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삼학사전

색인 삼학사전

삼학사전 《삼학사전》(三學士傳)은 1671년 조선의 유학자인 송시열이 편찬한 삼학사의 전기문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 《송자대전》 제113권에 원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필사본 1책이 규장각 도서로 편찬되었.

18 처지: 만력제, 명나라, 병자호란, 규장각, 국립중앙박물관, 조선, 조선 정조, 청나라, 윤봉구, 윤집, 오달제, 삼학사, 송자대전, 송시열, 홍익한, 1637년, 1671년, 1776년.

만력제

만력제(萬曆帝, 1563년 9월 4일 ~ 1620년 8월 18일)는 명나라의 제13대 황제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만력제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명나라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병자호란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규장각 · 더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국립중앙박물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삼학사전와 청나라 · 더보기 »

윤봉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윤봉구의 초상화 윤봉구(尹鳳九, 1681년∼1767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윤봉구 · 더보기 »

윤집

윤집(尹集, 1606년 ~ 163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윤집 · 더보기 »

오달제

오달제(吳達濟, 1609년 ∼ 163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오달제 · 더보기 »

삼학사

삼학사(三學士)는 1637년 병자호란 때 조선이 중국 청나라에 항복하는 것을 반대하고 척화론(斥和論)을 주장했다가 청나라에 잡혀가 참혹한 죽음을 당했던 척화파의 강경론자 세 사람, 즉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삼학사 · 더보기 »

송자대전

송자대전(宋子大全)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유학자, 성리학자인 송시열의 저서와 시문, 상소 등을 모은 모음집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송자대전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송시열 · 더보기 »

홍익한

홍익한(洪翼漢, 1586년 ~ 163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홍익한 · 더보기 »

1637년

163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1637년 · 더보기 »

1671년

167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1671년 · 더보기 »

1776년

177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삼학사전와 1776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