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본성

색인 본성

본성(本性)은 개별 존재가 본래 갖추고 있는 성품 또는 성질을 말. 본성을 줄여서 간단히 성(性)이라고도 하고 다른 말로는 성품(性品)이.

16 처지: 능력, , 라틴어, 마음, 객관, 불교, 불성, 자상, 자성, 유교, 탄생, 여래장 사상, 사람, 성정론, 성선설, 성악설.

능력

능력(能力)은 일을 감당해 낼 수 있는 힘을 말하고 영어로는 ability.

새로운!!: 본성와 능력 · 더보기 »

덕(德)은 노력이나 수양이나 교육으로 사회적인 규범이라든가 도덕을 닦아 성취하여, 그 결과 애쓰지 않아도 규범이나 바른 길을 저절로 행할 수 있게 된 사람, 또는 그 상태를 뜻.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윤리학 관계 > 가치·이상 등 > 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따라서 덕이 있는 사람의 인격은 선이며, 행실은 올바르고 그 인품은 남의 숭배를 받. 또한 덕은 훌륭한 성격능력혜택부이익 등을 뜻. 올바른 덕은 미덕(美德)이라고 하며, 그것의 반대는 악덕(惡德)이.

새로운!!: 본성와 덕 · 더보기 »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본성와 라틴어 · 더보기 »

마음

마음은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하여 생각, 인지, 기억, 감정, 의지, 그리고 상상력의 복합체로 드러나는 지능과 의식의 단면을 가리.

새로운!!: 본성와 마음 · 더보기 »

객관

객관(客觀)은 주관에 대립되는 말로서, 주관의 대상이며 인식되는 것이.

새로운!!: 본성와 객관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본성와 불교 · 더보기 »

불성

불성(佛性)은 '부처의 본성', '깨달음 그 자체의 성질', 또는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본성와 불성 · 더보기 »

자상

자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본성와 자상 · 더보기 »

자성

자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본성와 자성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본성와 유교 · 더보기 »

탄생

1515년, 출산 의자에서 아이를 낳는 여성 2001년, 어머니가 집에서 태어난 첫 아이를 만지는 모습. 탄생(誕生) 또는 출생(出生)은 동물의 자녀가 어머니의 몸 밖으로 생리적으로 나오는 것을 말. 다른 말로 난자생식, 난태생이.

새로운!!: 본성와 탄생 · 더보기 »

여래장 사상

여래장 사상(如來藏思想)은 여래장(如來藏)에 대한 교의와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즉 진여연기(眞如緣起)의 교의를 근간으로 하는 대승 불교 중기 이후의 사상이.

새로운!!: 본성와 여래장 사상 · 더보기 »

사람

사람 또는 호모 사피엔스()는 두 발로 서서 걸어 다니는 사람과의 영장류 동물이.

새로운!!: 본성와 사람 · 더보기 »

성정론

성정론(性情論)은 유학에서 인간의 마음을 다루어 온 흐름이.

새로운!!: 본성와 성정론 · 더보기 »

성선설

성선설(性善說)은 공자(孔子)와 더불어 유가(儒家)의 대표적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주장한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학설로, "인간의 본성(本性)은 선(善)하다"는 학설이.

새로운!!: 본성와 성선설 · 더보기 »

성악설

성악설(性惡說)은 공자(孔子)맹자(孟子)와 더불어 유가(儒家)의 대표적 사상가 중 한 명인 순자(荀子: 기원전 298?~238?)가 주장한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학설로, "인간의 본성(本性)은 악(惡)하다"는 학설이.

새로운!!: 본성와 성악설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성품.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