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삼도수군통제사

색인 삼도수군통제사

삼도 수군 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수군(水軍)을 총지휘하는 조선시대의 관직으로 종2품이.

38 처지: 도원수, 류형, 명량 해전, 박홍, 경상도, 보성군, 광양시, 권준 (1541년), 권율,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이국현, 이당 (1758년), 이운룡, 이재봉, 이재항 (1678년), 이준한, 이순신, 이억기, 이시언, 이홍술, 전라도, 정걸, 조선, 충청도, 칠천량 해전, 순천, 수군, 수군절도사, 오천항 (보령시), 행주대첩, 여수시, 삼도수군통제사,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통영시, 안위, 원균, 홍남주, 왜관.

도원수

원수(都元帥)는 고려, 조선 시대때 임시로 임명되었던 관직으로 품계는 정2품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도원수 · 더보기 »

류형

형(柳珩, 1566년 ~ 1615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류형 · 더보기 »

명량 해전

명량 해전(鳴梁海戰) 또는 명량 대첩(鳴梁大捷)은 1597년(선조 30) 음력 9월 16일(양력 10월 25일) 정유재란 때 이순신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 13척이 명량에서 일본 수군 300여 척을 격퇴한 해전이었.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명량 해전 · 더보기 »

박홍

박홍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박홍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경상도 · 더보기 »

보성군

보성군청 보성군(寶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보성군 · 더보기 »

광양시

광양시(光陽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광양시 · 더보기 »

권준 (1541년)

준(權俊, 1541년 ~ 161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권준 (1541년) · 더보기 »

권율

율(權慄, 1537년 ~ 159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권율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모총장(海軍參謀總長)은 대한민국 해군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한민국 해군의 4성 장군으로 보. 대한민국 국군 중에서 합동참모의장과 육군참모총장에 이어 의전 서열 3위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 더보기 »

이국현

이국현(李國賢, 1714년 ~ 1780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역임하고,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국현 · 더보기 »

이당 (1758년)

이당(李溏, 1758년 - 1819년)은 조선후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역임하고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당 (1758년) · 더보기 »

이운룡

이운룡(李雲龍, 1562년 ~ 1610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운룡 · 더보기 »

이재봉

이재봉(李載鳳, 1820년 - 1885년)는 조선후기의 문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및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재봉 · 더보기 »

이재항 (1678년)

이재항(李載恒, 1678년 - 1731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를 지냈으며, 친히 글자를 써 도활자(陶活字)를 만들었.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재항 (1678년) · 더보기 »

이준한

이준한(李俊漢, 1621년 - 1674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및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되었.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준한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억기

이억기(李億祺, 1561년 9월 3일 ~ 1597년 8월 27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武臣),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억기 · 더보기 »

이시언

이시언은 다음과 같은 동명이인이 있.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시언 · 더보기 »

이홍술

이홍술(李弘述, 1647년 - 1722년 5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정치인이며, 자는 사선(士善)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이홍술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전라도 · 더보기 »

정걸

정걸(丁傑, 1514년 ~ 159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정걸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조선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충청도 · 더보기 »

칠천량 해전

량 해전(漆川梁海戰) 또는 칠천 해전은 1597년(선조 30년) 8월 27일(음력 7월 15일) 칠천도 부근에서 벌어진 해전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칠천량 해전 · 더보기 »

순천

순천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순천 · 더보기 »

수군

수군(水軍)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수상(水上) 무장력을 가리키던 단어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수군 · 더보기 »

수군절도사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는 조선시대의 정3품 당상관으로 수군(水軍)을 통제하였.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수군절도사 · 더보기 »

오천항 (보령시)

오천항(鰲川港)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에 있는 어항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오천항 (보령시) · 더보기 »

행주대첩

행주대첩(幸州大捷)은 임진왜란 때 행주산성에서 권율이 지휘하는 조선군과 백성들이 일본군과 싸워 크게 이긴 전투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행주대첩 · 더보기 »

여수시

여수시(麗水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남부 여수반도에 있는 시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여수시 · 더보기 »

삼도수군통제사

삼도 수군 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수군(水軍)을 총지휘하는 조선시대의 관직으로 종2품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삼도수군통제사 · 더보기 »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통영 삼도수군통제영(統營 三道水軍統制營)은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 더보기 »

통영시

산도 충무사 통영시(統營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통영시 · 더보기 »

안위

안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안위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원균 · 더보기 »

홍남주

홍남주(1827년(순조 27) ~ ?)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자는 시중(時中), 본관은 풍산(豊山)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홍남주 · 더보기 »

왜관

18세기 부산포 동래 초량왜관도 왜관(倭館)은 조선시대 일본인이 조선에 와서 통상(通商)하던 곳이.

새로운!!: 삼도수군통제사와 왜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경상좌수영, 경상우수영, 경상우수사, 전라좌수영, 전라우수영, 전라우수사, 조선삼도수군통제영, 충청수영, 수군통제사, 삼도 수군 통제사, 삼도수군통제영, 하삼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