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언어 개혁

색인 언어 개혁

언어 개혁은 언어 계획에 의한 언어의 큰 변화를 말. 이것은 급작스러운 변화만을 말하며 대모음 추이와 같은 오랜 기간에 걸친 변화는 포함하지 않.

15 처지: 백화문, 간체자, 대모음 추이, 요한네스 아비크, 정체자, 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언어계획, 에스토니아어, 터키어, 한문,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간소화 파동, 한국어, 1950년대.

백화문

백화(白話)는 당나라 대에 발생하여, 송, 원, 명, 청 시대를 거치면서 확립된 중국어의 구어체를 말하며, 이를 글로 표기한 것을 백화문(白話文)이.

새로운!!: 언어 개혁와 백화문 · 더보기 »

간체자

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196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중국 공산당의 주도로 창안된 한자이.

새로운!!: 언어 개혁와 간체자 · 더보기 »

대모음 추이

모음 추이(大母音推移)는 중세 영어 후기(15세기 초)에 시작되어 근대 영어 시기(17세기)에 종결된, 영어의 모음 체계에서 나타난 일련의 변화를 말. 중세 영어 시기에 강세가 있는 7개의 장모음 모두에 대해, 장음 위치가 1단 이상 높아지는 변화가 있었.

새로운!!: 언어 개혁와 대모음 추이 · 더보기 »

요한네스 아비크

요한네스 아비크 요한네스 아비크(1880년 12월 8일 ~ 1973년 3월 18일)는 에스토니아의 철학자이자 언어개혁가로 에스토니아어 근대화 및 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

새로운!!: 언어 개혁와 요한네스 아비크 · 더보기 »

정체자

정체자(正體字,, 주음 부호: ㄓㄥˋㄊㄧˇㄗˋ) 또는 번체자(繁體字) 혹은 구자체(舊字體)는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 글자를 부르는 말이다(일본에서는 구자체, 중화민국에서는 정체자,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번체자라고 칭함).

새로운!!: 언어 개혁와 정체자 · 더보기 »

중국어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어(ㄏㄢˋㄩˇ), 화어(ㄏㄨㄚˊㄩˇ), 중문(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 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새로운!!: 언어 개혁와 중국어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언어 개혁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언어계획

언어계획(language planning)은 의사소통의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한 사회에서 언어의 기능을 변화시키기 위해 정부가 공인하고 장기간 지속하며 가하는 의식적인 노력이.

새로운!!: 언어 개혁와 언어계획 · 더보기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에스토니아에서 110만여 명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

새로운!!: 언어 개혁와 에스토니아어 · 더보기 »

터키어

어(튀륵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터키, 키프로스, 아제르바이잔, 독일 등에서 쓰이며, 교착어이.

새로운!!: 언어 개혁와 터키어 · 더보기 »

한문

문(漢文)은 고전 문어체 중국어를 말. 한자로 쓴.

새로운!!: 언어 개혁와 한문 · 더보기 »

한글 맞춤법 통일안

맞춤법 통일안(- 法統一案, 발표 당시에는 ‘한글 마춤법 통일안’)은 1933년에 조선어 학회(지금의 한글 학회)가 정한 한글 맞춤법이.

새로운!!: 언어 개혁와 한글 맞춤법 통일안 · 더보기 »

한글 간소화 파동

소화 파동은 1949년 이승만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 한글 맞춤법을 소리 나는 대로 쓰는 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함으로 말미암아 생긴 사건이.

새로운!!: 언어 개혁와 한글 간소화 파동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언어 개혁와 한국어 · 더보기 »

1950년대

1950년대는 1950년부터 195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언어 개혁와 1950년대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