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색인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사피어-심프슨 열대저기압 등급(Saffir-Simpson Hurricane Scale, 약자: SSHS)은 지속적인 바람의 세기에 따라 열대저기압을 분류하는 기준이.

112 처지: 릭터 규모, 미국,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미터, 미터 매 초, 바람, 보퍼트 풍력 계급, 기압, 대서양, 날짜 변경선, 노트 (단위), 폭풍해일, 파스칼 (단위), 태평양, 태풍 란, 태풍 덴빈 (2012년), 태풍 덴빈 (2017년), 태풍 라나님, 태풍 로키 (2011년), 태풍 루사, 태풍 룸비아, 태풍 룽왕 (2005년), 태풍 매미, 태풍 맛사, 태풍 멜로르 (2009년), 태풍 메기 (2010년), 태풍 메칼라 (2015년), 태풍 모라꼿 (2009년), 태풍 무이파 (2011년), 태풍 갈매기 (2008년), 태풍 베라 (1959년), 태풍 곤파스 (2010년), 태풍 볼라벤 (2012년), 태풍 봉선화, 태풍 구촐 (2012년), 태풍 두리안 (2006년), 태풍 날개 (2011년), 태풍 낭카 (2015년), 태풍 낸시 (1961년), 태풍 난마돌 (2011년), 태풍 나리 (2007년), 태풍 나비, 태풍 네삿 (2011년), 태풍 노루 (2017년), 태풍 녹텐 (2011년), 태풍 담레이 (2012년), 태풍 담레이 (2017년), 태풍 니다 (2009년), 태풍 장미 (2008년), 태풍 히고스 (2015년), ..., 태풍 페이, 태풍 펑선 (2008년), 태풍 임부도, 태풍 이오케, 태풍 즐라왓 (2012년), 태풍 짠쯔 (2006년), 태풍 차바 (2016년), 태풍 차타안, 태풍 초이완 (2009년), 태풍 켓사나 (2009년), 태풍 팁 (1979년), 태풍 파마 (2009년), 태풍 파나피, 태풍 위니 (1997년), 태풍 상산 (2006년), 태풍 수달,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사라 (1959년), 태풍 사오마이 (2000년), 태풍 사오마이 (2006년), 태풍 사올라 (2012년), 태풍 산바, 태풍 산산 (2006년), 태풍 프란시스코, 태풍 프라피룬 (2000년), 태풍 소델로, 태풍 솔릭, 태풍 할롱, 태풍 하이쿠이, 태풍 하이옌 (2013년), 태풍 아이다 (1958년), 태풍 테스 (1953년), 태풍 셀마 (1987년), 수은주 인치, 열대 저기압, 허리케인 리타, 허리케인 린다, 허리케인 마리아, 허리케인 미치, 허리케인 구스타브, 허리케인 딘, 허리케인 노엘, 허리케인 이고르, 허리케인 카트리나, 허리케인 윌마, 허리케인 샌디, 허리케인 어마, 허리케인 앨런, 허리케인 필릭스, 허리케인 아이린, 킬로미터 매 시간, 사이클론 가필로, 사이클론 나르기스, 사이클론 이니고, 사이클론 조, 피트, 토목공학,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 1969년, 1999년 태풍, 2013년 태풍, 2014년 태풍.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2 더) »

릭터 규모

릭터 규모(릭터 진도 규모, (독일어 발음으로) 리히터 규모, 릭터 지진계)는 지진의 규모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M_\mathrm.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릭터 규모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미국 · 더보기 »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국립 허리케인 센터(National Hurricane Center, NHC)는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에 있으며,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열대 예보 센터(Tropical Prediction Center)에 소속된 기관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 더보기 »

미터

미터(기호 m)는 길이나 거리의 SI 단위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미터 · 더보기 »

미터 매 초

미터 매 초(meter per second)는 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는 속력(스칼라)과 속도(벡터)에 대한 SI 유도 단위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미터 매 초 · 더보기 »

