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소현

색인 소현

소현(韶顯, 1038년~1096년)은 고려 중기의 승려로 법상종의 고승이.

14 처지: 도생승통, 법상종, 고려, 규기, 금산사,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구족계, 승려, 이자연 (고려), 유식설, 해린, 시호, 1038년, 1096년.

도생승통

생승통 왕탱(道生僧統 王竀, ? ~ 1112년 경)은 고려의 왕족이자 승려이.

새로운!!: 소현와 도생승통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소현와 법상종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소현와 고려 · 더보기 »

규기

(窺基, 632년 ~ 682년) 또는 기(基)는 중국의 당나라 초기의 승려이.

새로운!!: 소현와 규기 · 더보기 »

금산사

산사(金山寺)는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이.

새로운!!: 소현와 금산사 · 더보기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金堤 金山寺 慧德王師塔碑)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사에 있는, 고려 중기의 고승 혜덕왕사 소현의 탑비이.

새로운!!: 소현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더보기 »

구족계

족계(具足戒)는 불교에서 쓰는 말로, 출가한 사람이 정식 승려가 될 때 받는 계율을 말. 비구와 비구니가 지켜야 할 계율이며, 비구에게는 250계, 비구니에게는 348계가 있. 불교에서 출가하는 것은 사미계(沙彌戒)를 받았다는 뜻이며, 구족계를 받게 되면 정식 승.

새로운!!: 소현와 구족계 · 더보기 »

승려

이의 불교 수도승 승려(僧侶)는 불교의 출가 수행자를 가리카는 말이.

새로운!!: 소현와 승려 · 더보기 »

이자연 (고려)

이자연(李子淵, 1003년 ~ 1061년)은 고려의 문신이자 문종의 외척(外戚)이.

새로운!!: 소현와 이자연 (고려) · 더보기 »

유식설

유식설(唯識說)은 인간의 현실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법은 실유(實有)가 아니고, 그 실상(實相)은 공(空)이라고 본. 하지만, 무차별하고 한결같은 공의 차원에 의거하여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질서있는 현실의 모든 차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

새로운!!: 소현와 유식설 · 더보기 »

해린

린(海麟, 984년~1067년)은 고려 중기의 승려이.

새로운!!: 소현와 해린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소현와 시호 · 더보기 »

10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소현와 1038년 · 더보기 »

10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소현와 1096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혜덕왕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