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아시안 하이웨이

색인 아시안 하이웨이

대한민국의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표지판 아시안 하이웨이()는 아시아 32개국을 횡단하는 전체 길이 14만 킬로미터에 이르는 간선도로이.

111 처지: 러시아, 랏차부리 주, 란저우 시, 덴파사르, 도로, 도쿄, 도쿄도, 동남아시아, 라호르, 말레이시아, 만달레이, 마하치칼라, 모스크바, 미얀마, 방콕, 바쿠, 간선도로, 베이징 시, 경부고속도로, 번영로 (부산), 광둥성, 불가리아,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블라디보스토크, 비단길, 비슈케크, 대한민국, 국도 제7호선, 두샨베, 난징 시, 노보시비르스크, 뉴델리, 다카, 우루무치 시, 울란바토르, 울란우데, 트빌리시, 자카르타, 임팔, 평양직할시, 이란, 이르쿠츠크, 이스탄불, 이슬라마바드, 인도네시아, 일본, 조지아 (국가), 중국, 창사 시, ..., 첼랴빈스크, 카라치, 카불, 치앙라이, 콜카타, 쿠알라룸푸르, 쿤밍 시, 유럽 고속도로, 유엔,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파키스탄, 상트페테르부르크, 상하이 시, 타슈켄트, 투르크멘바시, 수라바야, 오시 (키르기스스탄), 옴스크, 호찌민 시, 예카테린부르크, 현대사, 양곤, 헤라트 주, 프놈펜, 터키, 서울특별시, 서아시아, 톈진 시, 함흥시, 알마티, 한일 해저 터널, 하노이, 하얼빈 시, 아스트라한, 아스타나, 아시가바트,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4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5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7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8호선, 아시아, 아시아 횡단 철도,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 앙카라, 테헤란, 싱가포르, 시안 시, 후쿠오카 시, 퀘타, 11월 18일, 1959년, 1960년대, 1970년대, 1975년, 2003년, 2004년, 2007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1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러시아 · 더보기 »

랏차부리 주

랏차부리 주(Ratchaburi Province)는 태국 중부의 주(짱왓)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랏차부리 주 · 더보기 »

란저우 시

저우(난주/란주)는 서북지방 최대의 공업도시이자 간쑤 성의 성도(省都)이며 면적은 13,271km2이고 인구는 321만 명에 그중 도시인구가 약 140만 명 정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란저우 시 · 더보기 »

덴파사르

사르()는 인도네시아 발리 주의 주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덴파사르 · 더보기 »

도로

노르웨이의 한 도로. 도로(道路)는 땅 위의 사람이 다니는 길을 두 개 이상으로 서로 연결시켜 놓은 것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도로 · 더보기 »

도쿄

신주쿠의 마천루들 도쿄()는 일본의 혼슈 동부에 있는,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도쿄 · 더보기 »

도쿄도

()는 일본의 47개 도도부현 중 하나로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도쿄도 · 더보기 »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東南-, 월남어:Dông Nam Á(東南亞)는 아시아의 세부지역 중 하나이다. 판의 경계에 있으며(일본 포함)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동남아시아는 지리적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동남아시아 · 더보기 »

라호르

호르 (펀자브어: ਲਾਹੌਰ)는 파키스탄 북동부에 있는 펀자브 주의 주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라호르 · 더보기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연방제 입헌 군주국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말레이시아 · 더보기 »

만달레이

만달레이 부근의 위성사진 만달레이()는 미얀마 중부의 도시로, 만달레이 관구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만달레이 · 더보기 »

마하치칼라

마하치칼라()는 다게스탄 공화국의 수도이고, 카스피 해에 접해 있. 인구는 약 33만 명(2001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마하치칼라 · 더보기 »

모스크바

모스크바()는 러시아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모스크바 · 더보기 »

미얀마

미얀마 연방공화국(), 약칭 미얀마()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국가이며 수도는 네피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미얀마 · 더보기 »