바람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풍향계 바람은 공기의 흐름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바람 · 더보기 »

보퍼트 풍력 계급

의 상관 그래프. 보퍼트 풍력 계급(Beaufort wind force scale)은 주로 해상의 풍랑 상태를 기초로 하여 만든 풍력 계급으로 후에 육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보퍼트 풍력 계급 · 더보기 »

기압

압(氣壓, 기호: atm)은 압력의 단위로, 지구 해수면 근처에서 잰 대기압을 기준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기압 · 더보기 »

대서양

서양(大西洋, Atlantic Ocean)은 유럽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 아메리카 사이에 있는 바다이며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대양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대서양 · 더보기 »

날짜 변경선

변경선 날짜 변경선(-變更線, International Date Line)은 경도 180도를 기준으로 삼아 인위적으로 날짜를 구분하는 선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날짜 변경선 · 더보기 »

노트 (단위)

(Knot)는 속력의 단위로 약자로 kt 또는 kn으로 쓴. 국제단위계에는 속하지 않지만 국제단위계와 함께 해양 또는 항공 분야에서 주로 사용.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노트 (단위) · 더보기 »

폭풍해일

폭풍 해일의 원리 폭풍해일(暴風海溢, storm surge)은 태풍 등의 열대 저기압으로 인한 낮은 기압과 바람의 효과로 생긴 높은 파도로 인한 수해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폭풍해일 · 더보기 »

파스칼 (단위)

스칼(기호 Pa)는 압력에 대한 SI 유도 단위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파스칼 (단위) · 더보기 »

태평양

평양(太平洋, Pacific Ocean)은 세계에서 가장 큰 대양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평양 · 더보기 »

태풍 란

풍 란의 이동 경로 태풍 란(태풍 번호: 1721, JTWC 지정 번호: 25W, 국제명:LA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Paolo)은 10월 16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팔라우 북동쪽 약 3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면서 크기를 불려가며 발달해서, 10월 21일 오전 3시에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6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950km(남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초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란 · 더보기 »

태풍 덴빈 (2012년)

풍 덴빈(태풍 번호: 1214, JTWC 지정 번호: 15W, 국제명: TEMBI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Igme)은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4번째 태풍으로 제15호 태풍 볼라벤과 후지와라 효과가 발생해 기이한 진로를 밟게 되었.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덴빈 (2012년) · 더보기 »

태풍 덴빈 (2017년)

풍 덴빈의 이동 경로 제27호 태풍 덴빈(TEMBIN)은 2017년 12월 21일 오전 3시에 발생한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덴빈 (2017년) · 더보기 »

태풍 라나님

풍 라나님(태풍 번호: 0413, JTWC 지정 번호: 16W, 국제명:RANANIM,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Karen)은 2004년의 13번째 태풍으로 중국을 강타해 많은 피해를 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라나님 · 더보기 »

태풍 로키 (2011년)

풍 로키(태풍 번호: 1115, JTWC 지정 번호: 18W, 국제명: ROKE)는 2011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5번째 태풍으로 태풍이 직접 상륙한 일본에 막대한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로키 (2011년) · 더보기 »

태풍 루사

풍 루사(태풍 번호 0215, JTWC 지정 번호 21W, 국제명 RUSA)는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5번째 태풍으로서, 2002년 8월 31일 한반도에 상륙하여 사망·실종 246명의 인명 피해와 5조 원이 넘는 재산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루사 · 더보기 »

태풍 룸비아

음은 룸비아를 이름으로 하는 태풍들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룸비아 · 더보기 »

태풍 룽왕 (2005년)

풍 룽왕(태풍 번호: 0519, JTWC 지정 번호: 19W, 국제명:LONGWANG,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Maring)은 2005년의 19번째 태풍으로 타이완과 중국에 엄청난 피해를 입힌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룽왕 (2005년) · 더보기 »

