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성순

색인 이성순

이성순(李聖淳, 1916년 2월 29일 ~ 1983년 1월 25일)은 시라소니라는 별칭으로 불린 대한민국의 협객이.

60 처지: 독립운동, 만화가, 만화책, 무풍지대, 문화방송,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방학기, 개신교, 경향신문, 광진구, 북파공작원, 김두한, 김두한형 시라소니형, 김현중, 대한민국, 대한민국 변호사,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군자동 (서울), 둥베이, 장면, 임호 (배우), 평안북도, 이대근, 이정재 (1917년), 이성덕, 이성재 (배우), 이화룡, 전주 이씨, 전설의 고향, 조봉암, 조상구, 협객 시라소니, 성동구, 서북청년회, 서울특별시, 야인시대, 한국 전쟁, 한국방송공사, 신의주시, 신익희, 시라소니 (1979년 영화), 시라소니 (1992년 영화), 왕초 (드라마), SBS, 1916년, 1953년, 1979년, 1980년, 1981년, ..., 1983년, 1989년, 1992년, 1993, 1999년, 1월 25일, 2003년, 2014년, 2월 29일, 5·16 군사 정변.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 더) »

독립운동

독립운동(獨立運動,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또는 해방운동(解放運動)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얻거나, 스스로의 국가 또는 세력을 세우기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를 말. 그러므로 국가의 독립은 기존 국가에 속한 일부 지역이나 타국의 지배하에 있던 영역이, 그 지배를 벗어나 새로운 국가로 성립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이성순와 독립운동 · 더보기 »

만화가

만화가(漫畵家)는 만화를 전문적으로 그리는 사람이.

새로운!!: 이성순와 만화가 · 더보기 »

만화책

2013년 팬 엑스포 캐나다에서의 만화책 만화책(漫畵冊)은 만화를 책화하여 출판한 것이.

새로운!!: 이성순와 만화책 · 더보기 »

무풍지대

《무풍지대》(無風地帶)는 1989년 6월 28일부터 1989년 9월 7일까지 매주 수요일, 목요일 밤 9시 50분에 KBS 2TV에서 방송되었던 미니 시리즈로, 유지광의 참회록 자서전적 소설인 "대명"을 토대로 만든 드라마이.

새로운!!: 이성순와 무풍지대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이성순와 문화방송 · 더보기 »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感激時代: 鬪神의 誕生)》은 1985년 스포츠서울에 연재한 작가 방학기의 감격시대 원작을 모티브로 1930년대 김두한과 시라소니 이성순을 혼합한 신정태(가상 인물)의 이야기를 그린 한국방송공사의 24부작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이성순와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 더보기 »

방학기

방학기 (1944년 11월 3일~)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

새로운!!: 이성순와 방학기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이성순와 개신교 · 더보기 »

경향신문

1982년의 경향신문사 건물.당시 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경향신문》(京鄕新聞)은 대한민국에서 발매하는 일간 조간 신문이.

새로운!!: 이성순와 경향신문 · 더보기 »

광진구

광진구(廣津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이성순와 광진구 · 더보기 »

북파공작원

북파공작원(北派工作員)은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로 비밀리에 파견했었던 공작원이.

새로운!!: 이성순와 북파공작원 · 더보기 »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새로운!!: 이성순와 김두한 · 더보기 »

김두한형 시라소니형

형 시라소니형은 1981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이성순와 김두한형 시라소니형 · 더보기 »

김현중

현중(金賢重, 1986년 6월 6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

새로운!!: 이성순와 김현중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성순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변호사

《대한민국 변호사》는 MBC에서 2008년 7월 9일부터 2008년 9월 4일까지 방송된 드라마이.

새로운!!: 이성순와 대한민국 변호사 · 더보기 »

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國家記錄院, National Archives of Korea, 약칭: NAK)은 기록물관리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립 및 제도개선, 공공기록물의 효율적인 수집·보존·평가 및 활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이성순와 국가기록원 · 더보기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國史編纂委員會,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는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교육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이성순와 국사편찬위원회 · 더보기 »

군자동 (서울)

자동(君子洞)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이성순와 군자동 (서울) · 더보기 »

둥베이

둥베이(东北) 지방 둥베이(동북.) 또는 둥베이 3성(동북三省)은 중국의 6대 중국지리대구(中國地理大區)의 하나로서 동북부 지역을 말. 과거에는 만주()로 불렸던 지역이.