방콕

방콕(프랑스어/영어: Bangkok) 정식 명칭 끄룽텝 마하나콘(로마자: Krung Thep Maha Nakorn), 말하기 끄룽텝()은 태국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방콕 · 더보기 »

바쿠

바쿠()는 아제르바이잔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바쿠 · 더보기 »

간선도로

선도로(幹線道路) 또는 공로(公路)는 도로망의 기준이 되는 주요 도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간선도로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호선, 의 일부)는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경부고속도로 · 더보기 »

번영로 (부산)

번영로 도심방향 원동 나들목 부근 과정교 위에서 촬영한 번영로 번영로(繁英路, Beonyeong-ro)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 나들목과 동구 제5부두를 잇는 부산광역시에서 첫번째로 개통된 도시고속도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번영로 (부산) · 더보기 »

광둥성

광둥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의 성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광둥성 · 더보기 »

불가리아

불가리아 공화국(불가리아共和國), 줄여서 불가리아()는 발칸 반도 남동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불가리아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은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1가 충무동사거리에서 금정구 두구동 여락고가교까지 잇는 광역시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 더보기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중국조선말: 블라지보스또크)는 러시아의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블라디보스토크 · 더보기 »

비단길

비단길(緋緞路) 또는 실크로드(Silk Road)는 육상, 또는 해상을 통한 근대 이전의 동서 교역로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비단길 · 더보기 »

비슈케크

알라-토 광장의 모습 비슈케크()는 키르기스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비슈케크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대한민국 · 더보기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부산 ~ 온성선, 國道第七號 釜山穩城線, 남한 구간은 의 일부)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옛시청 교차로 와 함경북도 온성군 유덕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국도 제7호선 · 더보기 »

두샨베

샨베()는 타지키스탄의 수도로 인구는 58만 2,400명(1991년 통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두샨베 · 더보기 »

난징 시

징()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의 성도인 부성급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난징 시 · 더보기 »

노보시비르스크

보시비르스크()는 러시아 제3의 도시이자, 시베리아에서 가장 큰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노보시비르스크 · 더보기 »

뉴델리

리()는 인도의 수도이고, 델리 수도권에 속하는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뉴델리 · 더보기 »

다카

()는 방글라데시의 수도이자, 방글라데시 최대의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다카 · 더보기 »

우루무치 시

우루무치(라틴 문자: Ürümqi/Ürümqi Shehri, 중국조선말: 우룸치,)는 인구 약 3,112,600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북서부에 있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구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우루무치 시 · 더보기 »

울란바토르

울란바토르()는 몽골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울란바토르 · 더보기 »

울란우데

울란우데()는 부랴트 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울란우데 · 더보기 »

트빌리시

빌리시(문화어: 뜨빌리씨, Tbilisi)는 조지아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트빌리시 · 더보기 »

자카르타

자카르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자 인도네시아의 최대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자카르타 · 더보기 »

임팔

임팔(Imphal)은 인도 마니푸르 주의 주도로, 인구는 217,275명(2001년 기준), 높이는 해발 786m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임팔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이란

이란()은 서남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공화국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이란 · 더보기 »

이르쿠츠크

이르쿠츠크()는 시베리아에 있는 도시이자, 러시아 이르쿠츠크 주의 주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이르쿠츠크 · 더보기 »

이스탄불

이스탄불()은 현재 터키에서 최대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이스탄불 · 더보기 »

이슬라마바드

이슬라마바드(우르두어: ‏اسلام آباد)는 파키스탄의 수도로 북동쪽에 있. 1967년 이전까지 잠정적인 수도였던 라왈핀디를 대신하기 위하여 계획도시로 건설되었.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이슬라마바드 · 더보기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지도 인도네시아 공화국(), 약칭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 걸쳐 있는 섬나라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인도네시아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일본 · 더보기 »