태풍 매미

풍 매미(태풍 번호: 0314, JTWC 지정 번호: 15W최대 풍속이 13 m/s (25 kt)를 넘는 열대저기압에 붙여지는 번호로, 일본 기상청과는 해석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번호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국제명: MAEMI,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Pogi)는 2003년 9월 12일 한반도에 상륙해 경상도를 중심으로 막대한 피해를 일으킨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매미 · 더보기 »

태풍 맛사

풍 맛사(태풍 번호: 0509, JTWC 지정 번호: 09W, 국제명:MATSA,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Gorio)는 2005년의 제9호 태풍으로 중국에 낸 큰 피해로 인해 이름이 퇴출되었.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맛사 · 더보기 »

태풍 멜로르 (2009년)

풍 멜로르 (태풍 번호: 0918, JTWC 지정 번호: 20W, 국제명: MELOR) 는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8번째 태풍으로, 일본에 상륙하여 큰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멜로르 (2009년) · 더보기 »

태풍 메기 (2010년)

풍 메기(태풍 번호: 1013, JTWC 지정 번호: 15W, 국제명: MEGI,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Juan)는 2010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3번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메기 (2010년) · 더보기 »

태풍 메칼라 (2015년)

풍의 진행 분류:2015년 태풍 분류:필리핀의 태풍 분류: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1등급 열대 저기압 분류:2015년 필리핀 분류:2015년 1월.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메칼라 (2015년) · 더보기 »

태풍 모라꼿 (2009년)

풍 모라꼿(태풍 번호: 0908, JTWC 지정 번호: 09W, 국제명: MORAKOT, 필리핀 기상청 지정 이름: Kiko)은 2009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제8호 태풍으로 태풍이 상륙한 타이완 섬에 극심한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 상륙한 중화인민공화국 푸젠 성 등의 남동부 지역에서도 피해가 발생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모라꼿 (2009년) · 더보기 »

태풍 무이파 (2011년)

풍 무이파(태풍 번호: 1109, 국제명: MUIFA)는 2011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9번째 태풍으로, 태풍의 길목에 놓였던 일본 오키나와 섬, 중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무이파 (2011년) · 더보기 »

태풍 갈매기 (2008년)

풍 갈매기(태풍 번호: 0807, JTWC 지정 번호: 08W, 국제명: KALMAEGI, 필리핀 기상청 지정 이름: Helen)는 2008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제7호 태풍으로 2008년 7월 15일에 발생하여 2008년 7월 19일에 소멸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갈매기 (2008년) · 더보기 »

태풍 베라 (1959년)

풍 베라(Typhoon Vera)는 1959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5번째 태풍으로, 일본에 상륙한 역대 태풍 중 가장 막대한 인명피해를 낸 태풍이며 당시까지 일본에 상륙한 태풍 중 가장 강한 태풍이었.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베라 (1959년) · 더보기 »

태풍 곤파스 (2010년)

풍 곤파스(태풍 번호: 1007, JTWC 지정 번호: 08W, 국제명: KOMPASU)는 2010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7번째 태풍으로, 태풍의 길목에 놓였던 일본 오키나와 섬,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에 큰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곤파스 (2010년) · 더보기 »

태풍 볼라벤 (2012년)

풍 볼라벤(태풍 번호: 1215, JTWC 지정 번호: 16W, 국제명: BOLAVE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Julian)은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5번째 태풍이자 제4호 태풍 구촐, 태풍 비센티, 태풍 덴빈에 이어 4번째 4등급 태풍으로 중심기압이 910 hPa.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볼라벤 (2012년) · 더보기 »

태풍 봉선화

풍 봉선화(태풍 번호: 0226, JTWC 지정 번호: 31W, 국제명:PONGSONA)는 2002년의 26번째 태풍이자 마지막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봉선화 · 더보기 »

태풍 구촐 (2012년)

