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

색인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서울 世宗 英陵 神道碑)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영녕릉에 있는 조선시대 1452년(문종 2년)에 만들어진 비석이.

14 처지: 동대문구, 보물, 대한민국, 정인지, 조선, 조선 세종, 영녕릉, 세종대왕기념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특별시, 안평대군, 훈민정음, 2013년, 7월 16일.

동대문구

동대문구(東大門區)는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동대문구 · 더보기 »

보물

보물(寶物)은 단순히 의미로는 귀중한 물건을 뜻하며, 국가적 의미로는 국보 다음으로 귀중 가치가 높은 문화재를 뜻.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보물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정인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영녕릉

영릉(英陵)과 영릉(寧陵)은 대한민국 사적 제195호로, 조선 제4대 세종과 그 비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능인 영릉(英陵)과 제17대 효종과 그 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능인 영릉(寧陵)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영녕릉 · 더보기 »

세종대왕기념관

세종대왕기념관(世宗大王紀念館)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위치한 기념관으로, 조선 세종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여 이를 길이 보존하기 위해 지어졌.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세종대왕기념관 · 더보기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는 세종대왕 성덕과 위업을 추모, 후손에 계승을 목적으로 1957년 5월 14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안평대군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 10월 18일(음력 9월 19일) ~ 1453년 11월 18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서예가, 서화가, 시인, 작가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안평대군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훈민정음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2013년 · 더보기 »

7월 16일

7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7번째(윤년일 경우 1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와 7월 16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