조지아 (국가)

조지아()는 동유럽의 국가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조지아 (국가)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중국 · 더보기 »

창사 시

창사(장사)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성의 성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창사 시 · 더보기 »

첼랴빈스크

빈스크()는 첼랴빈스크 주의 중심 도시로서 우랄 지역 제2 대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첼랴빈스크 · 더보기 »

카라치

(Karachi)는 파키스탄 남부의 아라비아 해에 면한 파키스탄 최대의 도시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직후에는 파키스탄의 수도였으나, 수도를 라왈핀디를 거쳐 이슬라마바드로 옮긴 현재는 신드 주의 주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카라치 · 더보기 »

카불

불 구(舊)도시의 모습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카불 · 더보기 »

치앙라이

앙라이(Mueang Chiang Rai)는 태국 최북단의 지방 치앙라이 주, 암프 므앙 치앙라이의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치앙라이 · 더보기 »

콜카타

의 위치 콜카타(네팔어: कोलकाता)는 인도의 서벵골 주의 주도로, 한때 영국령 인도의 수도였.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콜카타 · 더보기 »

쿠알라룸푸르

알라룸푸르(줄여서: KL, 자위 문자: كوالا لمڤور)는 말레이시아 연방의 최대 도시이자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쿠알라룸푸르 · 더보기 »

쿤밍 시

밍(곤명)은 중화인민공화국 윈난 성의 성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쿤밍 시 · 더보기 »

유럽 고속도로

유럽 고속도로 망 유럽 고속도로(-高速道路) 또는 국제 E-로드 네트워크()는 유럽의 국제적인 도로망으로 국제 연합 유럽 경제 위원회에서 추진하였.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유럽 고속도로 · 더보기 »

유엔

유엔() 또는 국제 연합(國際 聯合)은 세계 거의 모든 나라를 아우르는 국제 기구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유엔 · 더보기 »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아메리칸 하이웨이 노선도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팬아메리칸 하이웨이()는 미국 알래스카 주의 페어뱅크스에서 아르헨티나 남단까지 남북 아메리카를 종단하는 국제 도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 더보기 »

파키스탄

스탄()은 남아시아에 있는 국가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파키스탄 · 더보기 »

상트페테르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이수르어: Pietari,, 보트어: Pietari)는 러시아의 북서쪽에 있는 연방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상트페테르부르크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타슈켄트

슈켄트()는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타슈켄트 · 더보기 »

투르크멘바시

르크멘바시()는 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서부 발칸 주의 카스피해에 접해 있는 항구도시.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투르크멘바시 · 더보기 »

수라바야

수라바야 시내 수라바야의 위치 수라바야(Surabaya)는 인도네시아의 제2의 도시이자 자와티무르 주의 주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수라바야 · 더보기 »

오시 (키르기스스탄)

오시()는 키르기스스탄 서남부 오시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오시 (키르기스스탄) · 더보기 »

옴스크

옴스크()는 러시아 중남부의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옴스크 · 더보기 »

호찌민 시

호찌민 시(胡志明市, 호지명시)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도시로 사이공 강과 동나이 강 하류에 자리잡고 있. 16세기에 베트남인에게 정복되기 전에는 프레이 노코르 란 이름의 캄보디아의 주요 항구였.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호찌민 시 · 더보기 »

예카테린부르크

예카테린부르크()는 러시아의 중앙부에 있는 대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예카테린부르크 · 더보기 »

현대사

시대 구분상으로 현대 (現代. 영어: contemporary. 독어: Zeitgeschichte)는 현재의 정치 체제하의 시대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현대사 · 더보기 »

양곤

양곤()은 미얀마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옛 수도이며 양곤 구의 주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양곤 · 더보기 »

헤라트 주

right 헤라트 주(Herāt Velayat,, 다리어: استان هرات)는 아프가니스탄의 서부에 있는 주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헤라트 주 · 더보기 »