풍 구촐(태풍 번호: 1204, JTWC 지정 번호: 05W, 국제명: GUCHOL,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Butchoy)는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4번째 태풍으로 태풍의 직접 상륙한 일본에 피해를 입혔.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구촐 (2012년) · 더보기 »

태풍 두리안 (2006년)

풍 두리안(태풍 번호: 0621, JTWC 지정 번호: 24W, 국제명:DURIA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Reming)은 2006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제21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두리안 (2006년) · 더보기 »

태풍 날개 (2011년)

풍 날개(태풍 번호: 1119, JTWC 지정 번호: 22W, 국제명: NALGAE)는 2011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9번째 태풍으로 태풍이 직접 상륙한 필리핀에 막대한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날개 (2011년) · 더보기 »

태풍 낭카 (2015년)

2015년 제11호 태풍 낭카(NANGKA)는 7월 4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2,8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7월 7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동쪽 약 9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330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낭카 (2015년) · 더보기 »

태풍 낸시 (1961년)

풍 낸시(Typhoon Nancy)는 1961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8번째 태풍으로 1분최대풍속이 345 km/h가 관측되었을 전제 하에 전 세계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 중 가장 큰 수치를 기록.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낸시 (1961년) · 더보기 »

태풍 난마돌 (2011년)

풍 난마돌(태풍 번호: 1111, JTWC 지정 번호: 14W, 국제명: NANMADOL)는 2011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1번째 태풍으로 태풍의 영향을 받은 필리핀, 타이완, 중화인민공화국에 큰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난마돌 (2011년) · 더보기 »

태풍 나리 (2007년)

풍 나리(NARI)는 2007년 제11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나리 (2007년) · 더보기 »

태풍 나비

풍 나비(태풍 번호: 0514, JTWC 지정 번호: 14W, 국제명: NABI, 필리핀 기상청 지정 이름: Jolina)는 2005년에 발생한 제14호 태풍으로 2005년 8월 29일에 발생하여 2005년 9월 8일 일본 삿포로 동북동쪽 약 710 km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나비 · 더보기 »

태풍 네삿 (2011년)

풍 네삿(태풍 번호: 1117, JTWC 지정 번호: 20W, 국제명: NESAT)는 2011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7번째 태풍으로 태풍이 직접 상륙한 필리핀에 막대한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네삿 (2011년) · 더보기 »

태풍 노루 (2017년)

풍 노루의 이동 경로 태풍 노루(태풍 번호: 1705, JTWC 지정 번호: 07W, 국제명: Noru)은 7월 2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6hPa,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1,95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노루 (2017년) · 더보기 »

태풍 녹텐 (2011년)

풍 녹텐(태풍 번호: 1108, JTWC 지정 번호: 10W, 국제명:NOCK-TE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Juaning)은 2011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8번째 태풍으로 필리핀, 중국 남부, 베트남, 라오스, 태국에 큰 피해를 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녹텐 (2011년) · 더보기 »

태풍 담레이 (2012년)

풍 담레이(태풍 번호: 1210, JTWC 지정 번호: 11W, 국제명:DAMREY)는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0번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담레이 (2012년) · 더보기 »

태풍 담레이 (2017년)

풍 담레이의 이동 경로 태풍 담레이(태풍 번호: 1723, JTWC 지정 번호: 28W, 국제명:Damrey,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Ramil)은 11월 2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서남서쪽 약 4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진하면서 급발달했고, 11월 3일 오후 3시에 베트남 호치민 동북동쪽 약 6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m/s, 강풍 반경 44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했고, 11월 4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m/s, 강풍 반경 300km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최성기 세력 그대로인 상태로 베트남 호치민 북동쪽 약 330km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담레이 (2017년) · 더보기 »

태풍 니다 (2009년)

풍 니다(태풍 번호: 0922, JTWC 지정 번호: 26W, 국제명:NIDA,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Vinta)는 2009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22번째 태풍으로써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제5등급의 아주 강한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니다 (2009년) · 더보기 »

