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성준 (조선)

색인 성준 (조선)

성준(成俊, 1436년~150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47 처지: 명나라, 갑자사화, 박영지, 본관, 대사헌, 국조보감, 우의정, 자 (이름), 폐비 윤씨, 인수대비 (드라마), 조선, 조선 중종, 조선 연산군, 좌의정, 창녕 성씨, 천안시, 유교, 영의정, 사간원, 삼수군, 성리학, 야인여진, 한치형, 시호, 왕과 비, JTBC, KBS 1TV, 1436년, 1456년, 1459년, 1469년, 1479년, 1481년, 1484년, 1488년, 1490년, 1491년, 1494년, 1498년, 1499년, 1500년, 1503년, 1504년, 1998년, 2000년, 2011년, 2012년.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명나라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갑자사화 · 더보기 »

박영지

박영지(1951년 3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박영지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성준 (조선)와 본관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대사헌 · 더보기 »

국조보감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조보감》 《국조보감》(國朝寶鑑)은 조선의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가운데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뽑아 적은 편년체의 역사책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국조보감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우의정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성준 (조선)와 자 (이름)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새로운!!: 성준 (조선)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인수대비 (드라마)

《인수대비》는 JTBC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조선 문종 시대부터 연산군 시대까지의 인물인 소혜왕후의 삶을 다루었.

새로운!!: 성준 (조선)와 인수대비 (드라마)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좌의정 · 더보기 »

창녕 성씨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창녕 성씨 · 더보기 »

천안시

안시의 전경 천안시(天安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동북부 내륙에 있는 시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천안시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유교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성준 (조선)와 영의정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사간원 · 더보기 »

삼수군

삼수군(三水郡)은 량강도 중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삼수군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성리학 · 더보기 »

야인여진

야인여진(野人女眞)은 여진족의 세 분파 중의 하나로의 4부족으로 구성.

새로운!!: 성준 (조선)와 야인여진 · 더보기 »

한치형

형(韓致亨, 1434년 ~ 15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한치형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성준 (조선)와 시호 · 더보기 »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왕과 비 · 더보기 »

JTBC

JTBC()는 유료 플랫폼으로 방송하는 한국의 종합편성채널 사업자이자, 종합편성채널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JTBC · 더보기 »

KBS 1TV

KBS 1TV(정식명칭은 KBS 제1텔레비전)는 KBS에서 방송되는 TV 채널로서, KBS 2TV와 달리 뉴스·교양·다큐멘터리·스포츠 프로그램 등을 방송.

새로운!!: 성준 (조선)와 KBS 1TV · 더보기 »

14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36년 · 더보기 »

14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56년 · 더보기 »

14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59년 · 더보기 »

14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69년 · 더보기 »

14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79년 · 더보기 »

14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81년 · 더보기 »

148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84년 · 더보기 »

14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88년 · 더보기 »

14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90년 · 더보기 »

149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91년 · 더보기 »

14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94년 · 더보기 »

14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98년 · 더보기 »

14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499년 · 더보기 »

15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500년 · 더보기 »

15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503년 · 더보기 »

15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성준 (조선)와 1504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1998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2000년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2011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성준 (조선)와 2012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성준 (조선의 문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