프놈펜

(Phnom Penh)은 캄보디아의 수도이자,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캄보디아 최대의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프놈펜 · 더보기 »

터키

공화국() 또는 단순히 터키()는 서남아시아의 아나톨리아와 유럽 남동부 발칸 반도의 동부 트라키아에 걸친 나라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터키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아시아

서아시아의 위치 서아시아 혹은 서남아시아는 아시아의 남서쪽 부분으로,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을 모두 접하는 길목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서아시아 · 더보기 »

톈진 시

(천진)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직할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톈진 시 · 더보기 »

함흥시

미국항공우주국 ''World Wind'' 사진 함흥시(咸興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동해안에 있는 도시이자 함경남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함흥시 · 더보기 »

알마티

알마티()는 카자흐스탄 남동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알마티 · 더보기 »

한일 해저 터널

일 해저 터널의 구상 루트이다. 총연장은 A, B C 각각 209km, 217km, 231km이고 해저 부분을 통과하는 길이는 각각 145km, 141km, 128km이다. 한일 해저 터널(韓日海底 -)은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와 일본 사가현의 가라쓰 시를 잇는 약 230km의 터널로서 대한해협을 지하로 관통하는 터널의 구상을 말. 하지만 대한민국의 국토해양부는 '경제성이 없다'라는 이유로 이 사업을 백지화하였.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한일 해저 터널 · 더보기 »

하노이

이 (河內)는 베트남의 수도이며 역대 왕조가 왕도를 정했던 도시로, 홍 강 삼각주, 송코이 강 오른쪽 편에 위. 베트남 최대의 도시인 호찌민 시에서는 북쪽으로 1,760km 떨어져 있.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6세기경부터 홍 강 삼각주의 중심 도시로 성장.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하노이 · 더보기 »

하얼빈 시

얼빈(합이빈,,, 문화어·중국조선말: 할빈)은 부성급시이자 중국 헤이룽장 성의 성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하얼빈 시 · 더보기 »

아스트라한

아스트라한()은 러시아 아스트라한 주의 주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스트라한 · 더보기 »

아스타나

아스타나의 위치 아스타나 아스타나()는 카자흐스탄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스타나 · 더보기 »

아시가바트

아시가바트()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가바트 · 더보기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Asian Highway)은 아시안 하이웨이의 노선 중 하나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 더보기 »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Asian Highway 2)은 인도네시아 자바 섬에서 출발하여 말레이시아와 인도를 거쳐서 이란에서 길이 끝.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 · 더보기 »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Asian Highway 3)은 러시아의 울란우데를 기점으로 하여 몽골,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태국을 거쳐 미얀마의 켄퉁을 종점으로 하는 총 연장 7,331km의 아시안 하이웨이 중 하나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3호선 · 더보기 »

아시안 하이웨이 4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4호선(Asian Highway 4)은 러시아의 노보시비르스크를 기점으로 하여 몽골, 중화인민공화국을 거쳐 파키스탄의 카라치를 종점으로 하는 총 연장 6,024 km의 아시안 하이웨이 중 하나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4호선 · 더보기 »

아시안 하이웨이 5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5호선(Asian Highway 5)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상하이 시를 기점으로 하여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를 거쳐 터키의 이스탄불을 종점으로 하는 총 연장 10,380 km의 아시안 하이웨이 중 하나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5호선 · 더보기 »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Asian Highway Network 6)은 아시안 하이웨이의 간선 노선 중 하나로, 대한민국 부산을 출발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베리아, 중화인민공화국을 경유, 러시아 모스크바까지 이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 더보기 »

아시안 하이웨이 7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7호선(Asian Highway 7)은 러시아의 예카테린부르크를 기점으로 하여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거쳐 파키스탄의 카라치를 종점으로 하는 총 연장 5,868 km의 아시안 하이웨이 중 하나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7호선 · 더보기 »

