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송진우 피살 사건

색인 송진우 피살 사건

1945년 12월 31일자 동아일보. 송진우 암살을 보도 송진우 피살 사건은 1945년 12월 30일 새벽 6시 한국민주당 당수 송진우가 서울 원서동 자택에서 한현우 등 자객들의 피습을 받고 사망한 사건이.

56 처지: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미 군정, 미국, 민족주의, 백의사, 박헌영, 강원용, 건국준비위원회, 경교장, 경찰, 공산주의, 브루스 커밍스, 김규식, 김대중 납치 사건, 김구,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김형욱 납치 암살 사건, 김성수 (1891년), 김원봉,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우익, 장덕수, 장덕수 피살 사건, 장택상, 임시 정부, 평안남도, 이승만, 일본, 조병옥, 조선공산당, 존 하지, 유진산, 여운형, 여운홍, 서울특별시, 송건호, 송진우 (1890년), 한국민주당, 한지근, 한현우, 안공근 암살 사건, 안재홍, 하지, 10.26 사건, 12월, 12월 27일, 12월 29일, 12월 30일, 1945년, 1946년, ..., 1947년, 1월 1일, 2월 13일, 2월 14일, 4월 8일, 9·28 사건.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 더) »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三國外相會議) 또는 모스크바 삼상 회의(-三相會議)는 1945년 12월 16일부터 26일까지 소련의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영국소련의 외무장관 회의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 더보기 »

미 군정

미 군정(美軍政, 米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미 군정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미국 · 더보기 »

민족주의

민족주의(民族主義) 또는 혈통적 국민주의()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 대표적인 예로 1992년 독립을 선포한 압하스인들의 자신들의 민족만의 나라를 건설하고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압하지야 공화국이나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 있.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민족주의 · 더보기 »

백의사

백의사(白衣社)는 일제 강점기와 해방정국의 우익 테러단체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백의사 · 더보기 »

박헌영

박헌영(朴憲永,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예산 ~ 1956년 12월 5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노동운동.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박헌영 · 더보기 »

강원용

강원용(姜元龍, 1917년 7월 3일 ~ 2006년 8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기독교 신학자이자 정치가·철학자·통일운동가·교육자·반일반공운동가·시민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강원용 · 더보기 »

건국준비위원회

국준비위원회의 깃발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는 1945년 8월 15일부터 9월 7일까지 한국의 군정기에 여운형, 안재홍 등을 주축으로 일본으로부터 행정권(총독부에 5개 항을 요구하며, 치안권 요구)을 인수받기 위하여 만든 조직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건국준비위원회 · 더보기 »

경교장

경교장(京橋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평동)에 위치하고 있는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일본식 주택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경교장 · 더보기 »

경찰

독일 함부르크의 경찰관 일본의 경찰관 경찰(警察)은 사회의 일반적인 법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행정 활동, 또는 그러한 목적을 위해 조직된 국가 기관을 말. 대부분의 나라에서 경찰은 공무원에 속. 따라서 경찰은 국가 행정기관을 뜻하는 말로도 흔하게 쓰이며, 이를 위한 행정 활동은 공권력이라고 표현.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경찰 · 더보기 »

공산주의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는 자본가 계급이 소멸되고, 노동자 계급이 주체가 된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무계급 사회 조직, 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 또는 그러한 체제를 목표로 삼는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정치 운동들을 일컫.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공산주의 · 더보기 »

브루스 커밍스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 1943년 9월 5일 ~)는 시카고 대학의 석좌교수로 전공은 한국근현대사와 동아시아 국제관계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브루스 커밍스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김규식 · 더보기 »

김대중 납치 사건

중 납치 사건(金大中拉致事件)은 일본으로 망명 중이던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대중이 1973년 8월 8일 오후 1시경 일본 도쿄도의 호텔 그랜드팰리스 2210호실 부근에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누군가의 섭렵 요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에게 납치되어, 8월 13일에 서울의 자택 앞에서 발견된 사건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김대중 납치 사건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김구 · 더보기 »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영삼 질산 테러 사건은 1969년 6월 20일 밤 10시 15분 경 귀가 도중 신민당 원내총무 김영삼의 차량에 괴한 3명이 질산이 든 병을 던진 사건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 더보기 »

김형욱 납치 암살 사건

형욱 납치 암살 사건(金炯旭 拉致 暗殺 事件, 혹은 김형욱 실종 사건(金炯旭 失踪 事件))은 1979년 10월 7일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준장 김형욱(金炯旭) 前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부장이 프랑스 파리에서 의문의 미궁을 남긴 채 납치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김형욱 납치 암살 사건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김원봉