새로운!!: 이성순와 둥베이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이성순와 장면 · 더보기 »

임호 (배우)

임호(1970년 1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성순와 임호 (배우)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성순와 평안북도 · 더보기 »

이대근

이대근(李大根, 1943년 7월 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성순와 이대근 · 더보기 »

이정재 (1917년)

이정재(李丁載, 1917년 1월 6일 ~ 1961년 10월 19일)는 대한민국의 건달이며 그는 생전에 동 카포네, 말렌코프라는 닉네임으로 불리는 등 제1공화국 시절 정치 주먹으로 악명을.

새로운!!: 이성순와 이정재 (1917년) · 더보기 »

이성덕

이성덕(李聖德, 1912년 1월 20일 - 1968년 7월 8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

새로운!!: 이성순와 이성덕 · 더보기 »

이성재 (배우)

이성재(1970년 8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성순와 이성재 (배우) · 더보기 »

이화룡

이화룡(李華龍, 1914년 ~ 1984년 2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청년운동가 겸 사회운동가이며 영화제작자로도 활동하였고 평안남도 평양 출생으로 ‘박치기왕’, ‘명동백작’, ‘검은 신사’ 등의 별명으로 이름을 알.

새로운!!: 이성순와 이화룡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성순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전설의 고향

《전설의 고향》(傳說의 故鄕)은 한반도 지역에 걸쳐 전해지는 전설, 민간 설화 등을 바탕으로 KBS 드라마 제작국에서 제작된 고전 형식의 최장수 드라마이.

새로운!!: 이성순와 전설의 고향 · 더보기 »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성순와 조봉암 · 더보기 »

조상구

조상구(趙相九, 본명은 최재현(崔在賢), 1954년 12월 18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번역가이.

새로운!!: 이성순와 조상구 · 더보기 »

협객 시라소니

《협객 시라소니》는 198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이성순와 협객 시라소니 · 더보기 »

성동구

성동구(城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이성순와 성동구 · 더보기 »

서북청년회

1948년 5월 31일 대한민국 국회 개원식 날 국회 의사당 앞에서 소련군 철수 집회를 벌이는 서북청년회원들‎ 서북청년회(西北靑年會) 또는 서북청년단(西北靑年團, 약칭: 서청)는 미군정 당시 조직된 대한민국의 극우 반공주의 청년 단체로 반공주의 청년단체였.

새로운!!: 이성순와 서북청년회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이성순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야인시대

《야인시대(野人時代)》는 SBS에서 2002년 7월 29일부터 2003년 9월 30일까지 총 124부작 방송한 김두한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성순와 야인시대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이성순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이성순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신의주시

신의주시(新義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이자, 평안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이성순와 신의주시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성순와 신익희 · 더보기 »

시라소니 (1979년 영화)

《시라소니》는 197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이성순와 시라소니 (1979년 영화) · 더보기 »

시라소니 (1992년 영화)

《시라소니》는 199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이성순와 시라소니 (1992년 영화) · 더보기 »

왕초 (드라마)

《왕초》는 문화방송에서 방송한 드라마이며 삼화프로덕션에서 외주제작했는데 이 드라마의 전체 전개 내용과 인물관계는 사실과 무. 한편, 이 작품은 사실을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미화하여 시청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는데 그럼에도 당초 24부작으로 기획된 것을 "더 보여줄 이야기가 남아있다"는 MBC 측의 판단도 있었지만 후속작《마지막 전쟁》의 캐스팅 문제 등을 고려한 것과 동시간대 SBS《은실이》와 종영시기를 맞추기 위해 4편 늘린 28회로 막을 내리도록.

새로운!!: 이성순와 왕초 (드라마)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새로운!!: 이성순와 SBS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16년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53년 · 더보기 »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79년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80년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81년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83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89년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92년 · 더보기 »

1993

1993(천구백구십삼)은 1992보다 크고 1994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이성순와 1993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1999년 · 더보기 »

1월 25일

1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번째(윤년일 경우도 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성순와 1월 25일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2003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성순와 2014년 · 더보기 »

2월 29일

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만 60번째) 날이.

새로운!!: 이성순와 2월 29일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이성순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시라소니 린치사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