태풍 장미 (2008년)

풍 장미(태풍 번호: 0815, JTWC 지정 번호: 19W, 국제명: JANGMI, 필리핀 기상청 지정 이름: Ofel)는 2008년의 제15호 태풍으로 2008년 9월 24일에 발생하여 2008년 10월 1일에 소멸하였고, 2008년에 발생한 태풍 중에서 가장 낮은 기압인 905 hPa을 기록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장미 (2008년) · 더보기 »

태풍 히고스 (2015년)

2015년 제2호 태풍 히고스(태풍 번호: 1502, JTWC 지정 번호: 02W 국제명: HIGOS)는 2월 8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1,3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2월 10일 오후 3시에 미국 괌 동쪽 약 1,0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330km(북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히고스 (2015년) · 더보기 »

태풍 페이

풍 페이(태풍번호 9503, JTWC 지정 번호 05W, 국제명 FAYE)는 1995년 7월 23일 한반도 남해안에 상륙하여 적지 않은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페이 · 더보기 »

태풍 펑선 (2008년)

풍 펑선(태풍 번호 0806, JTWC 지정 번호 07W, 국제명 FENGSHEN)은 2008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제6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펑선 (2008년) · 더보기 »

태풍 임부도

풍 임부도(태풍 번호: 0307, JTWC 지정 번호: 09W, 국제명:IMBUDO,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Harurot)는 2003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7번째 태풍으로 필리핀과 중국에 많은 피해를 주었.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임부도 · 더보기 »

태풍 이오케

풍 이오케, 메이저 허리케인 이오케(태풍 번호: 0612, JTWC 지정 번호: 01C, 국제명:IOKE)는 2006년에 최초로 북중태평양에서 발생하여 북서태평양으로 넘어온 태풍으로, 북중태평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중 가장 강.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이오케 · 더보기 »

태풍 즐라왓 (2012년)

풍 즐라왓(태풍 번호: 1217, JTWC 지정 번호: 18W, 국제명: JELAWAT,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Lawin)은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17번째로 발생한 태풍으로, 중심기압이 905 hPa까지 떨어지면서 제16호 태풍 산바 이후로 2번째로 강력한 태풍이 되었.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즐라왓 (2012년) · 더보기 »

태풍 짠쯔 (2006년)

풍 짠쯔(태풍 번호: 0601, JTWC 지정 번호: 02W, 국제명:CHANCHU,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Caloy)는 2006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번째 태풍으로, 동아시아 전역에 많은 피해를 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짠쯔 (2006년) · 더보기 »

태풍 차바 (2016년)

2016년 제18호 태풍 차바(CHABA)는 2016년 9월 28일에 태평양에서 발생해 일본과 대한민국을 통과해 2016년 10월 6일에 소멸한 열대 저기압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차바 (2016년) · 더보기 »

태풍 차타안

풍 차타안(태풍 번호: 0206, JTWC 지정 번호: 08W, 국제명:CHATAA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Gloria)은 200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6번째 태풍으로 추크 제도, 괌과 일본에 매우 큰 영향을.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차타안 · 더보기 »

태풍 초이완 (2009년)

풍 초이완(태풍 번호: 0914, JTWC 지정 번호: 15W, 국제명:CHOI-WAN)은 2009년에 북서태평양에서 14번째로 발생한,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제5등급의 매우 강한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초이완 (2009년) · 더보기 »

태풍 켓사나 (2009년)

풍 켓사나(태풍 번호: 0916, JTWC 지정 번호: 17W, 국제명: KETSANA,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Ondoy)는 2009년에 발생한 제16호 태풍으로 필리핀 북부에 엄청난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켓사나 (2009년) · 더보기 »

태풍 팁 (1979년)