원봉(金元鳳, 1898년 9월 28일 (음력 8월 13일) ~ 1958년)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김원봉 · 더보기 »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국제공산당 자금사건(國際共産黨資金事件)이란, 한인사회당이 코민테른(국제공산당)으로부터 받은 운동자금을 이르쿠츠크의 전러한인공산당(全露韓人共産黨)이 탈취하여 일어난 사건을 말. 이사건은 1차 사건과 이동휘의 측근인 한형권, 김립이 국제 공산당에서 받은 자금을 사회주의 운동가들에게 나눠준 2차 자금사건으로 나눌 수 있.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김구는 사회주의자들이 지원받은 자금을 임시정부에 상납하지 않고 좌파 혁명가들끼리 나눠서 가졌다는 이유로 이동휘, 여운형, 안병찬 등을 임시정부에서 축출하고, 이동휘의 직계 부하이자 레닌에게서 200만 루블을 지원받은 운송책 한형권과 김립의 사살령을 내린.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 더보기 »

우익

우파(右派) 또는 우익(右翼)은 정치적 성향의 분포에서 좌파 또는 좌익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안정(보수)화를 바탕으로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말. 우파는 주로 보수적인 정치적 성향을.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우익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장덕수 · 더보기 »

장덕수 피살 사건

장덕수 피살 사건은 1947년 12월 2일 저녁 7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청설장에서 한국민주당의 당수 장덕수가 미군정청 경찰관인 순경 박광옥(한국독립당 당원), 초등학교 교사 배희범(한국독립당의 당원) 외 5명의 권총 저격을 받고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장덕수 피살 사건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장택상 · 더보기 »

임시 정부

임시 정부(臨時政府)는 종전의 정부가 무너진 후, 무정부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임시로 구성된 정부를 말. 다른 나라의 침략 등으로 해외에 세워진 망명 정부를 임시 정부라고 칭.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임시 정부 · 더보기 »

평안남도

평안남도(平安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평안남도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이승만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일본 · 더보기 »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조병옥 · 더보기 »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은 1925년 4월 17일 창건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조선공산당 · 더보기 »

존 하지

존 리드 하지(1893년 6월 12일 ~ 1963년 11월 12일)는 미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존 하지 · 더보기 »

유진산

유진산(柳珍山, 1905년 10월 18일 ~ 1974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청년운동가이자 7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전라북도 진산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문화이고 해방 정국에서는 우익청년단체를 운용하였.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유진산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여운형 · 더보기 »

여운홍

여운홍(呂運弘, 1891년 9월 1일 ~ 197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아호는 근농(勤農)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여운홍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송건호

송건호(宋建鎬, 1927년 9월 27일 ~ 2001년 12월 21일)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송건호 · 더보기 »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송진우 (1890년)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지근

(韓智根, 본명: 이필형(李弼炯), 1927년 ~ ?)은 몽양 여운형을 저격한 암살범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한지근 · 더보기 »

한현우

현우(韓賢宇, 1919년 ~ 2007년)은 대한민국의 우익단체 활동가로 송진우를 저격, 암살한 범죄자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한현우 · 더보기 »

안공근 암살 사건

안공근 암살 사건 또는 안공근 납치 살해 사건은 1939년 5월 30일 중국 상하이에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관이자 한국독립당, 한인애국단의 재정 담당이었던 안공근이 실종, 살해된 사건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안공근 암살 사건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안재홍 · 더보기 »

하지

(夏至)는 24절기 중 하나이며, 태양 황경이 90도가 되는 때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하지 · 더보기 »

10.26 사건

10.26 사건(十二六事件) 또는 박정희 암살 사건(朴正煕暗殺事件), 박정희 사살 사건(朴正煕射殺事件), 박정희 총살 사건(朴正煕銃殺事件), 궁정동 사건(宮井洞事件)은 1979년 10월 26일에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등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경호실장을 총살한 사건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0.26 사건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2월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2월 27일 · 더보기 »

12월 29일

1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3번째(윤년일 경우 3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2월 29일 · 더보기 »

12월 30일

12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4번째(윤년일 경우 3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2월 30일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945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946년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947년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1월 1일 · 더보기 »

2월 13일

2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4번째(윤년일 경우도 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2월 13일 · 더보기 »

2월 14일

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5번째(윤년일 경우도 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2월 14일 · 더보기 »

4월 8일

4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8번째(윤년일 경우 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4월 8일 · 더보기 »

9·28 사건

왼손 관통 직후, 경호원의 부축을 받은 장면 박사 9·28 사건 또는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은 1956년 9월 28일 대한민국의 제4대 부통령 장면(張勉)이 서울 시공관에서 김상붕 등의 총에 피격된 사건이.

새로운!!: 송진우 피살 사건와 9·28 사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송진우 암살, 송진우 암살 사건, 송진우 암살사건, 송진우 피살, 송진우 피살사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