아시안 하이웨이 8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8호선(Asian Highway 8)은 러시아의 레닌그라드 주 비보륵스키 군을 기점으로 하여 아제르바이잔을 거쳐 이란의 반다르에에맘호메이니를 종점으로 하는 총 연장 4,907 km의 아시안 하이웨이 중 하나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안 하이웨이 8호선 · 더보기 »

아시아

아시아의 인공위성 합성사진 동남아시아 아시아(음역: 亞細亞 아세아) 또는 아주(亞洲)는 지구에서 가장 넓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면적은 44,579,000km²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아 · 더보기 »

아시아 횡단 철도

아시아 횡단 철도(-橫斷鐵道)는 유럽과 아시아를 가로지르는 완전한 철도망을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아 횡단 철도 · 더보기 »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UNESCAP or ESCAP)는 1947년 3월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ECOSOC) 결의에 의거, 아시아 극동 경제 위원회(UN Economic Commission for Asia and the Far East, ECAFE)로 발족하였으나, 1974년 3월 ECAFE 총회에서 ESCAP으로 개명하였.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 · 더보기 »

앙카라

앙카라()는 터키의 수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앙카라 · 더보기 »

테헤란

헤란()은 이란의 수도로 테헤란 주의 인구 1105만명의 중심지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테헤란 · 더보기 »

싱가포르

싱가포르 공화국(줄여서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말레이 반도의 끝에 위치한 섬나라이자 항구 도시로 이루어진 도시 국가이다. 북쪽의 조호르 해협과 남쪽의 싱가포르 해협을 두고 각각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약간 분리되어 있다. 1819년 영국의 동인도 회사가 현 싱가포르 남부에 개발한 항구가 시초이다. 1963년에 말레이시아 연방의 일원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으며, 1965년에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와의 다툼 끝에 결국 연방을 탈퇴하여 독립 국가가 되었다. 독립 당시 인구는 160만명이었으나, 꾸준히 늘어 2010년에는 520만명에 이르렀다. 20세기 후반에 초고속 경제 성장을 이룬 나라 중 하나로, 싱가포르 항구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구 중 하나이며, 정유시설과 금융산업은 세계에서 각각 3, 4번째로 크다. 2010년 싱가포르의 경제 성장률은 15%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았다. 같은 해, 싱가포르 넓이의 500배에 달하는 옛 종주국인 말레이시아를 총 경제 규모로도 추월하였다. 2011년 기준으로 1인당 명목 국민소득은 5만달러, PPP 환산 국민소득은 6만달러에 달하며, 1인당 외환보유고는 세계 최정상권이다. 싱가포르의 면적은 692.7km2로 한국의 서울보다 조금 더 넓고, 인구는 서울의 절반 정도인 567만명(2015년 말 기준)이다. 인간개발지수는 전 세계에서 11위, 아시아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이다.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싱가포르 · 더보기 »

시안 시

시안()은 중국의 산시 성(陝西省)의 주요 도시이자 산시 성의 성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시안 시 · 더보기 »

후쿠오카 시

후쿠오카 시()는 후쿠오카현의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후쿠오카 시 · 더보기 »

퀘타

()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주의 주도로 북동쪽 아프가니스탄 국경 근처에 위치하고 있. 면적은 2,653km2, 인구는 896,090만명(2010년 기준), 인구 밀도는 213명/km2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퀘타 · 더보기 »

11월 18일

11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2번째(윤년일 경우 3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11월 18일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1959년 · 더보기 »

1960년대

1960년대는 1960년에서 196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1960년대 · 더보기 »

1970년대

1970년대는 1970년부터 1979년을 가리.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1970년대 · 더보기 »

1975년

197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1975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2003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2004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아시안 하이웨이와 200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아시안 고속도로, 아시안하이웨이, 아시아 간선도로망, 아시아 고속도로, 아시아 고속도로망, 아시아 하이웨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