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신라의 관등

색인 신라의 관등

신라의 관직 제도는 법흥왕 때 완성된 경위(京位) 17 관등과 외위(外位) 11관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지방인에게 주는 11위는 통일신라 이후인 674년(문무왕 14년)에 지방세력가들을 지배체제 속에 포섭하기 위해서 지방 출신에게도 일률적으로 경위를 주게 됨에 따라 자연히 폐지되었.

42 처지: 문무왕, 백제, 백제의 관직, 갈문왕, 경상북도, 법흥왕, 고구려, 고구려의 관직, 골품 제도, 공복 (복식), 부통령, 급벌찬, 김유신, 대각간, 대보 (관직), 대나마, 대오, 대사 (신라 관직), 대아찬, 두품, 남해 차차웅, 나마 (관직), 잡찬, 이벌찬, 일길찬, 진덕여왕, 유리 이사금, 파진찬, 상대등, 태대각간, 태종무열왕, 탈해 이사금, 영주시, 사찬 (관직), 삼국사기, 아찬, 신라, 신라 집사부, 시중 (신라의 관직), 600, 660년, 668년.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문무왕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백제 · 더보기 »

백제의 관직

백제의 관직 및 관료 체제에는 정무(政務)의 분담과 문무관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어, 중국의 관제를 수용한 것을 보여준.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백제의 관직 · 더보기 »

갈문왕

문왕(葛文王)은 신라 때 왕실에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왕족 및 왕의 근친 귀족에게 추봉하던 왕명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갈문왕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경상북도 · 더보기 »

법흥왕

법흥왕(法興王, ? ~ 540년 7월, 재위: 514년 ~ 540년)은 신라의 제23대 임금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법흥왕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의 관직

의 관등은 고구려에서의 관료 또는 관직의 등급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고구려의 관직 · 더보기 »

골품 제도

제도(骨品制度)는 신라 사회의 신분제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골품 제도 · 더보기 »

공복 (복식)

공복(公服)은 중국·한국·일본에 관원이 조정에 나갈 때 입는 예복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공복 (복식) · 더보기 »

부통령

부통령(副統領, (副大統領))은 대통령제를 실시하는 국가 중 일부에서 채용하고 있는 직위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부통령 · 더보기 »

급벌찬

급벌찬(級伐飡)은 유리 이사금 9년(32년)에 설치했다고 하는 삼국사기 기록이 있긴 하지만 법흥왕 7년(520년) 율령 반포와 함께 시행한 경위(京位) 17등관계 가운데 제7등관계 일길찬 또는 을길간, 제8등관계 사찬 또는 살찬, 사돌간 바로 다음인 제9등관계로서, 급찬(級飡) 또는 급벌간(及伐干), 기패한지(奇貝旱支), 급복간이라고도 하였.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급벌찬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김유신 · 더보기 »

대각간

각간(大角干) 혹은 대서발한(大舒發翰)은 신라의 17관등 중 제1등인 각간에다가 대 자까지 붙여서 만든 임시직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대각간 · 더보기 »

대보 (관직)

보(大輔)는 신라 초기의 최고 관직으로, 지금의 수상에 해당.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대보 (관직) · 더보기 »

대나마

마(大奈麻)은 삼국사기에서 유리 이사금 때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법흥왕 7년(520년)에 율령(律令)을 공포하면서 제정된 신라 시대 17관등 중의 제10등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대나마 · 더보기 »

대오

오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대오 · 더보기 »

대사 (신라 관직)

사(大舍)는 신라의 관직으로써 4두품이 오를 수 있는 최고위 관직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대사 (신라 관직) · 더보기 »

대아찬

아찬(大阿飡)은 520년(법흥왕 7)에 율령 공포된 신라의 17등 관계(官階) 중의 제5등 관계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대아찬 · 더보기 »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두품 · 더보기 »

남해 차차웅

웅(南解次次雄, 남해 이사금, 기원전 50년~24년, 재위 4년~24년)은 신라의 2대 국왕으로, 혁거세왕과 알영부인의 적자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남해 차차웅 · 더보기 »

나마 (관직)

마(奈麻)는 신라의 17등 관계(官階) 중의 제11등 관등명이며 진골(眞骨)·육두품 이외에 5두품이 받을 수 있. 바로 다음 관등인 대사와는 큰 차이가 있어서 관부의 차관 격인 시랑(侍郞)이나 경(卿)의 지위는 나마 이상의 관등을 가지고 있어야만 오를 수 있. 나마는 나말(奈末·「창녕비(昌寧碑)」)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나마 (관직) · 더보기 »

잡찬

잡찬(迊湌)은 신라 시대 17관등에서 3등으로 파진찬의 위이며 소판(蘇判),잡판(迊判),잡간(迊干)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잡찬 · 더보기 »

이벌찬

이벌찬(伊伐湌)은 신라의 17관등(官等)의 제1등으로 이찬의 위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이벌찬 · 더보기 »

일길찬

일길찬(一吉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일길찬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유리 이사금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 ?~57년, 재위: 24년~57년) 또는 노례 이사금(弩禮 尼師今)은 신라의 제3대 국왕으로 남해 차차웅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운제(雲帝) 부인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유리 이사금 · 더보기 »

파진찬

(波珍飡)은 신라의 17관등에서 4등에 해당하는 관등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파진찬 · 더보기 »

상대등

상대등(上大等)은 신라의 중앙 관제에서 최고위 관직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상대등 · 더보기 »

태대각간

각간(太大角干) 혹은 태대서발한(太大舒發翰)은 문무왕 8년인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김유신에게 종전 17관등과 대각간에 한 단계 더 얹어 표창한 관직 이름으로, 상설이 아니라 임시직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태대각간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탈해 이사금

이사금 (脫解尼師今, 기원전 19년?~80년, 재위: 57년~80년)은 신라의 제4대 국왕으로, 성(姓)은 석(昔)이고, 휘는 탈해(脫解)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탈해 이사금 · 더보기 »

영주시

영주시(榮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영주시 · 더보기 »

사찬 (관직)

사찬(沙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사찬 (관직)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아찬

아찬(阿飡)은 520년에 시행한 신라의 17등 관계(官階) 중의 제6등 관계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아찬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신라 · 더보기 »

신라 집사부

집사부(執事部)는 651년(진덕 여왕 5년) 신라에서 설치된 국왕 직속의 최고 행정 기관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신라 집사부 · 더보기 »

시중 (신라의 관직)

시중은 신라의 관직으로, 당나라의 문하시중을 본따 만든 직책이며 원래 651년 진덕여왕 시절에 처음 시행된 관직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시중 (신라의 관직) · 더보기 »

600

600(육백)은 599보다 크고 601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600 · 더보기 »

6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660년 · 더보기 »

6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신라의 관등와 668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신라의 관직, 신라의 품계, 신라시대의 관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