선

서울특별시의 전쟁기념관에 있는 거북선 모형 대한민국의 5원 주화 거북선 또는 귀선(龜船)은 조선 시대의 군함이.

새로운!!: 사천군와 거북선 · 더보기 »

경덕왕

경덕왕(景德王, 723년 ~ 765년, 재위: 742년 ~ 765년)은 신라의 제35대 왕이.

새로운!!: 사천군와 경덕왕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사천군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사천군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려 성종

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 (음력 10월 27일))은 고려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고려 성종 · 더보기 »

고성군 (경상남도)

성군청 고성군(固城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사천군와 고성군 (경상남도) · 더보기 »

곤양군

양군(昆陽郡)은 사천시 서부 곤명면, 곤양면, 서포면 세 면과 하동군 남부 해안의 진교면, 금성면, 금남면 지역에 있던 지역이.

새로운!!: 사천군와 곤양군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사천군와 금관가야 · 더보기 »

대가야

야(大伽倻) 또는 반파국(伴跛國)은 경상북도 고령군(高靈郡) 지역에 있던 6가야 중.

새로운!!: 사천군와 대가야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사천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사천군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포상팔국

상팔국(浦上八國)이 가야 시대에 가락국의.

새로운!!: 사천군와 포상팔국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사천군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정동면

정동면(正東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의 면이.

새로운!!: 사천군와 정동면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사천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사천군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사천군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진주부

주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사천군와 진주부 · 더보기 »

진주시

주시(晉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사천군와 진주시 · 더보기 »

진삼선

삼선(晋三線)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개양역과 삼천포시(현 사천시)에 있던 삼천포역을 잇던 철도이.

새로운!!: 사천군와 진삼선 · 더보기 »

축동면

축동면(杻東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의 면이.

새로운!!: 사천군와 축동면 · 더보기 »

행정 구역

세계의 행정 구역 행정 구역(行政區域)은 국가가 원활한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만든 지역 구분을 말.

새로운!!: 사천군와 행정 구역 · 더보기 »

사천 늑도 유적

사천 늑도 유적(泗川 勒島 遺蹟)은 경상남도 사천시 늑도동, 늑도에 있는 선사유물이.

새로운!!: 사천군와 사천 늑도 유적 · 더보기 »

사천 전투

사천 전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사천군와 사천 전투 · 더보기 »

사천 선진리왜성

사천 선진리왜성(泗川船津里倭城)은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에 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사천군와 사천 선진리왜성 · 더보기 »

사천 해전

사천 해전(泗川海戰)은 1592년 음력 5월 29일(양력 7월 8일)에 사천에서 왜수군 13척을 전멸시킨 해전으로, 이순신은 여기서 거북선을 처음으로 실전 투입.

새로운!!: 사천군와 사천 해전 · 더보기 »

사천읍

사천읍(泗川邑)은 경상남도 사천시 북동부에 있는 읍이.

새로운!!: 사천군와 사천읍 · 더보기 »

사천시

사천시(泗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사천군와 사천시 · 더보기 »

삼천포

삼천포(三千浦)는 경상남도 사천시 남부의 도심 지역(동 지역)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사천군와 삼천포 · 더보기 »

소가야

소가야(小伽倻)는 여섯개의 가야 가운데 신라 유리왕 19년(42년)에 경상남도 고성군 부근에 세워진 나라이.

새로운!!: 사천군와 소가야 · 더보기 »

아라가야

아라가야(阿羅伽倻), 안라(安羅)는 가야연맹의 주요국 중의 하나이.

새로운!!: 사천군와 아라가야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사천군와 십삼도 · 더보기 »

왜구

16세기 왜구들의 활동 범위 왜구들의 약탈을 그린 회화 (16세기) 왜구(倭寇)는 통상적으로 고려와 원나라의 연합군이 일본 열도 침략에 실패한 이후인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연안부나 일부 내륙 지역을 약탈하고 밀무역을 행하던 무리를 가리.

새로운!!: 사천군와 왜구 · 더보기 »

10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천군와 1015년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사천군와 10월 20일 · 더보기 »

11월 1일

11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5번째(윤년일 경우 3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사천군와 11월 1일 · 더보기 »

14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천군와 1413년 · 더보기 »

14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천군와 1415년 · 더보기 »

1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천군와 1468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592년 · 더보기 »

1598년

15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598년 · 더보기 »

1895년

189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89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896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912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914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918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925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931년 · 더보기 »

1956년

195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956년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983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천군와 1995년 · 더보기 »

2월 15일

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6번째(윤년일 경우도 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사천군와 2월 15일 · 더보기 »

3월 31일

3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0번째(윤년일 경우 9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사천군와 3월 31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사천군와 4월 1일 · 더보기 »

5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천군와 559년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사천군와 5월 10일 · 더보기 »

7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천군와 757년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사천군와 7월 · 더보기 »

7월 8일

7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9번째(윤년일 경우 1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사천군와 7월 8일 · 더보기 »

9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천군와 99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사물국, 사수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