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신인우

색인 신인우

신인우(申仁雨, 1914년 4월 16일 ~ 1993년 11월 24일)는 대한민국의 제5·6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36 처지: 무소속, 민정당,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중당 (1965년), 강원도, 고령 신씨,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총무처, 자유당 (대한민국), 정일형, 정선군, 정선군의 국회의원, 영월군의 국회의원, 엄정주,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서울 중구의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신민당 (1967년), 11월 10일, 11월 24일, 1914년, 1960년, 1961년, 1965년,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67년, 197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93년, 4월 16일, 5월 16일, 6월 30일, 7월 29일.

무소속

무소속(無所屬)이란 일반적으로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않음을 의미.

새로운!!: 신인우와 무소속 · 더보기 »

민정당

민정당(民政黨)은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새로운!!: 신인우와 민정당 · 더보기 »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1955년 자유당의 사사오입개헌 사건을 계기로, 민주국민당의 보수파와 자유당의 탈당파, 흥사단등의 반이승만 세력이 모여, 1955년 9월 18일에 창당 되었.

새로운!!: 신인우와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 더보기 »

민중당 (1965년)

1965년 제1야당인 민정당(民政黨)과 제2야당인 민주당(民主黨)이 한일기본조약(韓日基本條約)체결의 반대투쟁을 단일화하기 위해 통합하여 창당하였.

새로운!!: 신인우와 민중당 (1965년)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신인우와 강원도 · 더보기 »

고령 신씨

령 신씨(高靈 申氏)는 경상북도 고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신인우와 고령 신씨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신인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4대 총선(大韓民國第四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4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58년 5월 2일에 치러졌.

새로운!!: 신인우와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5대 총선(大韓民國第五代總選)은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붕괴된 후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大韓民國第二共和國)에 따라 1960년 7월 29일에 실시된 선거이.

새로운!!: 신인우와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6대 총선(大韓民國第六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6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63년 11월 26일에 치러졌.

새로운!!: 신인우와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7대 총선(大韓民國第七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7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67년 6월 8일에 치러졌.

새로운!!: 신인우와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총무처

총무처(總務處,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는 국무원의 서무·회계·문서·인사와 명예 수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새로운!!: 신인우와 대한민국 총무처 · 더보기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에 대한민국에서 창당된 보수정당이며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

새로운!!: 신인우와 자유당 (대한민국)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새로운!!: 신인우와 정일형 · 더보기 »

정선군

정선군(旌善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동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신인우와 정선군 · 더보기 »

정선군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신인우와 정선군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영월군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신인우와 영월군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엄정주

엄정주(嚴廷柱, 1920년 4월 28일 ~ 2000년 4월 8일)는 대한민국의 제6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신인우와 엄정주 · 더보기 »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신인우와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서울 중구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신인우와 서울 중구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신인우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신민당 (1967년)

신민당(新民黨)은 1967년 창당, 1980년 헌법 9호 부칙에 의해 해산되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새로운!!: 신인우와 신민당 (1967년) · 더보기 »

11월 10일

1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4번째(윤년일 경우 3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인우와 11월 10일 · 더보기 »

11월 24일

11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8번째(윤년일 경우 32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인우와 11월 24일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인우와 1914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신인우와 1960년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인우와 1961년 · 더보기 »

1965년

196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인우와 1965년 · 더보기 »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65년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는 9월 13일과 11월 9일 치러졌.

새로운!!: 신인우와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더보기 »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인우와 1967년 · 더보기 »

197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77년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는 6월 10일 치러졌.

새로운!!: 신인우와 197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신인우와 1993년 · 더보기 »

4월 16일

4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6번째(윤년일 경우 1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인우와 4월 16일 · 더보기 »

5월 16일

5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6번째(윤년일 경우 1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인우와 5월 16일 · 더보기 »

6월 30일

6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1번째(윤년일 경우 18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인우와 6월 30일 · 더보기 »

7월 29일

7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0번째(윤년일 경우 2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신인우와 7월 29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