풍 팁(태풍 번호: 7920, JTWC 지정 번호: 23W, 국제명:TIP,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Warling)은 관측 사상 가장 낮은 기압을 기록했던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팁 (1979년) · 더보기 »

태풍 파마 (2009년)

풍 파마(태풍 번호: 0917, JTWC 지정 번호: 19W, 국제명: PARMA,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Pepeng)는 2009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7번째 태풍으로 태풍의 영향을 받은 필리핀, 타이완,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에 막대한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파마 (2009년) · 더보기 »

태풍 파나피

풍 파나피(태풍 번호: 1011, JTWC 지정 번호: 12W, 국제명:FANAPI,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Inday)는 2010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1번째 태풍으로 타이완, 중화인민공화국에 상륙하여 큰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파나피 · 더보기 »

태풍 위니 (1997년)

풍 위니(태풍 번호: 9713, JTWC 지정 번호: 14W, 국제명: WINNIE, 필리핀 기상청 지정 이름: Ibiang)는 1997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3번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위니 (1997년) · 더보기 »

태풍 상산 (2006년)

풍 상산(태풍 번호: 0615, JTWC 지정 번호: 18W, 국제명:XANGSANE,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Milenyo)는 2006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제15호 태풍으로 2006년에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지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상산 (2006년) · 더보기 »

태풍 수달

풍 수달(태풍 번호: 0401, JTWC 지정 번호: 03W, 국제명:SUDAL,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Cosme)은 2004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번째로 생긴 태풍으로 미크로네시아 연방 야프 섬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수달 · 더보기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풍 에위니아(EWINIAR)는 2006년 북서태평양에서 3번째로 발생한 태풍으로, 2006년 7월 10일부터 7월 11일까지 한반도에 상륙하여 피해를 준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에위니아 (2006년) · 더보기 »

태풍 사라 (1959년)

1959년 9월에 발생한 태풍 사라(태풍번호 5914, JTWC 지정 번호 14W, 국제명 SARAH)는 열대저기압 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카테고리 5급”까지 발달했던 태풍으로, 대한민국 최대 명절인 추석날 한반도를 강타하여 당시 사회에 큰 상처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사라 (1959년) · 더보기 »

태풍 사오마이 (2000년)

풍 사오마이(태풍 번호: 0014, 국제명: SAOMAI)는 2000년에 발생한 제14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사오마이 (2000년) · 더보기 »

태풍 사오마이 (2006년)

풍 사오마이(태풍 번호: 0608, JTWC 지정 번호: 08W, 국제명:SAOMAI,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Juan)는 2006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8번째 태풍으로 중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사오마이 (2006년) · 더보기 »

태풍 사올라 (2012년)

풍 사올라(태풍 번호: 1209, JTWC 지정 번호: 10W, 국제명: SAOLA,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Gener)는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9번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사올라 (2012년) · 더보기 »

태풍 산바

풍 산바(Typhoon Sanba)는 다음 태풍을 가리.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산바 · 더보기 »

태풍 산산 (2006년)

풍 산산(태풍 번호: 0613, JTWC 지정 번호: 14W, 국제명:SHANSHAN, 필리핀 기상청 지정 이름: Luis)은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2006년의 제13호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산산 (2006년) · 더보기 »

태풍 프란시스코

음은 프란시스코를 이름으로 하는 태풍들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프란시스코 · 더보기 »

태풍 프라피룬 (2000년)

풍 프라피룬(태풍 번호 0012, JTWC 지정 번호 20W, 국제명 PRAPIROON)은 북서태평양에 발생한 2000년의 12번째 태풍으로서, 한반도에 상륙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큰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프라피룬 (2000년) · 더보기 »

태풍 소델로

풍 소델로(태풍 번호: 0306, JTWC 지정 번호: 07W, 국제명: SOUDELOR)는 2003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6번째 태풍으로 태풍의 영향을 받은 필리핀, 대한민국, 일본에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소델로 · 더보기 »

태풍 솔릭

음은 솔릭을 이름으로 하는 태풍들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솔릭 · 더보기 »

태풍 할롱

음은 할롱(Halong)을 이름으로 하는 태풍들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할롱 · 더보기 »

태풍 하이쿠이

풍 하이쿠이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하이쿠이 · 더보기 »

태풍 하이옌 (2013년)

풍 하이옌(태풍 번호: 1330, JTWC 지정 번호: 31W, 국제명: HAIYA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Yolanda)은 2013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30번째 태풍이자 3번째 카테고리 5등급 슈퍼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하이옌 (2013년) · 더보기 »

태풍 아이다 (1958년)

풍 아이다(Typhoon Ida)는 1958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22번째 태풍으로 발생 당시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중심기압인 877 hPa를 기록.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아이다 (1958년) · 더보기 »

태풍 테스 (1953년)

풍 테스(태풍 번호: 5313, JTWC 지정 번호: 15W, 국제명: TESS)는 관측 사상 6시간 동안 최고 수치의 중심 기압 감소를 기록했던 태풍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테스 (1953년) · 더보기 »

태풍 셀마 (1987년)

풍 셀마(태풍번호 8705, JTWC 지정 번호 05W, 국제명 THELMA)는 1987년의 첫 번째 “Super Typhoon”으로서, 강력한 세력으로 고흥 반도에 상륙하여 대한민국에 매우 큰 피해를.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태풍 셀마 (1987년) · 더보기 »

수은주 인치

수은주인치(水銀柱inch, inHg, "Hg)는 압력의 단위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수은주 인치 · 더보기 »

열대 저기압

열대 저기압의 일종인 태풍 열대 저기압(熱帶低氣壓, 열대성 저기압)은 지구의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열대 저기압 · 더보기 »

허리케인 리타

리케인 리타(Hurricane Rita)는 2005년에 발생한, 북대서양 허리케인 중 4번째로 강한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리타 · 더보기 »

허리케인 린다

리케인 린다(Hurricane Linda)는 1997년의 13번째 허리케인으로, 중심기압이 902 hPa를 기록해 동태평양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린다 · 더보기 »

허리케인 마리아

리케인 마리아의 이동경로 허리케인 마리아()는 푸에르토리코에 상륙한 카테고리 5에 속하는 열대성 저기압 허리케인으로 노스캐롤라이나와 중부 대서양의 일부 지역을 위협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마리아 · 더보기 »

허리케인 미치

리케인 미치(Hurricane Mitch)는 1998년에 북대서양에서 발생한 13번째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미치 · 더보기 »

허리케인 구스타브

리케인 구스타브(Hurricane Gustav)는 2008년 8월 25일에 대서양에서 발생하여 카리브 해에 위치한 서인도 제도 등의 섬들과 미국 동남부에 영향을 준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구스타브 · 더보기 »

허리케인 딘

리케인 딘(Hurricane Dean, 번호 AL042007)은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를 강타한 5등급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딘 · 더보기 »

허리케인 노엘

리케인 노엘(Hurricane Noel, 번호 AL162007)은 히스파니올라 섬, 바하마, 쿠바, 자메이카에서 163명이 사망한 1등급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노엘 · 더보기 »

허리케인 이고르

리케인 이고르 (Hurricane Igor, 번호 AL112010)는 2010년 북대서양의 아홉 번째 열대폭풍, 네 번째 허리케인으로, 약 13일동안 활동한 4등급 메이저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이고르 · 더보기 »

허리케인 카트리나

리케인 카트리나의 자취 허리케인 카트리나(Hurricane Katrina)는 2005년 8월 말, 미국 남동부를 강타한 초대형 허리케인으로 북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중 6번째로 강.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플로리다 주 나소 군 동쪽 약 280 킬로미터의 열대성 저기압으로부터 발생.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카트리나 · 더보기 »

허리케인 윌마

리케인 윌마(Hurricane Wilma)는 2005년에 북대서양에서 발생한 22번째 열대 저기압이자 13번째 허리케인, 6번째 메이저 허리케인, 4번째로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의 제5등급에 도달한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윌마 · 더보기 »

허리케인 샌디

리케인 샌디(Hurricane Sandy)는 2012년 10월 말, 자메이카와 쿠바, 미국 동부 해안에 상륙한 대형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샌디 · 더보기 »

허리케인 어마

리케인 어마(Hurricane Irma)는 2017년 8월 30일경 카리브 해에서 발생한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어마 · 더보기 »

허리케인 앨런

리케인 앨런(Hurricane Allen)은 1980년의 첫 번째 허리케인으로 사피어-심슨 허리케인 등급 제5등급에 속해있던 기간이 다른 어느 허리케인보다 가장 길었고, 제5등급의 세력이 허리케인의 일생 동안 세차례 있었던 몇 안되는 허리케인 중 하나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앨런 · 더보기 »

허리케인 필릭스

리케인 필릭스 (Hurricane Felix, 번호 AL062007)는 2007년 대서양에서 발생한 6번째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필릭스 · 더보기 »

허리케인 아이린

리케인 아이린(Hurricane Irene)은 2011년에 북대서양에서 발생한 9번째 열대성 저기압임에 동시에 1번째 허리케인과 1번째 메이저(대규모) 허리케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허리케인 아이린 · 더보기 »

킬로미터 매 시간

미터 매 시간으로만 측정된 속력을 나타내는 자동차 속도계 df.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킬로미터 매 시간 · 더보기 »

사이클론 가필로

사이클론 가필로(Cyclone Gafilo)는 인도양 남서부에서 발생한 사이클론으로 이 지역에서 발생한 모든 사이클론 중 최강으로 여. 또한 가필로로 인한 마다가스카르의 피해가 극심.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사이클론 가필로 · 더보기 »

사이클론 나르기스

사이클론 나르기스(Cyclone Nargis, JTWC 명칭: 01B)는 2008년 4월 27일에 발생하여 2008년 5월 3일에 소멸하였으며 2008년 5월 2일, 미얀마를 강타한 대형 사이클론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사이클론 나르기스 · 더보기 »

사이클론 이니고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사이클론 이니고 · 더보기 »

사이클론 조

사이클론 조(Cyclone Zoe, RSMC 피지 기상청:04F, JTWC:06P)는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모든 사이클론 중 가장 강한 사이클론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사이클론 조 · 더보기 »

피트

(feet), 풋(단수 foot)는 야드파운드법과 미국 단위계의 길이 단위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피트 · 더보기 »

토목공학

목공학(土木工學)은 인류 문명 발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자연 및 사회의 각종 재해와 공해로부터 인류를 보전하며, 국토 환경을 물리적으로 개조하여 인간의 생활에 더 쾌적하고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연구하고,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생각하고 기술과 인간의 조화를 현실화하여 인간생활의 기반을 구축하고, 인류의 문명을 실현하여 사회를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학문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토목공학 · 더보기 »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1935 Labor Day hurricane)은 1935년, 카리브 해에서 발생한 매이저 허리케인으로 북대서양에서 발생한 모든 허리케인 중 3번째로 강.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 · 더보기 »

1969년

196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1969년 · 더보기 »

1999년 태풍

1999년에는 4월 23일에 제1호 태풍 케이트가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총 22개의 태풍이 발생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1999년 태풍 · 더보기 »

2013년 태풍

이 문서에서는 2013년에 발생하는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2013년 태풍 · 더보기 »

2014년 태풍

이 문서에서는 2014년에 발생하는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

새로운!!: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와 2014년 태풍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SSHS, 새피어-심슨 등급, 사피르-심프슨 규모, 사피어-심슨 등급, 사피어-심슨 허리케인 등급,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규모,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